전체 글 1296

Cloud.com CloudStack Quick overview

쑤욱~~ 또 솔루션 훝어봤습니다. KT에서 CloudStack 도입으로 꽤나 국내에서는 유명한 플랫폼입니다. 일단 앞단의 Self Service Portal에서 부터 하단의 Hypervisor를 제외한 대부분을 지원하고 있음 AJAX 기반 UI가 강력함. 몇가지 특징을 보면 Pod(Rack),Zone의 논리적인 공간 개념을 가지고 있고 Global Admin (클라우드 관리자), Domain Admin (업체별 관리자), User 로 계층별 사용자 개념을 가지고 있음. 사실 저 두가지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데, 개념 정리를 상당히 잘해놨고 NAT,Firewall,Load Balancer, Router등을 이미 SW로 잘 구현해놨고, 외부 FW와 LB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음 아.. 근데 자료는 자세..

Openstack review note

오늘 대충 쭈욱 훝어봤는데... 결론은 Simple하네... 그리고 별거 읍네~~~ 아래는 혼자 주저리 주러리 노트 기본 개념은 Hypervisor들 abstract해서 올려주고 EC2 호환성 가지도록 REST API 정의하고,(그래서 아마존 CLI가 다 먹는군..) Provisioning 관련 프로세스 (Image관리, VLAN 태깅 등) 몇개 좀 해주고.... 그게 다 인듯...... API 보니까는 100개도 오픈 안되어 있던데.. 반대로 Simple해서 개발할때는 편할 수 도 있을 듯.. Reference Implementation으로 되어 있는 Portal은... 진짜... Tutorial 수준... MS의 위대함을 또 한번 느꼈음... ㅋㅋ Hyper-V support install : htt..

L2,L3,L4 스위치

한동안 블로그 포스팅이 뜸했습니다. 바뻤습니다. 한동안 클라우드 연구하다가 Storage에서 머리가 아퍼오더니.. Storage 산을 넘으니 이번에는 Network이 저를 괴롭힙니다. L2 - Dummy Hub 개념으로 보면 된다. Mac Address를 보고 라우팅 L3 - Hub + Router = Subnet 이 다른 네트웍도 라우팅 기능을 이용해서 묶어 줄 수 있다. IP를 보고 라우팅 L4 - IP Layer에서 Load Balancing도 가능 Inter Rack 간 통신을 performance degration없이 묶는 법을 아시는분? * Load Balancing의 성능 측정 단위 L4 - CPS (Connection Per Second)

요즘 느끼는 한국 IT의 변화

근래에 느끼는 것인데, 근래에 한국 IT 가 조금씩 바뀌어가는 것 같다. 첫번째는 대우? 또는 인력의 변화인데. 삼별전자가 기술 내재화를 목적으로 벤더의 협력사 엔지니어나, 벤더 엔지니어, 포탈 개발자들을 닥치는 데로 연봉 올려주면서 데리고 가고 있다. K티는 클라우드 한다고 하더니, 열심히 하는 클라우드 벤처와 망해가던 벤쳐(T?)에 있던 선수들을 데리고 가서 기술을 내재화하는 노력들을 하고 있다. (좋은 현상들입니다.!! 연봉 많이들 올려서 데리고 가세요..) 그리고 요즘 프로젝트를 해보면 SI사 인력들도 다르다... 지금 일하는 SI社 사무실에만 봐도.. 다들 영어 다 잘한다.. 외국 컨설턴트도 종종 보인다.. 영어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인 사람들이 많아졌다. 한마디로 꼰대님들은 안보이신다는...

오늘의 키워드-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솔루션

encoding.com Amazon EC2를 이용하여 인코딩 수행 FTP,SFTP,HTTP등으로 Source에서 파일 읽어서 encoding 하고 다시 destination으로 인코딩된 파일 전송 wowza.com Streaming solution, S3에 연동 가능 === 4/27 업데이트 == Wowza 대충 살펴봤는데.. 이거 물건일세... EC2 AMI이미지로 서비스 되는 것은 물론이고, 원래가 Java로 된 Media Server를 판매하고 있는데 Adobe Flex용 RTMP 시리즈, Apple이 사용하는 Http Live Streaming, RTSP, MPEG-TS 지원을 하고 단순히 VOD Streaming 뿐만 아니라 CAM이나 Mike의 내용을 받아서 넘겨주는 Re-Stream,mult..

