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96

AppFabric (ESB + DataGrid) - 윈도우즈서버 새 기능

Oracle Coherence나 Open source memcached와 같은 메모리 그리드 솔루션은 아키텍쳐를 그리는 데 상당한 효과를 발휘한다. 메모리 그리드랑, 간단하게 이야기 하면 Java의 HashTable이 무제한 용량으로 확대 가능하고, 어느 server instance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며, 장애시 Fail over를 통해서 고가용 서비스가 가능한 솔루션을 이야기 한다. 물론 Oracle Coherence가 .NET도 지원하기는 하는데, 이왕이면 MS도 이런게 있었으면 했는데, 새 윈도우즈 Server에 나왔다. AppFabric이라는 일종의 윈도우즈 미들웨어인데, 일단 데이타 그리드의 성격을 가지고 무제한 클러스터링이 가능하다.. (물론 열어봐야 알겠지만..) 데이타 그리드로써도 의미가 ..

WCF REST 구현시 URL Rewriting

URL rewriting이란, WebServer에 들어온 Request의 URI를 변경해서 WAS에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http://localhost/service/Customer 이런것을 http://localhost/Customer 식으로 특정 문자열을 빼거나 더할 수 도 있고 http://www.store.com/products.aspx?category=books 게 들어온 요청을 http://www.store.com/products/category/books 이렇게 바꿀 수 도 있다... RESTful 설계시에 매우 유용한데, 예전에 WebLogic으로 구현했을때는 Apache Proxy Plug in 을 이용했는데, IIS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할듯.. 자료 원본 : http:..

WCF REST 프레임웍에서 Http Header Control하기

당연히 될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쉽게 된다. == 15 private void SetCaching(WebOperationContext context, DateTime lastModifiedDate, Int32 maxCacheAge){ 16 17 // set CacheControl header 18 HttpResponseHeader cacheHeader = HttpResponseHeader.CacheControl; 19 String cacheControlValue = String.Format("max-age={0}, must-revalidate", maxCacheAge); 20 context.OutgoingResponse.Headers.Add(cacheHeader, cacheControlValue); 21 ..

WCF로 REST 개발이 된다. VS 2010에서 세팅하기

WCF가 예전에 REST 지원한다는 이야기가 생각나서, SDP 플랫폼 구현 가능성 체크해볼라고 간략하게 체크해봤다. WCF에서 REST개발은 별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VS2010환경에 낮선 나로써는 좀 더 쉬운 방법을 찾아야 했는데, Project Template이 REST용으로 세팅되어 있는게 있다. New > Project에서 Online Template을 선택한후에, WCF REST C# 템플릿을 선택하면 된다. 자동으로 생성된 코드를 체크하고,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봤는데... 일단 잘된다. 프로그래밍 모델도 자바의 Jersey나 Apache CXF와 비슷하다 (JAX-RS 스펙과 유사) [ServiceContract] [AspNetCompatibilityRequirements(Requirem..

WCF가 몬가 했더니..

간단하게 튜토리얼 보고 테스트 프로그램 하나 짜서 송수신 전문을 봤더니... 송신 전문 http://tempuri.org/IEvalService/GetEvals urn:uuid:489b8c48-e094-418e-8f6b-60321ffc9d38 http://www.w3.org/2005/08/addressing/anonymous 수신 전문 http://tempuri.org/IEvalService/GetEvalsResponse urn:uuid:dfac6ed4-fbcc-46d6-9fd8-38ed4604aa4c 2010-06-25T02:50:53.419Z 2010-06-25T02:55:53.419Z 0 24 pxd/ozyLoq7PsUk2mw2X2A== 3eijqwLZYaqrBjcduAkjow== OHkE4mba4..

RDP Video redirection

RDP 프로토콜의 문제점중 하나가, 멀티미디어 재생에 대해서 서버에서 렌더링해서 화면을 캡춰해서 내려 보내기 때문에 서버의 CPU 사용량이 높아지고, 화면이 부드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Remote Fx이전에..) 이런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기술이 Video redirection이다. 위에가 그 RemoteFx 이전 (RDP 7.1)이전에 Video redirection을 사용하기 전후 데모이다. RDP Video redirection에 대한 정보는 여기 http://blogs.msdn.com/b/rds/archive/2009/07/24/multimedia-redirection-improvements-in-windows-7-and-ws2008-r2-part-1.aspx == 추가 정보 1) Is ..

