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타 & 머신러닝/머신러닝

딥러닝을 이용한 숫자 이미지 인식 #1/2-학습

Terry Cho 2017. 1. 9. 14:17

딥러닝을 이용한 숫자 이미지 인식 #1/2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지난 글(http://bcho.tistory.com/1154 ) 을 통해서 소프트맥스 회귀를 통해서, 숫자를 인식하는 모델을 만들어서 학습 시켜 봤다.

이번글에서는 소프트맥스보다 정확성이 높은 컨볼루셔널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숫자 이미지를 인식하는 모델을 만들어 보겠다.


이 글의 목적은 CNN 자체의 설명이나, 수학적 이론에 대한 이해가 목적이 아니다. 최소한의 수학적 지식만 가지고, CNN 네트워크 모델을 텐서플로우로 구현하는데에 그 목적을 둔다. CNN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Softmax 등의 함수를 이해하는게 좋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http://bcho.tistory.com/1154 예제를 먼저 보고 이 문서를 보는게 좋다. 그 다음에 CNN 모델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위해서 http://bcho.tistory.com/1149  문서를 참고하고 이 문서를 보는 것이 좋다.


이번 글은 CNN을 적용하는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몇가지 팁을 추가로 소개한다.

  • 학습이 된 모델을 저장하고 다시 로딩 하는 방법

  •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실제로 주피터 노트북에서 글씨를 써보고 인식하는 방법

MNIST CNN 모델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모델은 두개의 컨볼루셔널 레이어(Convolutional layer)과, 마지막에 풀리 커넥티드 레이어 (fully connected layer)을 가지고 있는 컨볼루셔널 네트워크 모델(CNN) 이다.

모델의 모양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입력 데이타

입력으로 사용되는 데이타는 앞의 소프트맥스 예제에서 사용한 데이타와 동일한 손으로 쓴 숫자들이다. 각 숫자 이미지는 28x28 픽셀로 되어 있고, 흑백이미지이기 때문에 데이타는 28x28x1 행렬이 된다. (만약에 칼라 RGB라면 28x28x3이 된다.)

컨볼루셔널 계층

총 두 개의 컨볼루셔널 계층을 사용했으며, 각 계층에서 컨볼루셔널 필터를 사용해서, 특징을 추출한다음에, 액티베이션 함수 (Activation function)으로, ReLu를 적용한 후, 맥스풀링 (Max Pooling)을 이용하여, 주요 특징을 정리해낸다.

이와 같은 컨볼루셔널 필터를 두개를 중첩하여 적용하였다.

마지막 풀리 커넥티드 계층

컨볼루셔널 필터를 통해서 추출된 특징은 풀리 커넥티드 레이어(Fully connected layer)에 의해서 분류 되는데, 풀리 커넥티드 레이어는 하나의 뉴럴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그 뒤에 드롭아웃 (Dropout) 계층을 넣어서, 오버피팅(Overfitt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소프트맥스 (Softmax) 함수를 이용하여 0~9 열개의 숫자로 분류를 한다.


학습(트레이닝) 코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코드

import tensorflow as tf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tensorflow.examples.tutorials.mnist import input_data



tf.reset_default_graph()


np.random.seed(20160704)

tf.set_random_seed(20160704)


# load data

mnist = input_data.read_data_sets("/tmp/data/", one_hot=True)


# define first layer

num_filters1 = 32


x = tf.placeholder(tf.float32, [None, 784])

x_image = tf.reshape(x, [-1,28,28,1])


W_conv1 = tf.Variable(tf.truncated_normal([5,5,1,num_filters1],

                                         stddev=0.1))

h_conv1 = tf.nn.conv2d(x_image, W_conv1,

                      strides=[1,1,1,1], padding='SAME')


b_conv1 = tf.Variable(tf.constant(0.1, shape=[num_filters1]))

h_conv1_cutoff = tf.nn.relu(h_conv1 + b_conv1)


h_pool1 = tf.nn.max_pool(h_conv1_cutoff, ksize=[1,2,2,1],

                        strides=[1,2,2,1], padding='SAME')