요즘 해외 클라우드 솔루션 동향-Cross Cloud

요즘 오픈 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솔루션을 보다 보니 트렌드가 많이 변했다고 느끼는데, 그중 하나가 Cross-Cloud-Management이다. Microsoft의 경우 Concero라는 코드명으로 Private Cloud와 Azure 기반의 Public Cloud를 동시에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관리자가 Application을 만들고 Private Cloud로 Targetting하면 내부 클라우드에 배포 되고 Targetting을 미국 Azure로 하면 미국에 배포되는 모델이다. 즉 Private과 Public Cloud를 하나의 회사 클라우드로 통합 관리하는 모양이 되는데... 년초에 이 개념을 보고 차암 대단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는 Right Scale이라는 솔루션을 봤는데. ..

클라우드 솔루션 Abiquo 리뷰 노트

Abiquo Multiple Hypervisor support · VMware ESX and ESXi · Microsoft Hyper-V · Virtual Box · Xen · Citrix 특별한점 몇가지 Workload management (VM Optimization 하는 기능 처럼 보이고) Network랑 Storage Management 잘되는 것 처럼 보이시고 Resource Limit라는 기능은 일종의 Allocated Resource 개념인데... (Limit 되기전 Warning, Limit 되면 enforce하는 기능) Multiple datacenter management 할 수 있는 기능도 있고 구성 컴포넌트 Abiquo Core: Contains the bussiness logic ..

클라우드 벤더 옥석 가리기..

요즘 오픈 소스 클라우드 때문에 이자료 저자료 많이 보고 있는데... Provisioing을 포함한 클라우드 관리를 할 수 있는 수준의 클라우딩 플랫폼을 보통 Cloud OS라고 부르는데, (여기는 Hypervisor를 뺀 모든것..) 흥미로운 자료를 발견해서 기록 http://www.abiquo.com/files/white_paper_cloud_management_guide.pdf 언급되는 업체로는 Abiquo,CA,Cloud.com,Rackspace,Enomaly,Eucalpytus,Nimbula,VMware 대 부분 다른 웹사이트 뒤지다가도 많이 나오는 이름인데, 흥미로운 것 몇가지 정리해보면 Rackspace와 Cloud.com은 Openstack을 기반으로한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고, Racksp..

GoGrid 클라우드 서비스 훝어보기

Go Grid http://www.gogrid.com Amazon 등과 호환성은 없는 자체 API 모델 미국 서부와 동부에 센터 위치 GSI (GoGrid Server Image) 사용 LB-Server-Cloud Storage 제공 LB는 F5 사용 (RR방식과 Least Connect 방식 제공) Storage는 Servers access Cloud Storage using familiar transfer protocols such as SCP, FTP, SAMBA/CIFS, and RSYNC 파트너 서버 이미지 제공 (Tomcat이나 WLS, Oracle등 메이져 제품은 안보이네) CDN 제공 Hardware 기반 Firewall 제공 (Cisco ASA 5510 ) - 이거 네트워크 세그먼트 어떻..

추가로 살펴볼만한 클라우드 벤더

Appistry When it was founded in 2001, Appistry was already eyeing the cloud as the next big thing. Appistry’s CloudIQ platform has become known for delivering a run-time application platform that complements existing technology to create scalable, service-oriented applications with lower investments. Appistry lives at the nexus of grid computing, virtualization and SOA, and delivers real-time IT..

오픈소스 클라우드 솔루션 유칼립스 (Eucalyptus)

MS 클라우드 아키텍쳐는 대충 파악했고, 요즘 KT나 기타등등 회사들이 오픈소스기반의 클라우드를 검토하는 일이 많은지라 오픈 소스 클라우드를 하나씩 뽀게기 하고 있는데, 오늘 첫번째는 유칼립스... 검색을 해봐도 한글자료가 그나마 잡히는 게 유칼립스다. 아마 그만큼 쉬워서가 아닐까 싶은데. 일단 주목할만한 특징을 몇개 적어보면 Amazon EC2,EBS,S3와 API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그외에 DB 서비스등은 제공하지 않지만 어짜피 DB야 IaaS에 잘 올리고, NoSQL로 서비스 만들면 되니까는 구축에는 큰 문제 없을 듯 기본적으로 Hypervisor는 Xen,KVM 지원하고 근래에 VMWare를 지원한다. Hyper-V는 지원하지 않는다. Guest OS로는 대부분의 Linux를 지원하고 2.0 ..

