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1 - 소개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배경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알게 된건 수년전인데, 근래에 들어서 다시 쿠버네티스를 보기 시작하였다.
컨테이너 기반의 환경은 배포에 장점이 있고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 구조에 잘 맞아들어가는 듯 싶지만, 컨테이너가 약간 빠르다는 장점은 있지만, 가상 머신으로도 충분히 패키징이 가능하고, 로컬의 개발환경을 동기화 시키는 장점은 vagrant 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도커 컨테이너를 운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관리 환경이 그다지 성숙하지 못했었다. Mesosphere, Swarm, Kubernetes 등 다양한 환경이 나오기는 하였지만 기능적으로 부족한 부분도 많았고, 딱히 어떤 플랫폼이 대세라고 정해진것도 없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 발전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재미있어지는 현상이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가 단순 개념에서 부터 점점 더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디자인 패턴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인프라 플랫폼들이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서비스가 점점 작아지면서, 1~2 코어로도 운영할 수 있는 작은 서비스들이 다수 등장하게 되었고 이런 작은 서비스는 VM 환경으로 운영하기에는 낭비가 너무 심하다. (VM 이미지 크기도 너무 크고, 다양한 이미지를 VM으로 관리 배포하기에는 배포 속도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솔루션의 발전
배포 방식도 예전에 서버에 계속해서 애플리케이션 코드만 업데이트 하는 방식이 아니라, VM이나 컨테이너 단위로 배포하는 피닉스 서버 패턴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Spinnaker 와 같은 솔루션이 나오고 있고, 지능형 라우팅과 분산 트렌젝션 로그 추적을 하는 기능들이 Envoy 라는 솔루션으로 나오고 이를 중앙 통제하기 위한 Istio.io 와 같은 서비스 메쉬 솔루션 까지 나오기에 이르렀다.
데브옵스 모델의 성숙화
데브옵스 모델도 나온지는 오래되었지만, 운영을 데브옵스라는 이름으로 바꾼 것일뿐 실제적인 변화가 없는 팀들이 많았고, 또는 데브옵스라는 이름아래에서 개발팀이 개발과/운영 역할을 병행해서 하는 사례가 오히려 많았다.
이런 데브옵스의 개념도 근래에 들어서 정리가 되어가고 있는데, 개발팀이 개발과 시스템에 대한 배포/운영을 담당한다면, 데브옵스팀은 개발팀이 이를 쉽게할 수 있는 아랫단의 플랫폼과 자동화를 하는데 목표를 두는 역할로 역할이 명확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슬슬 컨테이너 기반의 환경이 실질적으로 적용될만하다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다시 컨테이너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기 시작하였다.
왜 하필이면 쿠버네티스인가?
그렇다면 Swarm,Mesosphere 가 아니라 왜 하필이면 쿠버네티스인가? 컨테이너 운용 환경은 여러 오픈소스에 의해서 표준이 없이 혼돈이었다가 작년말을 기점으로 해서 쿠버네티스가 de-facto 표준으로 되어가는 형국이다. 아래 트랜드 그래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쿠버네티스의 트랜드가 지속적으로 올라가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요 클라우드 벤더인 아마존,구글,애저 모두 컨테이너 관리 환경을 쿠버네티스를 지원하는 정책으로 변화된것은 물론이고 IBM이나 시스코와 같은 온프렘(on-premise) 솔루션 업체들도 경쟁적으로 쿠버네티스를 지원하고 있다.
컨테이너 운영환경이 무엇인데?
컨테이너 (도커)에 필요성과 마이크로 서비스의 관계등에 대해서는 워낙 소개된 글들이 많아서 생략한다. 그렇다면 쿠버네티스가 제공하는 컨테이너 운영환경이란 무엇인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컨테이너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컨테이너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도커가 있다. 도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그러면 단순하게 도커 컨테이너를 하드웨어나 VM에 배포하면 사용하면 되지 왜 컨테이너 운영환경이 필요한가?
