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2

AI 개발 시대에서, 개발자로 살아남기 위해서..

요즘 바이브 코딩, 커서 AI등, AI 기술이 개발쪽으로 깊숙하게 들어오고 있다. 실제로 아래 차트를 보면, LLM 공급자인 앤트로픽에서 LLM 모델이 어디서 많이 사용되는지를 조사한 통계자료가 있는데, 37.2%가 컴퓨터 관련(개발 관련)이다. 그외에 10.3%가 Art & Media쪽인데, 광고/마케팅이나 컨텐츠 생성쪽이다. 실제 시장을 봐도 AI 기술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만 업무에 실질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빈도는 생각보다 크게 높지 않고, AI를 잘 이해하고 있는 IT 쪽의 적응률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AI의 활용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 향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실제로 아래 파이낸스 타임즈지에 나온 그래프를 보면, 2024년을 기점으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 대한 채용이 급격하게 ..

바이브 코딩 다음은 AIOps

코딩 자동화에 이어 운영 자동화까지 AIOps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요즘 바이브 코딩이 많이 주목받고 있는데, 오늘은 바이브 코딩과 AIOps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먼저 바이브 코딩과 AI IDE에 대해서 분류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코딩 플랫폼바이브 코딩바이브 코딩은 대화를 하면서 코딩을 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되는데, 주로 완제품 웹사이트나 모바일앱을 만들어주는 영역이 여기에 해당한다. 주로 UI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주는 개념인데, Vercel의 V0, Replit, Lovable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코딩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Vercel백앤드나 Superbase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