'상무님. 벤처에 맏겼다가 망하면.. 어떻게 책임 지실려구요?'-영업방법론 FUD

오늘 또 담배 피는 시간에 상무님께 강의를 하나 들었습니다. 차원적 인간 이야기와 Influence 그리고 Benefit과 Advantage에 대한 이야기도 블로그에 올려놔야하는데. 요즘 귀차니즘이 장난 아닙니다. 하는일 없이 시간이 빠르군요.. 오늘 배운 이야기는 세일즈 방법론중 하나인 FUD 입니다. Fear,Uncentainly and Doubt 즉.. 고객의 공포와 의심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실무자가 열심히 열심히. 프로젝트를 셋업하고 능력있는 벤쳐 업체를 하나 찾아옵니다. 실제로 될거 같져.. 몇주동안 계획서 기안서를 만들어서 CIO한테 보고 합니다. CIO도 일단 내용보고 진행할것으로 한번 생각해봅니다. 그 다음날 대형 벤더에서 이사가 골프치러 가잡니다. 갑니다. ..

MS의 Desktop공유 클라우드 LiveMesh를 소개합니다.

시나리오를 설명 드리는게 제일 빠르겠네요 회사 PC의 C:\Mesh라는 폴더를 Live Mesh에 공유합니다. 집의 PC도 C:\HomeMesh라는 폴더를 Live Mesh에 공유합니다. 집에서 문서 작업을 해서 C:\HomeMesh라는 폴더에 저장하면 자동으로 회사 PC의 C:\Mesh라는 폴더에도 저장이 됩니다. 물론 저 폴더는 http://www.mesh.com 웹에서도 접근이 가능하고 여러개의 PC를 동기화 시킬 수 도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PC까지도요. (팀 협업 작업에 진짜 편하겠져..) MAC도 지원하고 WIN Mobile 계열 모바일 디바이스도 지원합니다. (예정.. Internal Beta가능) 어제 부터 사용하고 있는데, 집과 회사에서 문서 작성한후 메일이나 USB에 복사하지 않고 바..

IIS의 새로운 동영상 Streaming 기술 Smooth Streaming

요즘 서버쪽 보다는 동영상이나 모바일 같은 미디어쪽 기술을 보게 되는군요. 참 이것저것 많이 봅니다. 오늘은 IIS의 재미있는 기술을 하나 발견해서 소개합니다 IIS7 Media Pack에 포함된 Smooth Streaming이라는 기술입니다. 동영상 Streaming 기술은 크게 3가지 정도로 구분이 되는데 Traditional Streaming 기존의 RTSP,Adobe의 RTMP등이 이 기술에 속합니다. 미리 인코딩 된 동영상을 TCP나 UDP 세션에 따라서 클라이언트 버퍼 크기 만큼 쭈욱 Streaming해주는 거지요. 그래서 버퍼만큼 받기 때문에 뒤돌리기나 앞으로 돌리기가 안됩니다. Progressive Streaming YouTube나 MSN,MySpace등이 사용하는 기술로 HTTP down..

TV 전쟁도 국내는 뒤처질것 같은 분위기..

요즘 Microsoft MediaRoom이라는 IPTV 솔루션을 보고 있는데... 데모나 스펙으로 봤을때도 집에서 지금 쓰고 있는 국산 IPTV솔루션에 비해서 월등하다.. 국산 셋톱박스나 인터페이스 기능들에서 불편하다고 생각했던것들.. 있었으면 하는 것들이 이미 들어가 있다. 구글이나 애플이 TV 시장에 진출한다던데.. 삼성과 LG돠 IPTV를 생산하기는 하지만 통신사에서 주문받은 플랫폼을 올리는것일뿐 아직까지 가시적인 독자적인 플랫폼은 보이지 않는다. 물론 국내 TV제조사에서 하고있는 일은 알지만... 이러다가는 모바일 전쟁에서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을 빼았기도 기계 제조사로 전락한것처럼.. TV세계에서도 같은 일이 반복될거 같다. 조만간 MediaRoom 스터디 해서 올릴께요. :)

모바일 전쟁 2라운드 시작 - 윈도우7

오늘 MS 개발자 행사인 RemixK에 다녀왔습니다. 10년 이상 자바개발자 행사만 다닌 저한테는 다소 낮선 자리였습니다. 오늘 컨퍼런스 내용중에 흥미로웠던것중에 하나가 WinMobile7이었습니다. 년말에나 나올 '내일폰'이긴 합니다만. Feature들이 흥미로워서 이야기 해봅니다. 크게 개발환경이 SilverLight와 XNA로 나뉘어 지는데,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SilverLight기반으로 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개발툴이 일반 개발자 개발툴이라기 보다는 동영상 저작도구 같은 느낌이더군요. 아이폰의 Object C 개발환경, 이클립스 기반의 안드로이드 개발환경을 맛본 저로써는 다소 신선했습니다. 저작도구 답게 UI프로그래밍이나 이펙트가 매우매우 쉽습니다. 아마 아이디어만 있다면 웹디자이..