# define second layer

num_filters2 = 64


W_conv2 = tf.Variable(

           tf.truncated_normal([5,5,num_filters1,num_filters2],

                               stddev=0.1))

h_conv2 = tf.nn.conv2d(h_pool1, W_conv2,

                      strides=[1,1,1,1], padding='SAME')


b_conv2 = tf.Variable(tf.constant(0.1, shape=[num_filters2]))

h_conv2_cutoff = tf.nn.relu(h_conv2 + b_conv2)


h_pool2 = tf.nn.max_pool(h_conv2_cutoff, ksize=[1,2,2,1],

                        strides=[1,2,2,1], padding='SAME')


# define fully connected layer

h_pool2_flat = tf.reshape(h_pool2, [-1, 7*7*num_filters2])


num_units1 = 7*7*num_filters2

num_units2 = 1024


w2 = tf.Variable(tf.truncated_normal([num_units1, num_units2]))

b2 = tf.Variable(tf.constant(0.1, shape=[num_units2]))

hidden2 = tf.nn.relu(tf.matmul(h_pool2_flat, w2) + b2)


keep_prob = tf.placeholder(tf.float32)

hidden2_drop = tf.nn.dropout(hidden2, keep_prob)


w0 = tf.Variable(tf.zeros([num_units2, 10]))

b0 = tf.Variable(tf.zeros([10]))

k = tf.matmul(hidden2_drop, w0) + b0

p = tf.nn.softmax(k)


#define loss (cost) function

t = tf.placeholder(tf.float32, [None, 10])

loss = tf.reduce_mean(tf.nn.softmax_cross_entropy_with_logits(k,t))

train_step = tf.train.AdamOptimizer(0.0001).minimize(loss)

correct_prediction = tf.equal(tf.argmax(p, 1), tf.argmax(t, 1))

accuracy = tf.reduce_mean(tf.cast(correct_prediction, tf.float32))


# prepare session

sess = tf.InteractiveSession()

sess.run(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

saver = tf.train.Saver()


# start training

i = 0

for _ in range(1000):

   i += 1

   batch_xs, batch_ts = mnist.train.next_batch(50)

   sess.run(train_step,

            feed_dict={x:batch_xs, t:batch_ts, keep_prob:0.5})

   if i % 500 == 0:

       loss_vals, acc_vals = [], []

       for c in range(4):

           start = len(mnist.test.labels) / 4 * c

           end = len(mnist.test.labels) / 4 * (c+1)

           loss_val, acc_val = sess.run([loss, accuracy],

               feed_dict={x:mnist.test.images[start:end],

                          t:mnist.test.labels[start:end],

                          keep_prob:1.0})

           loss_vals.append(loss_val)

           acc_vals.append(acc_val)

       loss_val = np.sum(loss_vals)

       acc_val = np.mean(acc_vals)

       print ('Step: %d, Loss: %f, Accuracy: %f'

              % (i, loss_val, acc_val))


saver.save(sess, 'cnn_session')

sess.close()



데이타 로딩 파트

그러면 코드를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맨 처음 블럭은 데이타를 로딩하고 각종 변수를 초기화 하는 부분이다.

import tensorflow as tf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tensorflow.examples.tutorials.mnist import input_data


#Call tf.reset_default_graph() before you build your model (and the Saver). This will ensure that the variables get the names you intended, but it will invalidate previously-created graphs.


tf.reset_default_graph()


np.random.seed(20160704)

tf.set_random_seed(20160704)


# load data

mnist = input_data.read_data_sets("/tmp/data/", one_hot=True)


Input_data 는 텐서플로우에 내장되어 있는 MNIST (손으로 쓴 숫자 데이타)셋으로, read_data_sets 메서드를 이요하여 데이타를 읽었다. 데이타 로딩 부분은 앞의 소프트맥스 MNIST와 같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여기서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tf.reset_default_graph()  인데, 주피터 노트북과 같은 환경에서 실행을 하게 되면, 주피터 커널을 리스타트하지 않는 이상 변수들의 컨택스트가 그대로 유지 되기 때문에, 위의 코드를 같은 커널에서 tf.reset_default_graph() 없이, 두 번 이상 실행하게 되면 에러가 난다. 그 이유는 텐서플로우 그래프를 만들어놓고, 그 그래프가 지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같은 그래프를 생성하면서 나오는 에러인데, tf.reset_default_graph() 메서드는 기존에 생성된 디폴트 그래프를 모두 삭제해서 그래프가 중복되는 것을 막아준다. 일반적인 파이썬 코드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컨택스트가 계속 유지되는 주피터 노트북 같은 경우에는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니, 반드시 디폴트 그래프를 리셋해주도록 하자

첫번째 컨볼루셔널 계층

필터의 정의

다음은 첫번째 컨볼루셔널 계층을 정의 한다. 컨볼루셔널 계층을 이해하려면 컨볼루셔널 필터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데, 다시 한번 되짚어 보자.