다시 돌아보는 MS

94년도에 MS-DOS로 프로그래밍을 본격적으로 입문했습니다. TurboC,Borland C,Watcom C등을 거쳐서 Visual Studio를 다루게 되고 ASP를 통해서 웹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MFC,Win32SDK,Petzold (아시는 분은 다 아시져?)를 이용한 CS 프로그래밍 그리고 Direct X 게임 그러다가.. 이러다가는 밥굶겠다 해서 Unix/C 하다가 어찌어찌.. Java로 한 10년 먹고 살다가 지금은 MS에 와 있습니다. 사실 Java 진영의 커뮤니티 리더로써 .NET 죽이기를 하다가 지금은 .NET 진영에 와 있으니 참 모순이지요.. 그런데 MS에 온지 1년이 지난 후에 정말 느끼는 건데.. 아직 안죽었더군요. 그리고.. 한국은 MS 솔루션에 너무 인색하더군..

사는 이야기 2011.04.14

클라우드 Storage 선택시 체크 사항

Left Hand P4000 장비가 가상 스토리지 (Virtual Storage)를 통해서 Scale Out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서 저가격 대비 장점으로 파악했는데, 오늘 문서를 살펴보다가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서 메모 하나 P4000으로 VSA (Virtual SAN Appliance)를 구성할 경우 지원되지 않는 사항이다. http://h10032.www1.hp.com/ctg/Manual/c01814597.pdf == 지원되지 않는 구성 • 기존 P4000 SAN Solution 스토리지 위에서 VSA를 실행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VSA의 가상 NIC는 Jumbo 프레임, 흐름 제어 설정 수정 또는 TCP 오프로드를 지원하지 않습 니다. 서버의 물리적 NIC를 이러한 기능으로 구..

새로 구입한 클라우드 컴퓨팅 LAB 장비

작년 부터.. 혹시나 하는 마음에...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내부 LAB 구축을 위해서, LAB 구축을 전무님께 제안드리고, 마케팅,세일즈,벤더들 다 뛰어다니면서 돈 협찬 받을려고 했는데... 과감하게 전무님이 투자해서 사주신 장비입니다. 들어오자 마자 BMT에 팔려나갔다가...얼마전에 다시 들어와서... 어제부터 OS 구성부터 새로 하고 있습니다. 오랜만에 OS 구성할려니.. 시행착오도 많고, 시간도 많이 걸려서 고생하고 있습니다. OS랑 SAN 구성 끝나면, 클라우드 구성해야 하는데, 혼자할려니 쉽지 않군요... 그래도 번듯한 LAB 장비 하나 있으니 뿌듯하기는 합니다.

IOMeter

IOPS 측정하는 도구가 있었군. 내일 iSCSI 구성한 것 성능 체크좀 해봐야겠다. 참고 자료 P. 10 of Iometer guide: The Edit Access Specification dialog shows you how the disk will be accessed. The default is 2-Kilobyte random I/Os with a mix of 67% reads and 33% writes, which represents a typical database workload. You can leave it alone or change it. Press OK to close the dialog when you are through. For maximum throughput (Megaby..

Storage Virtualization

네이버 IT 용어 사전을 보면 다른 기종의 스토리지들을 하나의 단일 풀로 통합하는 기술. 스토리지 가상화는 단순히 물리적 디스크 어레이를 논리적 볼륨으로 사상(寫像)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디스크의 가상화는 물론 다른 기종 관리와 백업, 복구의 단순화와 자동화, 구성의 단순화 등을 제공하는 스토리지 통합 관리 솔루션이다. 스토리지 용량이 충분한지 수시로 확인할 수 있고, 예비 스토리지 자원의 준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유 총비용(TCO)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출처 : http://terms.naver.com/item.nhn?dirId=205&docId=26198 여러개의 Storage를 묶어서, 하나의 논리 Storage로 묶어 주는 기술로, 다수 벤더에 의해서 제공..

