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타 & 머신러닝/머신러닝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비정상 거래 검출 모델의 구현 #4 - 오토인코더 기반의 신용카드 이상거래 검출코드와 분석 결과

Terry Cho 2017. 9. 27. 11:18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비정상 거래 검출 모델 구현 #4

신용카드 이상 거래 감지 코드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구현코드


전체 모델 코드는 https://github.com/bwcho75/tensorflowML/blob/master/autoencoder/creditcard_fraud_detection/3.model.ipynb 에 있다.


코드는 http://bcho.tistory.com/1198 에 설명한 MNIST 데이타를 이용한 오토인코더 모델과 다르지 않다. 차이는 데이타 피딩을 784개의 피쳐에서 28개의 피쳐로만 변환하였고, 데이타를 MNIST 데이타셋에서 CSV에서 읽는 부분만 변경이 되었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학습 및 예측 결과

모델을 만들고 학습을 한후에, 이상 거래를 검출해봤다. 학습은

creditcard_validation.csv에 총 57108개의 거래로그가 저장되어 있었고, 그중에, 246개가 비정상 거래였다.

네트워크는 28,20,10,7,10,20,28 형태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입출력 값의 차이가 큰것을 기준으로 이 값이 어느 임계치 수준 이상이면 비정상 거래로 검출하도록 하고 실험을 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계치

검출된 비정상 거래수

정상거래인데 비정상 거래로 검출된 거래

1.1

112

1

1.0

114

5

0.9

117

7

0.8

124

22


대략 검출 비율은 112~120 개 내외로 / 246개 중에서 50%가 안된다.

검출된 거래가 이상 거래인지 아닌지 여부는 대략 90% 이상이 된다.


결론

네트워크를 튜닝하고나 학습 시키는 피쳐를 변형 시키면 예상하건데, 50% 보다 높은 70~80%의 이상 거래는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케이스의 경우는 비정상 거래가 레이블링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런 실험이 가능했지만, 일반적인 이상 거래 검출의 경우에는 레이블링되어 있는 비정상 거래를 얻기 힘들다. 그래서 오토인코더를 통해서 전체 데이타를 학습 시킨후에, 각 트렌젝션이나 그룹별(사용자나 쇼핑몰의 경우 판매자등)로 오토인코더를 통해서 VALIDATION을 한후, 입출력값의 차이가 큰것의 경우에는 비정상 거래일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입출력값이 차이가 큰것 부터 데이타 탐색을 통하여 이상 거래 패턴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서 임계치를 조정하여, 이상거래를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후에, 이상 거래에 대한 데이타가 어느정도 수집되면 DNN등의 지도 학습 모델을 구축하여 이상 거래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거치는 방법이 더 현실적인 방법이 아닐까 한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