컨볼루셔널 계층에서 하는 일은 입력 데이타에 필터를 적용하여, 특징을 추출해 낸다.


이 예제에서 입력 받는 이미지 데이타는  28x28x1 행렬로 표현된 흑백 숫자 이미지이고, 예제 코드에서는 5x5x1 사이즈의 필터를 적용한다.

5x5x1 사이즈의 필터 32개를 적용하여, 총 32개의 특징을 추출할것이다.


코드

필터 정의 부분까지 코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define first layer

num_filters1 = 32


x = tf.placeholder(tf.float32, [None, 784])

x_image = tf.reshape(x, [-1,28,28,1])


W_conv1 = tf.Variable(tf.truncated_normal([5,5,1,num_filters1],


x는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타로, 2차원 행렬(28x28)이 아니라, 1차원 벡터(784)로 되어 있고, 데이타의 수는 무제한으로 정의하지 않았다. 그래서 placeholder정의에서 shape이 [None,784] 로 정의 되어 있다.  

예제에서는 연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2차원 행렬을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784 1차원 벡터를 28x28x1 행렬로 변환을 해준다.

x_image는 784x무한개인 이미지 데이타 x를 , (28x28x1)이미지의 무한개 행렬로  reshape를 이용하여 변경하였다. [-1,28,28,1]은 28x28x1 행렬을 무한개(-1)로 정의하였다.


필터를 정의하는데, 필터는 앞서 설명한것과 같이 5x5x1 필터를 사용할것이고, 필터의 수는 32개이기 때문에, 필터 W_conv1의 차원(shape)은 [5,5,1,32] 가된다. (코드에서 32는 num_filters1 이라는 변수에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W_conv1의 초기값은 [5,5,1,32] 차원을 가지는 난수를 생성하도록 tf.truncated_normal을 사용해서 임의의 수가 지정되도록 하였다.

필터 적용

필터를 정의했으면 필터를 입력 데이타(이미지)에 적용한다.


h_conv1 = tf.nn.conv2d(x_image, W_conv1,

                      strides=[1,1,1,1], padding='SAME')


필터를 적용하는 방법은 tf.nn.conv2d를 이용하면 되는데, 28x28x1 사이즈의 입력 데이타인 x_image에 앞에서 정의한 필터 W_conv1을 적용하였다.

스트라이드 (Strides)

필터는 이미지의 좌측 상단 부터 아래 그림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적용된다.


이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은 모양이 된다.


이렇게 필터를 움직이는 간격을 스트라이드 (Stride)라고 한다.

예제에서는 우측으로 한칸 그리고 끝까지 이동하면 아래로 한칸을 이동하도록 각각 가로와 세로의 스트라이드 값을 1로 세팅하였다.

코드에서 보면

h_conv1 = tf.nn.conv2d(x_image, W_conv1,

                      strides=[1,1,1,1], padding='SAME')

에서 strides=[1,1,1,1] 로 정의한것을 볼 수 있다. 맨앞과 맨뒤는 통상적으로 1을 쓰고, 두번째 1은 가로 스트라이드 값, 그리고 세번째 1은 세로 스트라이드 값이 된다.

패딩 (Padding)

위의 그림과 같이 필터를 적용하여 추출된 특징 행렬은 원래 입력된 이미지 보다 작게 된다.

연속해서 필터를 이런 방식으로 적용하다 보면 필터링 된 특징들이  작아지게되는데, 만약에 특징을  다 추출하기 전에 특징들이 의도하지 않게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패딩이라는 것을 사용한다.


패딩이란, 입력된 데이타 행렬 주위로, 무의미한 값을 감싸서 원본 데이타의 크기를 크게 해서, 필터를 거치고 나온 특징 행렬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무의미한 값을 넣음으로써, 오버피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드상에서 padding 변수를 이용하여 패딩 방법을 정의하였다.


h_conv1 = tf.nn.conv2d(x_image, W_conv1,

                      strides=[1,1,1,1], padding='SAME')



padding=’SAME’을 주게 되면, 텐서플로우가 자동으로 패딩을 삽입하여 입력값과 출력값 (특징 행렬)의 크기가 같도록 한다. padding=’VALID’를 주게 되면, 패딩을 적용하지 않고 필터를 적용하여 출력값 (특징 행렬)의 크기가 작아진다.