OLAP 종류

MOLAP(Multidimensional OLAP) : 다차원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OLAP 아키텍처. 다차원 데이터의 저장과 프로세싱에 MDB가 사용된다. 타 아키텍처에 비해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이동이 최소화. ⇒ 다차원 데이터의 저장과 프로세싱에 동일한 엔진이 사용 대표적인 제품 : 하이페리언 솔루션의 에스베이스, 오라클의 익스프레스, 파일롯 소프트웨어의 디시젼 서포트 등 ROLAP(Relational OLAP)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OLAP 아키텍처. 관계형 데이터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역할을 수행. 대표적인 제품 : 인포믹스의 메타큐브, 인포메이션 어드벤티지의 디시전 쉬이트, 마이크로스트래 티지의 DSS에이젼트 등이 있다. DOLAP(Desktop OLAP) : 다차원 데이터의 저장..

아키텍쳐 /BI 2010.05.27

MS의 GPU가상화 기술 RemoteFX

어제밤에는 DW보다가 오늘 아침에는 또 뜬금없이 데스크탑 가상화입니다. -_-; 데스크탑 가상화가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RDS (Remote Desktop Service)등 여러가지가 있었는데, 문제는 이런 가상화 기술에서 동영상이나,플래쉬,Direct-X,Open GL등이 데스크탑으로 못 내려갔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RemoteFX라는 기술은 서버쪽의 GPU (Graphic Processing Unit)을 이용하여 그래픽 관련 연산을 수행해서 클라이언트에도 동영상등의 서비스도 제공한다는 겁니다. "쉽게 말해서, 가상 데스크탑환경에서도 동영상 안끊기고 본다." 기본적으로 기존의 RDP (Remote Desktop Protocol)을 확장하여 ..

데이타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프로세스

배경 Dataware house (이하 DW)도 다른 첨단 기술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기술이름이 붙은 프로젝트로 시작했다가 결국은 원하는 성과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SOA 프로젝트가 실제 서비스화를 통한 재사용성과 유연성등을 확보해야 하는데, 웹서비스만 구축하면 SOA라고 이름 붙여지고 결국 실패하는 모양새와 유사하다. 이처럼 DW도 DW DBMS만 도입되고 데이타만 한군데 모아놓고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천덕 꾸러기 형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1단계. 왜 DW를 도입하는지에 대해서 이유를 찾을것 DW는 기본적으로 경영진에 필요한 비지니스 데이타를 적재적시에 가공하여 의사결정을 도와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최종 사용자는 의사결정자가 되는 것이다. 고로, DW를 도입할때, 어떤 의..

아키텍쳐 /BI 2010.05.24

어제 발표된 Google IO 2010 Key Note를 보고..

BI쪽 공부좀 하다가 1시가 되서 Google IO Key Note를 보고 잤습니다. 트위터로 중계좀 하다가. 졸려서. 그냥 잤는데 대략 내용을 정리해보면 이렇습니다. 1. HTML 5 반은 HTML5에 대한 내용이었던것 같습니다. 메세지는 Desktop Application의 시대는 끝나고 WebApplication의 시대이다. HTML5는 무지 강력하다. Adobe,Safari,FireFox등등 주요 벤더들과 협력해서 HTML5를 팍팍 밀고 있다. 이거 였고.. HTML5 말하던데로 정말 강력하더군요. 거의 RIA 클라이언트 수준입니다. Flex,SilverLight,JavaFX들은 꽤 타격이 될듯합니다. 2. WebM Codec 발표 유수 Video Codec업체.. 기업명이 생각이 잘안나는데, 를..

(VMWare + Salesforce.com) * Cloud = VMForce.com

오늘 호주 Eddie가 보내준 자료인데, VMWare의 Xen 기반의 가상화 기술과 SalesForce.com의 Saas Knowhow가 모여서 VMForce.com이라는 Clou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바 개발자들에게 친숙한 Tomcat + Spring + Eclipse 환경이다. Amazon Cloud는 Iaas 개념으로, 자바 환경을 쓰더라도 서버들 관리에 대한 부담이 있고, MS Azure는 아무래도 .NET 기반이고, Google이 Python기반인데, Vmforce는 전통 자바 플랫폼 기반을 Paas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거라서 어느정도 메리트가 있을 듯 하고, 가상화 기술의 VMWare와 Saas의 경험과 엔터프라이스 경험을 가지고 있는 SalesForce.com은 참 흥미로운 조합이다...