Mongo DB

점심 시간에, 후욱 훝어봤는데, 생각보다 괴안은 듯. 주요 특징을 적어보면 Cassandra와 같은 NoSQL DB와 유사한 데이타 저장 구조를 가진다. 무엇 보다 마음에 드는 건, Sharding과 Replication을 솔루션 차원에서 지원하고, 자체 Map & Reduce 엔진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서, 가장 많은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 C# 인터페이스가 없는 것이 아쉽기는 한데... C/C++이 있으니, COM으로 만들어서 재 사용해도 될듯. 시간 나면 한번 더 조사해봐야 쓰겄다. 특히 Geo Replication이 되는지가 젤 궁금하네.

BOOK-The Cloud At Your Service

클라우드 아키텍쳐 고민할 일이 많아서 Safari Online에서 하나 다운 받아서 하루동안 후욱 읽어본책 ★★★★ 기술적으로나 비지니스적으로나 전체적으로 넓은 영역을 커버하고 있고, Depth도 있다. 클라우드 지향형 아키텍쳐를 디자인 챕터에서 설명한것도 흥미롭고.. 초중급은 읽어볼만 하다. 클라우드 사용자 입장에서 기술 했기 때문에, 클라우드 구현 아키텍쳐가 제대로 소개되지 않은게 아쉽지만, 어디까지나 책의 목적이 사용자 대상이니까는.. 별5개중에서 3.5~4개 정도.. 아무래도 이론서이기 때문인데.. 어디 Storage나 Networking Architecture 에 대한 설계 하는 책은 읍나.

클라우드에서 MPLS에 대한 고려

MPLS는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의 약자로 Layer 3에서 IP를 보고 라우팅을 하는 것이 아니라 패킷에 라벨을 붙여서 라벨을 기반으로 라우팅을 하는 기법으로 Layer 2 기반으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그래서 IP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ATM이나 Frame Relay와 같이 프로토콜 종류에 상관 없이 라우팅이 가능하고, 무엇 보다 빠르다. 단 MPLS를 지원하는 라우터가 비싸다. MPLS는 VPN등에 사용되는데.. IaaS 클라우드 구성에서, Server Rack간의 고속 라우팅을 하는데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돈이 문제지만

Remote Fx Offering

Windows Serverr 2008 R2 SP1 이 정식 출시되자 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하드웨어 벤더들에서 Remote Fx Offering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고객들도, 이제는 Remote Fx를 찝어서 제안 요청을 하는 아주 바람직한(?) 현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몇가지 주목할만한 Offering을 정리합니다. http://h18004.www1.hp.com/products/servers/software/microsoft/os/windows2008r2/remotefx/index.html HP는 아예 페이지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블레이드에서 부터 Rack Mount 타입에 Thin Client까지 Full Set로 지원을 합니다. Remote Fx 도전 과제중 하나가 GPU의 집적도였는데, ..

Amazon EC2 Auto Scale out Architecture

Amazon EC2 Auto Scale out 아키텍쳐http://docs.amazonwebservices.com/AutoScaling/latest/DeveloperGuide/index.html?Welcome.html Cloud Watch를 통해서, 이미 기동중인 Instance를 모니터링 한다. Instance의 CPU나 Throughput을 기반으로 해서 Scale out 여부를 결정한다 Scale out을 하게 되면, 해당 Instance의 AMI를 추가로 Provisioning 한다. Elastic Load Balancer에 새롭게 추가된 Instance를 연결해준다. 기본적인 아키텍쳐인데, 전형적인 Scale Out 방식이고, Image에 올라가 있는 (VM)의 Application의 Scale..

Auto Scale out에 대한 메모..

Auto Scale Out을 고민할 일이 있어서.. Amazon EC2를 봤는데.. 역시나.. EC2는 기본적으로 IaaS이기 때문에, CPU나 어느 조건 이상이 되면 Config 된데로, Scale out이 되는데, AMI 이미지 똑같은 것을 하나 더 띄우고, Load Balancer에서 연결해주는 형태.. 즉, 일반적인 웹서버나 클러스터가 안되어 있는 Tomcat등은 그럭저럭 먹힐거 같은데.. WebLogic,JBoss 등은 어렵다는 이야기, 결국 API로 WLS등 모니터링해서 Scale out할 수 있게 해주고, AMI 이미지도 Instance별로 별도 고려가 되야 하는 형태.. Scale out은 아무래도 PaaS가 유리한듯.. 그리고, DB Auto Scale out 이야기 하시는분들 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