활성함수 (Activation function)의 적용

필터 적용이 끝났으면, 이 필터링된 값에 활성함수를 적용한다. 컨볼루셔널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활성함수는 ReLu 함수이다.


코드

b_conv1 = tf.Variable(tf.constant(0.1, shape=[num_filters1]))

h_conv1_cutoff = tf.nn.relu(h_conv1 + b_conv1)


먼저 bias 값( y=WX+b 에서 b)인 b_conv1을 정의하고, tf.nn.relu를 이용하여, 필터된 결과(h_conv1)에 bias 값을 더한 값을 ReLu 함수로 적용하였다.

Max Pooling

추출된 특징 모두를 가지고 특징을 판단할 필요가 없이, 일부 특징만을 가지고도 특징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서 고해상도의 큰 사진을 가지고도 어떤 물체를 식별할 수 있지만, 작은 사진을 가지고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렇게 특징의 수를 줄이는 방법을 서브샘플링 (sub sampling)이라고 하는데, 서브샘플링을 해서 전체 특징의 수를 의도적으로 줄이는 이유는 데이타의 크기를 줄이기 때문에, 컴퓨팅 파워를 절약할 수 있고, 데이타가 줄어드는 과정에서 데이타가 유실이 되기 때문에, 오버 피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샘플링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예제에서는 맥스 풀링 (max pooling)이라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맥스 풀링은 풀링 사이즈 (mxn)로 입력데이타를 나눈후 그 중에서 가장 큰 값만을 대표값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원본 데이타에서 2x2 사이즈로 맥스 풀링을 해서 결과를 각 셀별로 최대값을 뽑아내었고, 이 셀을 가로 2칸씩 그리고 그다음에는 세로로 2칸씩 이동하는 stride 값을 적용하였다.


코드

h_pool1 = tf.nn.max_pool(h_conv1_cutoff, ksize=[1,2,2,1],

                        strides=[1,2,2,1], padding='SAME')


Max pooling은 tf.nn.max_pool이라는 함수를 이용해서 적용할 수 있는데, 첫번째 인자는 활성화 함수 ReLu를 적용하고 나온 결과 값인 h_conv1_cutoff 이고, 두 번째 인자인 ksize는 풀링 필터의 사이즈로 [1,2,2,1]은 2x2 크기로 묶어서 풀링을 한다는 의미이다.


다음 stride는 컨볼루셔널 필터 적용과 마찬가지로 풀링 필터를 가로와 세로로 얼마만큼씩 움직일 것인데, strides=[1,2,2,1]로, 가로로 2칸, 세로로 2칸씩 움직이도록 정의하였다.


행렬의 차원 변환

텐서플로우를 이용해서 CNN을 만들때 각각 개별의 알고리즘을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각 계층을 추가하거나 연결하기 위해서는 행렬의 차원이 어떻게 바뀌는지는 이해해야 한다.

다음 그림을 보자


첫번째 컨볼루셔널 계층은 위의 그림과 같이, 처음에 28x28x1 의 이미지가 들어가면 32개의 컨볼루셔널 필터 W를 적용하게 되고, 각각은 28x28x1의 결과 행렬을 만들어낸다. 컨볼루셔널 필터를 거치게 되면 결과 행렬의 크기는 작아져야 정상이지만, 결과 행렬의 크기를 입력 행렬의 크기와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padding=’SAME’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bias 값 b를 더한후 (위의 그림에는 생략하였다) 에 이 값에 액티베이션 함수 ReLu를 적용하고 나면 행렬 크기에 변화 없이 28x28x1 행렬 32개가 나온다. 이 각각의 행렬에 size가 2x2이고, stride가 2인 맥스풀링 필터를 적용하게 되면 각각의 행렬의 크기가 반으로 줄어들어 14x14x1 행렬 32개가 리턴된다.


두번째 컨볼루셔널 계층


이제 두번째 컨볼루셔널 계층을 살펴보자. 첫번째 컨볼루셔널 계층과 다를 것이 없다.


