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타 & 머신러닝/머신러닝

텐서플로우-#1 자료형의 이해

Terry Cho 2016. 12. 9. 22:42

텐서플로우-#1 자료형의 이해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딥러닝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을 익히고 실제로 코딩을 해보려고 하니, 모 하나를 할때 마다 탁탁 막힌다. 파이썬이니 괜찮겠지 했는데, (사실 파이썬도 다 까먹어서 헷갈린다.) 이건 라이브러리로 도배가 되어 있다.

당연히 텐서플로우 프레임웍은 이해를 해야 하고, 데이타를 정재하고 시각화 하는데, numpy,pandas와 같은 추가적인 프레임웍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node.js 시작했을때도 자바스크립트 때문에 많이 헤매고 몇달이 지난후에야 어느정도 이해하게 되었는데, 역시나 차근차근 기초 부터 살펴봐야 하지 않나 싶다.


텐서 플로우에 대해 공부한 내용들을 하나씩 정리할 예정인데, 이 컨텐츠들은 유투브의 이찬우님의 강의를 기반으로 정리하였다. 무엇보다 한글이고 개념을 쉽게 풀어서 정리해주시기 때문에, 왠만한 교재 보다 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a74pFg8paVc


텐서플로우 환경 설정

텐서 플로우 환경을 설정 하는 방법은 쉽지 않다. 텐서플로우 뿐 아니라, 여러 파이썬 버전과 그에 맞는 라이브러리도 함께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여간 까다로운게 아닌데, 텐서플로우 환경은 크게 대략 두 가지 환경으로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구글 데이타랩

첫번째 방법은 구글에서 주피터 노트북을 도커로 패키징해놓은 패키지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커 패키지안에, numpy,pandas,matplotlib,tensorflow,python 등 텐서플로우 개발에 필요한 모든 환경이 패키징 되어 있다. 데이타 랩 설치 방법은 http://bcho.tistory.com/1134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도커 런타임이 설치되어 있다면, 데이타랩 환경 설정은 10분이면 충분하다.

아나콘다

다음 방법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데, 파이썬 수학관련 라이브러리를 패키징해놓은 아나콘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자세한 환경 설정 방법은 https://www.tensorflow.org/versions/r0.12/get_started/os_setup.html#anaconda-installation 를 참고하기 바란다. 아나콘다를 설치해놓고, tensorflow 환경(environment)를 정의한 후에,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하면 된다.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37061089/trouble-with-tensorflow-in-jupyter-notebook 참고


Tensorflow 환경을 만든 후에,

$ source activate tensorflow

를 실행해서 텐서 플로우 환경으로 전환한후, 아래와 같이 ipython 을 설치한후에, 주피터 (jupyter) 노트북을 설치하면 된다.

(tensorflow) username$ conda install ipython
(tensorflow) username$ pip install jupyter #(use pip3 for python3)


아나콘다 기반의 텐서플로우 환경 설정은 나중에 시간이 될때 다른 글을 통해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텐서플로우의 자료형

텐서플로우는 뉴럴네트워크에 최적화되어 있는 개발 프레임웍이기 때문에, 그 자료형과, 실행 방식이 약간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방식과 상의하다. 그래서 삽질을 많이 했다.


상수형 (Constant)

상수형은 말 그대로 상수를 저장하는 데이타 형이다.

  • tf.constant(value, dtype=None, shape=None, name='Const', verify_shape=False)

와 같은 형태로 정의 된다. 각 정의되는 내용을 보면

  • value : 상수의 값이다.

  • dtype : 상수의 데이타형이다. tf.float32와 같이 실수,정수등의 데이타 타입을 정의한다.

  • shape : 행렬의 차원을 정의한다. shape=[3,3]으로 정의해주면, 이 상수는 3x3 행렬을 저장하게 된다.

  • name : name은 이 상수의 이름을 정의한다. name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간단한 예제를 하나 보자.

a,b,c 상수에, 각각 5,10,2 의 값을 넣은 후에, d=a*b+c 를 계산해서 계산 결과 d를 출력하려고 한다.

import tensorflow as tf


a = tf.constant([5],dtype=tf.float32)

b = tf.constant([10],dtype=tf.float32)

c = tf.constant([2],dtype=tf.float32)


d = a*b+c


print d

그런데, 막상 실행해보면, a*b+c의 값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Tensor… 라는 문자열이 출력된다.


Tensor("add_8:0", shape=(1,), dtype=float32)

그래프와 세션의 개념

먼저 그래프와 세션이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텐서플로우의 프로그래밍 모델을 이해할 수 있다.

위의 d=a*b+c 에서 d 역시 계산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a*b+c 그래프를 정의하는 것이다.


실제로 값을 뽑아내려면, 이 정의된 그래프에 a,b,c 값을 넣어서 실행해야 하는데, 세션 (Session)을 생성하여,  그래프를 실행해야 한다. 세션은 그래프를 인자로 받아서 실행을 해주는 일종의 러너(Runner)라고 생각하면 된다.