작은 수의 컨테이너라면 수동으로 VM이나 하드웨어에 직접 배포하면 되지만, VM이나 하드웨어의 수가 많아지고 컨테이너의 수가 많아지면, 이 컨테이너를 어디에 배포해야 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필요하다.
16 CPU, 32 GB 메모리 머신들에 컨테이너를 배포할때 컨테이너 사이즈가 2 CPU, 3 CPU, 8 CPU등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을 최대한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적절한 위치에 배포해야 하고, 애플리케이션 특성들에 따라서, 같은 물리 서버에 배포가 되어야 하거나 또는 가용성을 위해서 일부러 다른 물리서버에 배포되어야 하는 일이 있다. 이렇게 컨테이너를 적절한 서버에 배포해주는 역할을 스케쥴링이라고 한다.
이러한 스케쥴링 뿐만이 아니라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체크하고 문제가 있으면 재 기동등을 해주고, 모니터링, 삭제관리등 컨테이너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를 해주는 환경이 필요한데, 이를 컨테이너 운영환경이라고 한다.
쿠버네티스란?
이런 컨테이너 운영환경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솔루션이 쿠버네티스 (Kubernetes, 약어로 k8s)라고 한다.
구글은 내부 서비스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일찌감치 컨테이너 환경을 사용해왔다. 구글의 내부 컨테이너 서비스를 Borg라고 하는데, 이 구조를 오픈소스화한것이 쿠버네티스이다.
GO 언어로 구현이되었으며, 특히 재미있는 것은 벤더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퍼블릭 클라우드 (구글,아마존,애저)등에 사용이 가능하고 오픈 스택과 같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 환경이나 또는 베어메탈 (가상화 환경을 사용하지 않는 일반 서버 하드웨어)에도 배포가 가능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여러 퍼블릭 클라우드를 섞어서 사용하는 환경이나 온프렘/퍼블릭 클라우드를 혼용해서 쓰는 환경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솔루션으로 많이 각광 받고 있다.
흔히들 컨테이너를 이야기 하면 도커를 떠올리기 쉬운데, 도커가 물론 컨테이너 엔진의 대표격이기는 하지만 이 이외도 rkt나 Hyper container(https://hypercontainer.io/) 등 다양한 컨테이너 엔진들이 있으며, 쿠버네티스는 이런 다양한 컨테이너 엔진을 지원한다.
컨테이너 환경을 왜 VM에 올리는가?
온프렘 환경(데이타센터)에서 쿠버네티스를 올릴때 궁금했던점 중의 하나가, 바로 베어메탈 머신위에 쿠버네티스를 깔면 되는데, 보통 배포 구조는 VM(가상화 환경)을 올린 후에, 그 위에 쿠버네티스를 배포하는 구조를 갖는다. 왜 이렇게 할까 한동안 고민을 한적이 있었는데, 나름데로 내린 결론은 하드웨어 자원 활용의 효율성이다. 컨테이너 환경은 말그대로 하드웨어 자원을 컨테이너화하여 isolation 하는 기능이 주다. 그에 반해 가상화 환경은 isolation 기능도 가지고 있지만, 가상화를 통해서 자원 , 특히 CPU의 수를 늘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8 CPU 머신을 쿠버네티스로 관리 운영하면, 8 CPU로밖에 사용할 수 없지만, 가상화 환경을 중간에 끼면, 8 CPU를 가상화 해서 2배일 경우 16 CPU로, 8배일 경우 64 CPU로 가상화 하여 좀 더 자원을 잘게 나눠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결론을 내렸다.
이 이외에도 스토리지 자원의 활용 용이성이나 노드 확장등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다음 글에서는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의 구성과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도커 &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3- 개념이해 (2/2) 컨트롤러 (0) | 2018.05.30 |
---|---|
쿠버네티스 #2 - 개념 이해 (1/2) (20) | 2018.05.21 |
맥에서 도커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1) | 2018.04.17 |
도커에서 컨테이너로 로그인 하기 (0) | 2018.04.13 |
Docker 소개 (7) | 2013.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