코드

# define second layer

num_filters2 = 64


W_conv2 = tf.Variable(

           tf.truncated_normal([5,5,num_filters1,num_filters2],

                               stddev=0.1))

h_conv2 = tf.nn.conv2d(h_pool1, W_conv2,

                      strides=[1,1,1,1], padding='SAME')


b_conv2 = tf.Variable(tf.constant(0.1, shape=[num_filters2]))

h_conv2_cutoff = tf.nn.relu(h_conv2 + b_conv2)


h_pool2 = tf.nn.max_pool(h_conv2_cutoff, ksize=[1,2,2,1],

                        strides=[1,2,2,1], padding='SAME')


단 필터값인 W_conv2의 차원이 [5,5,32,64] ([5,5,num_filters1,num_filters2] 부분 )로 변경되었다.


W_conv2 = tf.Variable(

           tf.truncated_normal([5,5,num_filters1,num_filters2],

                               stddev=0.1))


필터의 사이즈가 5x5이고, 입력되는 값이 32개이기 때문에, 32가 들어가고, 총 64개의 필터를 적용하기 때문에 마지막 부분이 64가 된다.

첫번째 필터와 똑같이 stride를 1,1을 줘서 가로,세로로 각각 1씩 움직이고, padding=’SAME’으로 입력과 출력 사이즈를 같게 하였다.


h_pool2 = tf.nn.max_pool(h_conv2_cutoff, ksize=[1,2,2,1],

                        strides=[1,2,2,1], padding='SAME')


맥스풀링 역시 첫번째 필터와 마찬가지로 2,2 사이즈의 필터(ksize=[1,2,2,1]) 를 적용하고 stride값을 2,2로 줘서 (strides=[1,2,2,1]) 가로 세로로 두칸씩 움직이게 하여 결과의 크기가 반으로 줄어들게 하였다.


14x14 크기의 입력값 32개가 들어가서, 7x7 크기의 행렬 64개가 리턴된다.

풀리 커넥티드 계층

두개의 컨볼루셔널 계층을 통해서 특징을 뽑아냈으면, 이 특징을 가지고 입력된 이미지가 0~9 중 어느 숫자인지를 풀리 커넥티드 계층 (Fully connected layer)를 통해서 판단한다.


코드

# define fully connected layer

h_pool2_flat = tf.reshape(h_pool2, [-1, 7*7*num_filters2])


num_units1 = 7*7*num_filters2

num_units2 = 1024


w2 = tf.Variable(tf.truncated_normal([num_units1, num_units2]))

b2 = tf.Variable(tf.constant(0.1, shape=[num_units2]))

hidden2 = tf.nn.relu(tf.matmul(h_pool2_flat, w2) + b2)


keep_prob = tf.placeholder(tf.float32)

hidden2_drop = tf.nn.dropout(hidden2, keep_prob)


w0 = tf.Variable(tf.zeros([num_units2, 10]))

b0 = tf.Variable(tf.zeros([10]))

k = tf.matmul(hidden2_drop, w0) + b0

p = tf.nn.softmax(k)


입력된 64개의 7x7 행렬을 1차원 행렬로 변환한다.


h_pool2_flat = tf.reshape(h_pool2, [-1, 7*7*num_filters2])


다음으로 풀리 커넥티드 레이어에 넣는데, 이때 입력값은 64x7x7 개의 벡터 값을 1024개의 뉴런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w2 = tf.Variable(tf.truncated_normal([num_units1, num_units2]))

b2 = tf.Variable(tf.constant(0.1, shape=[num_units2]))


그래서 w2의 값은 [num_units1,num_units2]로 num_units1은 64x7x7 로 입력값의 수를, num_unit2는 뉴런의 수를 나타낸다. 다음 아래와 같이 이 뉴런으로 계산을 한 후 액티베이션 함수 ReLu를 적용한다.


hidden2 = tf.nn.relu(tf.matmul(h_pool2_flat, w2) + b2)


다음 레이어에서는 드롭 아웃을 정의하는데, 드롭 아웃은 오버피팅(과적합)을 막기 위한 계층으로, 원리는 다음 그림과 같이 몇몇 노드간의 연결을 끊어서 학습된 데이타가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서 오버피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법이다.