자 그러면 위의 코드를 수정해보자


import tensorflow as tf


a = tf.constant([5],dtype=tf.float32)

b = tf.constant([10],dtype=tf.float32)

c = tf.constant([2],dtype=tf.float32)


d = a*b+c


sess = tf.Session()

result = sess.run(d)

print result



tf.Session()을 통하여 세션을 생성하고, 이 세션에 그래프 d를 실행하도록 sess.run(d)를 실행한다

이 그래프의 실행결과는 리턴값으로 result에 저장이 되고, 출력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52라는 값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플레이스 홀더 (Placeholder)

자아 이제 상수의 개념을 알았으면, 이제는 플레이스 홀더에 대해서 알아보자.

y = x * 2 를 그래프를 통해서 실행한다고 하자. 입력값으로는 1,2,3,4,5를 넣고, 출력은 2,4,6,8,10을 기대한다고 하자. 이렇게 여러 입력값을 그래프에서 넣는 경우는 머신러닝에서 y=W*x + b 와 같은 그래프가 있다고 할 때, x는 학습을 위한 데이타가 된다.

즉 지금 살펴보고자 하는 데이타 타입은 학습을 위한 학습용 데이타를 위한 데이타 타입이다.


y=x*2를 정의하면 내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된다.


그러면, x에는 값을 1,2,3,4,5를 넣어서 결과값을 그래프를 통해서 계산해 내야한다. 개념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이렇게 학습용 데이타를 담는 그릇을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라고 한다.

플레이스홀더에 대해서 알아보면, 플레이스 홀더의 위의 그래프에서 x 즉 입력값을 저장하는 일종의 통(버킷)이다.

tf.placeholder(dtype,shape,name)

으로 정의된다.

플레이스 홀더 정의에 사용되는 변수들을 보면

  • dtype : 플레이스홀더에 저장되는 데이타형이다. tf.float32와 같이 실수,정수등의 데이타 타입을 정의한다.

  • shape : 행렬의 차원을 정의한다. shapre=[3,3]으로 정의해주면, 이 플레이스홀더는 3x3 행렬을 저장하게 된다.

  • name : name은 이 플레이스 홀더의 이름을 정의한다. name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면 이 x에 학습용 데이타를 어떻게 넣을 것인가? 이를 피딩(feeding)이라고 한다.

다음 예제를 보자


import tensorflow as tf


input_data = [1,2,3,4,5]

x = tf.placeholder(dtype=tf.float32)

y = x * 2


sess = tf.Session()

result = sess.run(y,feed_dict={x:input_data})


print result


처음 input_data=[1,2,3,4,5]으로 정의하고

다음으로 x=tf.placeholder(dtype=tf.float32) 를 이용하여, x를 float32 데이타형을 가지는 플레이스 홀더로 정의하다. shape은 편의상 생략하였다.

그리고 y=x * 2 로 그래프를 정의하였다.


세션이 실행될때, x라는 통에 값을 하나씩 집어 넣는데, (앞에서도 말했듯이 이를 피딩이라고 한다.)

sess.run(y,feed_dict={x:input_data}) 와 같이 세션을 통해서 그래프를 실행할 때, feed_dict 변수를 이용해서 플레이스홀더 x에, input_data를 피드하면, 세션에 의해서 그래프가 실행되면서 x는 feed_dict에 의해서 정해진 피드 데이타 [1,2,3,4,5]를 하나씩 읽어서 실행한다.


변수형 (Variable)

마지막 데이타형은 변수형으로,

y=W*x+b 라는 학습용 가설이 있을때, x가 입력데이타 였다면, W와 b는 학습을 통해서 구해야 하는 값이 된다.  이를 변수(Variable)이라고 하는데, 변수형은 Variable 형의 객체로 생성이 된다.


  • tf.Variable.__init__(initial_value=None, trainable=True, collections=None, validate_shape=True, caching_device=None, name=None, variable_def=None, dtype=None, expected_shape=None, import_scope=None)


변수형에 값을 넣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한다.


var = tf.Variable([1,2,3,4,5], dtype=tf.float32)


자 그러면 값을 넣어보고 코드를 실행해보자


import tensorflow as tf


input_data = [1,2,3,4,5]

x = tf.placeholder(dtype=tf.float32)

W = tf.Variable([2],dtype=tf.float32)

y = W*x


sess = tf.Session()

result = sess.run(y,feed_dict={x:input_data})


print result


우리가 기대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y=W*x와 같은 그래프를 가지고,


x는 [1,2,3,4,5] 값을 피딩하면서, 변수 W에 지정된 2를 곱해서 결과를 내기를 바란다.

그렇지만 코드를 실행해보면 다음과 같이 에러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유는 텐서플로우에서 변수형은 그래프를 실행하기 전에 초기화를 해줘야 그 값이 변수에 지정이 된다.


세션을 초기화 하는 순간 변수 W에 그 값이 지정되는데, 초기화를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변수들을 global_variables_initializer() 를 이용해서 초기화 한후, 초기화된 결과를 세션에 전달해 줘야 한다.


init = 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

sess.run(init)


그러면 초기화를 추가한 코드를 보자


import tensorflow as tf


input_data = [1,2,3,4,5]

x = tf.placeholder(dtype=tf.float32)

W = tf.Variable([2],dtype=tf.float32)

y = W*x


sess = tf.Session()

init = tf.global_variables_initializer()

sess.run(init)

result = sess.run(y,feed_dict={x:input_data})


print result


초기화를 수행한 후, 코드를 수행해보면 다음과 같이 우리가 기대했던 결과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텐서플로우를 처음 시작할때, Optimizer나 모델등에 대해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데이타를 가지고 학습을 시켜서 적정한 값을 찾는다" 라는 머신러닝 학습 모델의 특성상, 모델을 그래프로 정의하고, 세션을 만들어서 그래프를 실행하고, 세션이 실행될때 그래프에 동적으로 값을 넣어가면서 (피딩) 실행한 다는 기본 개념을 잘 이해해야, 텐서플로우 프로그래밍을 제대로 시작할 수 있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