Active Directory의 재발견..(1. DRM)

사실 얼마전까지만 해도 Microsoft Active Directory는 사용자 정보 디렉토리로 관리하고 윈도우즈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에 로그인하게 해주고, 이메일 주소정도 관리해주고, LDAP정도로 쓸 수 있는 솔루션으로 알았다. 여기와서, Active Directory(이하 AD)가 많이 언급되길래 자료를 좀 찾아봤더니.. 이건 간단한 Directory솔루션이 아니라, OA환경을 위한 Infrastructure 솔루션이다. 업무 시스템에 대한 SSO, 웹 SSO,DRM,프린터,PC관리, 원견 PC 정책 관리 등등 할 수 있는게 정말 많다. 먼저 DRM을 보면 Acive Directory Right Management Service라는 이름으로 제공된다. 문서나 파일또는 이메일에 까지 Digital Si..

ASP.NET WebForm and MVC

ASP.NET을 보다 보니까는 프로그래밍 모델이 두개가 있다. 하나는 ASP.NET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WebForm이라는 모델이고, 두번째는 이번에 추가된 MVC모델이다. WebForm은 자바의 JSF처럼 Custom Control을 이용하여 디자인 하고, Control에서 나오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 하는 모델이다. ASP.NET MVC는 자바의 Structs나 Spring MVC처럼 Model-View-Control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ASP.NET MVC는 UI 프로그래밍을 HTML과 스크립트를 통해서 해야 하고, 그래서 조금 더 자유스로운 웹 개발이 가능하다. WebForm은 컨트롤들이 잘되어 있어서, 프로그래밍이 놀라울만큼 편하다. 양쪽다 구조적으로는 바탕에 ASP.NET ..

간만에 산 원서 바꾸예정

간만에 원고를 하나 샀습니다.사실 이책이 아니라 c# and .net 이라는 책을 살려했눈데 서점에 없더군요. 그래서 민만해 보이는 원서하나들고 (포장이되오있어 내용을 못보는 관계로) 아이폰으로 잽싸게 아마존 검색 해보니 서평이 좋아서 41000원이나 주고샀습니다 몇년만에 제 돈으로 전공서 산거 같네요 버스안에서 한시간만에 읽었다는... 리 포스트 몇일전 스마트 폰으로 쓴건데 버스에서 멀미나서 못 올리다 지금 올립니다.오늘 반품했어여.. 그나저나 폰에서 블로그질은 할게아니군요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CLR 메모리 구조 (노트)

CLR 메모리 참고 자료 http://www.simple-talk.com/dotnet/.net-framework/understanding-garbage-collection-in-.net/ 에 있는데, JVM이 client모드와 server모드가 있듯이 workstation 모드와 server 모드 두개를 가지고 있다. (current and synchronous).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concurrent mode는 JVM의 concurrent GC 모드와 유사하게 pause time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주로 desk ap에서 응답 시간 위주로 튜닝하고자할때 사용되고, synchronous 모드는 JVM의 Thoughput collector와 비슷한 원리 같은데, pause를 주더라도 collection을..

자바개발자가 본 .NET 프레임웍

.NET 프레임웍이란? MS에서 개발한 프레임웍으로 개발 환경 : 다양한 컴파일 환경과, C#,VB등의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개발 프레임웍 다양한 라이브러리들을 제공한다. ASP.NET과 같은 MVC기반의 웹개발환경 WebForm과 같은 웹 UI환경 WPF와 같은 클라이언트 UI개발 WCF와 같은 통신 프레임웍 ADO.NET과 같은 DB 접근용 개발 프레임웍등을 제공한다. 런타임 프레임웍 : 자바와 유사하게, Virtual Machine과 같은 런타임환경을 지원한다. 이다. .NET 프레임웍의 런타임 동작 방식 .NET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컴파일된후 .exe 파일로 존재하는데, 이 exe 파일은 실제 실행 파일이 아니라 자바의 .class 파일 처럼 Machine에 종속적이지 않은 byte code..

ApplicationDomain

.NET에는 Application Domain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사실 시스템의 장애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장애의 발생을 막는것도 중요하지만, 장애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막는것이다. OS에서는 Process가 가장 작은 단위로 별도의 주소 공간, 별도의 Thread 공간을 가지고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Process가 가장 작은 Isolation 단위이다. .NET에서는 이를 확장해서 ApplicationDomain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하나의 Process를 ApplicationDomain이라는 논리적인 단위로 나눠서 관리하고, 하나의 Application이 하나의 ApplicationDomain 위에서 동작된다. 각 Application Domain은 독립된 주소 공간과 T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