출처 : http://cs231n.github.io/neural-networks-2/


텐서 플로우에서 드롭 아웃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아래 코드와 같이 tf.nn.dropout 이라는 함수를 이용하여, 앞의 네트워크에서 전달된 값 (hidden2)를 넣고 keep_prob에, 연결 비율을 넣으면 된다.

keep_prob = tf.placeholder(tf.float32)

hidden2_drop = tf.nn.dropout(hidden2, keep_prob)


연결 비율이란 네트워크가 전체가 다 연결되어 있으면 1.0, 만약에 50%를 드롭아웃 시키면 0.5 식으로 입력한다.

드롭 아웃이 끝난후에는 결과를 가지고 소프트맥스 함수를 이용하여 10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w0 = tf.Variable(tf.zeros([num_units2, 10]))

b0 = tf.Variable(tf.zeros([10]))

k = tf.matmul(hidden2_drop, w0) + b0

p = tf.nn.softmax(k)

비용 함수 정의

여기까지 모델 정의가 끝났다. 이제 이 모델을 학습 시키기 위해서 비용함수(코스트 함수)를 정의해보자.

코스트 함수는 크로스엔트로피 함수를 이용한다.

#define loss (cost) function

t = tf.placeholder(tf.float32, [None, 10])

loss = tf.reduce_mean(tf.nn.softmax_cross_entropy_with_logits(k,t))

train_step = tf.train.AdamOptimizer(0.0001).minimize(loss)


k는 앞의 모델에 의해서 앞의 모델에서

k = tf.matmul(hidden2_drop, w0) + b0

p = tf.nn.softmax(k)


으로 softmax를 적용하기 전의 값이다.  Tf.nn.softmax_cross_entropy_with_logits 는 softmax가 포함되어 있는 함수이기 때문에, p를 적용하게 되면 softmax 함수가 중첩 적용되기 때문에, softmax 적용전의 값인 k 를 넣었다.


WARNING: This op expects unscaled logits, since it performs a softmax on logits internally for efficiency. Do not call this op with the output of softmax, as it will produce incorrect results

https://github.com/tensorflow/tensorflow/blob/master/tensorflow/g3doc/api_docs/python/functions_and_classes/shard7/tf.nn.softmax_cross_entropy_with_logits.md


t는 플레이스 홀더로 정의하였는데, 나중에 학습 데이타 셋에서 읽을 라벨 (그 그림이 0..9 중 어느 숫자인지)이다.


그리고 이 비용 함수를 최적화 하기 위해서 최적화 함수 AdamOptimizer를 사용하였다.

(앞의 소프트맥스 예제에서는 GradientOptimizer를 사용하였는데, 일반적으로 AdamOptimizer가 좀 더 무난하다.)

학습

이제 모델 정의와, 모델의 비용함수와 최적화 함수까지 다 정의하였다. 그러면 이 그래프들을 데이타를 넣어서 학습 시켜보자.  학습은 배치 트레이닝을 이용할것이다.


학습 도중 학습의 진행상황을 보기 위해서 학습된 모델을 중간중간 테스트할것이다. 테스트할때마다 학습의 정확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데, 이를 위해서 정확도를 계산하는 함수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define validation function

correct_prediction = tf.equal(tf.argmax(p, 1), tf.argmax(t, 1))

accuracy = tf.reduce_mean(tf.cast(correct_prediction, tf.float32))


correct_prediction은 학습 결과와 입력된 라벨(정답)을 비교하여 맞았는지 틀렸는지를 리턴한다.

argmax는 인자에서 가장 큰 값의 인덱스를 리턴하는데, 0~9 배열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가장 큰 값이 학습에 의해 예측된 숫자이다. p는 예측에 의한 결과 값이고, t는 라벨 값이다 이 두 값을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이 있는 인덱스가 일치하면 예측이 성공한것이다.

correct_pediction은 bool 값이기 때문에, 이 값을 숫자로 바꾸기 위해서 tf.reduce_mean을 사용하여, accuracy에 저장하였다.


이제 학습을 세션을 시작하고, 변수들을 초기화 한다.

# prepare session

sess = tf.InteractiveSession()

sess.run(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

saver = tf.train.Saver()


다음 배치 학습을 시작한다.

