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NoSQL/운영 & Devops

Phoenix (피닉스) 서버 패턴

Terry Cho 2018. 1. 11. 00:11

피닉스 서버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근래에 들어서 인프라 스트럭쳐를 소프트웨어로 정의하는 Infrastructure As a Code (줄여서 IaC라고 부름)를 관심있게 보고 있는데, CI/CD의 단순 연장선상의 하나의 툴링정도로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상당히 넓은 생태계라서 좀더 깊게 보고 있다.

IaC는 일반적인 툴이나 단순한 프로세스가 아니라 하나의 사상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툴링 관점의 접근 보다는 사상과 배경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IaC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개념으로 Snowflakes Server (스노우플레이크 서버)와 Phoenix Server(피닉스 서버)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Snowflakes Server (스노우 플레이크 서버)

예전에 일반적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방법은 서버를 설치한 후 OS를 인스톨한 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형태였다. 여기에 문제가 생긴 경우 패치를 하거나 정기적인 보안 패치 튜닝들을 해당 서버에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애플리케이션은 CI/CD 등의 툴을 이용하여 배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렇게 한번 설치한 서버에 계속해서 설정을 변경하고 패치를 적용하는 등의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운영하는 서버를 스노우 플레이크 서버 (눈송이 서버)라고 하는데, 이렇게 설정된 서버는 다시 똑같이 설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모든 설정과정이 문서화가 잘되어 있으면 모르겠지만 대부분 문서화가 꼼꼼한 경우도 드물뿐더러,  담당자가 바뀌거나 관리 조직이 바뀌는 경우에는 그 이력이 제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없다. 그래서 장비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OS를 새로 인스톨해서 같은 환경을 꾸미고자 할때 예전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기가 어렵고 그래서, 누락된 설정이나 패치등에 의해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한번 설정을 하고 다시 설정이 불가능한, “마치 눈처럼 녹아버리는" 서버의 형태를 스노우 플레이크 서버라고 한다.


재 구성의 문제뿐 아니라, 이런 스노우 플레이크 서버는 구성 편차를 유발하기도 하는데, 여러대의 웹서버를 운영하고 있는 조직에서, 문제가 있어서 특정 서버를 패치한 경우, 다른 동일한 웹서버를 모두 패치 하지 않는 이상 구성이 달라진다.  이는 또 운영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hoenix Server (피닉스 서버)

그래서 나온 서버 패턴이 피닉스 서버 패턴인데, 피닉스(불사조)는 불멸로도 알려져있지만 정확히는 불속에서 다시 태어나는 re-born (재탄생)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 재탄생의 개념을 서버 설정 방식에 적용한 패턴이 피닉스 서버 패턴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거나 설정을 변경할때 기존 서버에 변경 작업을 더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 OS 설치에서 부터, 소프트웨어 인스톨, 설정 변경까지를 다시 반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분투 16, 톰캣 7.0 버전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버가 있을때, 이 서버에 로그 수집 모듈은 fluentd를 설치하는 케이스가 있다고 가정하자.


스노우플레이크 서버 패턴의 경우에는 이미 운영되고 있는 서버에 새롭게 fluentd를 일일이 설치하거나 자동화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ansible 이나 chef등의 configuration management 도구를 이용하여 fluentd를 설치하게 된다.


피닉스 서버 패턴의 경우에는 새 VM을 다시 만들고, 우분투 16 OS를 설치하고, 톰캣 7.0을 설치하고 fluentd를 설치한 다음. 이 VM으로 기존 VM 을 교체한다.


매번 전체 설치를 반복한다면 매우 많은 시간이 들텐데, 어떻하냐? 물론 매번 이렇게 새롭게  모든 스택을 설치하지 않는다. 어느정도 공통 스택은 가상머신의 베이스 이미지 (VM Base Image)로 만들어놓고, 이 이미지를 이용하여 VM을 생성한 후에, 차이가 나는 부분만 설정을 하는 구조를 설정하는 구조를 사용하게 되고 이 과정은 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해서 자동화하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피닉스 서버 패턴에서는 매번 전체를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설치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 스크립트에 모든 설정 정보가 유지되게 된다.

  • 이 스크립트 코드를, git와 같은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을 이용해서 관리하게 되면, 어떤 부분을 누가 어떻게 수정을 했는지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피닉스 서버 패턴을 이용한 배포 구조

그러면 이 피닉스 서버 패턴을 이용한 배포 구조를 보도록 하자

앞의 예제와 같이 Ubuntu 16, Tomcat 7이 설치된 VM서버 2대가 서비스되고 있고, 이 서버들은 앞단에 로드밸런서에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자. 이 VM들은 Ubuntu16, Tomcat 7이 설치되어 있는 Base Image로 생성했다고 가정하자.



Fluentd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피닉스 서버 패턴 처럼, Fluentd가 설치된 새로운 base image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VM들을 만든다. 이 VM들 그룹은 아직 서비스가 되기 전으로, 이 그룹을 Pre-production 그룹이라고 한다.



Pre-production 그룹이 정상적으로 들어왔으면 로드밸런서를 변경하여 기존의 구 버전 VM으로 들어가던 트래픽을 pre-production 그룹으로 옮겨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존의 운영환경을 지워주면 아래와 같이 새 환경으로 서비스 하는 환경만 남게 된다.


이렇게 서버가 구 버전에서 새버전으로 재탄생(re-born)하는 것이 피닉스 서버 패턴이다.


이 패턴의 문제는 VM 이미지를 빌드하기 때문에, 빌드 및 배포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또한 배포 당시 기존 Production 환경과 Pre-production 환경이 공존하기 때문에, 다소 추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이 피닉스 서버 패턴에서 중요한것은 기존 이미지를 이용하여 변경을 주고, 이를 다시 이미지로 만들어낼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스노우플레이크 서버이지 피닉스 서버가 아니다. 피닉스 서버는 기존 이미지를 재 사용하는게 아니라 처음부터 모든 스택을 새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모든 스택을 설치하여 이미지를 만들 수 있는 자동화 툴이 필요하다. 다음 글에서는 이미지 생성을 자동화 해주는 HashiCorp의 Packer라는 오픈소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