# start training

i = 0

for _ in range(10000):

   i += 1

   batch_xs, batch_ts = mnist.train.next_batch(50)

   sess.run(train_step,

            feed_dict={x:batch_xs, t:batch_ts, keep_prob:0.5})

   if i % 500 == 0:

       loss_vals, acc_vals = [], []

       for c in range(4):

           start = len(mnist.test.labels) / 4 * c

           end = len(mnist.test.labels) / 4 * (c+1)

           loss_val, acc_val = sess.run([loss, accuracy],

               feed_dict={x:mnist.test.images[start:end],

                          t:mnist.test.labels[start:end],

                          keep_prob:1.0})

           loss_vals.append(loss_val)

           acc_vals.append(acc_val)

       loss_val = np.sum(loss_vals)

       acc_val = np.mean(acc_vals)

       print ('Step: %d, Loss: %f, Accuracy: %f'

              % (i, loss_val, acc_val))


학습은 10,000번 루프를 돌면서 한번에 50개씩 배치로 데이타를 읽어서 학습을 진행하고, 500 번째 마다 중각 학습 결과를 출력한다. 중간 학습 결과에서는 10,000 중 몇번째 학습인지와, 비용값 그리고 정확도를 출력해준다.


코드를 보자


   batch_xs, batch_ts = mnist.train.next_batch(50)


MNIST 학습용 데이타 셋에서 50개 단위로 데이타를 읽는다. batch_xs에는 학습에 사용할 28x28x1 사이즈의 이미지와, batch_ts에는 그 이미지에 대한 라벨 (0..9중 어떤 수인지) 가 들어 있다.

읽은 데이타를 feed_dict를 통해서 피딩(입력)하고 트레이닝 세션을 시작한다.


  sess.run(train_step,

            feed_dict={x:batch_xs, t:batch_ts, keep_prob:0.5})


이때 마지막 인자에 keep_prob를 0.5로 피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keep_prob는 앞의 드롭아웃 계층에서 정의한 변수로 드롭아웃을 거치지 않을 비율을 정의한다. 여기서는 0.5 즉 50%의 네트워크를 인위적으로 끊도록 하였다.


배치로 학습을 진행하다가 500번 마다 중간중간 정확도와 학습 비용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if i % 500 == 0:

       loss_vals, acc_vals = [], []


여기서 주목할 점은 아래 코드 처럼 한번에 검증을 하지 않고 테스트 데이타를 4등분 한후, 1/4씩 테스트 데이타를 로딩해서 학습비용(loss)와 학습 정확도(accuracy)를 계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for c in range(4):

           start = len(mnist.test.labels) / 4 * c

           end = len(mnist.test.labels) / 4 * (c+1)

           loss_val, acc_val = sess.run([loss, accuracy],

               feed_dict={x:mnist.test.images[start:end],

                          t:mnist.test.labels[start:end],

                          keep_prob:1.0})

           loss_vals.append(loss_val)

           acc_vals.append(acc_val)


이유는 한꺼번에 많은 데이타를 로딩해서 검증을 할 경우 메모리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4번에 나눠 걸쳐서 읽고 검증한 다음에 아래와 같이 학습 비용은 4번의 학습 비용을 합하고, 정확도는 4번의 학습 정확도를 평균으로 내어 출력하였다.


       loss_val = np.sum(loss_vals)

       acc_val = np.mean(acc_vals)

       print ('Step: %d, Loss: %f, Accuracy: %f'

              % (i, loss_val, acc_val))

학습 결과 저장

학습을 통해서 최적의 W와 b값을 구했으면 이 값을 예측에 이용해야 하는데, W 값들이 많고, 이를 일일이 출력해서 파일로 저장하는 것도 번거롭고 해서, 텐서플로우에서는 학습된 모델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학습을 통해서 계산된 모든 변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데,  앞에서 세션을 생성할때 생성한 Saver (saver = tf.train.Saver())를 이용하면 현재 학습 세션을  저장할 수 있다.


코드

saver.save(sess, 'cnn_session')

sess.close()


이렇게 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cnn_session* 형태의 파일로 학습된 세션 값들이 저장된다.

그래서 추후 예측을 할때 다시 학습할 필요 없이 이 파일을 로딩해서, 모델의 값들을 복귀한 후에, 예측을 할 수 있다. 이 파일을 읽어서 예측을 하는 것은 다음글에서 다루기로 한다.


예제 코드 : https://github.com/bwcho75/tensorflowML/blob/master/MNIST_CNN_Training.ipy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