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loud and gri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솔루션인 그리드 컴퓨팅은 금년에도 이슈가 될것같다.
구글이나 야후, 아마존들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서비스 기업들이 그리드와 클라우드 컴퓨팅에 선두가 되고 있지만
정작, 기업에 있어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나 그리드 컴퓨팅의 도입은 소극적이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우
보안이나 성능상의 이슈로 기업에 도입이 될지 않될지는 지켜봐야 할것 같지만
그리드 컴퓨팅의 경우 Coherence와 같은 Data Grid제품이나, Hadoop과 같은 File grid, grid dbms등은 기업에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한 솔루션이다. 얼마나 기업 고객들이 이 개념들을 이해하고 적응하느냐가 관건일테고, 다른 한축으로는 대부분의 그리드 솔루션이
오픈 소스로 구축 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업의 오픈 소스에 대한 반감을 어떻게 풀어내느냐도 하나의 숙제가 될것이다.
2. Virtualization
여기서 언급하고자 하는 가상화는 특히 서버의 자원 가상화이다. 여러개의 CPU와 메모리가 있는 장비를 Partition해서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는 기술인데.
예를 들면 이전에 2 CPU 서버 3대로 3개의 업무를 하고 있다고 했을때, 1서버의 평균 CPU 사용률이 1.2 2서버 1.5, 3서버
1.5라고 했을때 이렇게 되면 총 6개의 CPU가 있지만, 사용되는 CPU수는 실제로는 4.2이다. 가상화를 사용하게 되면, 하나의 큰 서버에
CPU 사용률을 상황에 따라서 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5장의 CPU로도 충분히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갑자기 부하량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여분의 CPU를 해당 업무에 할당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활용의 유연성을 더할 수 있다.
가상화의 다른 특징중의 하나는 가상화된 환경과 애플리케이션을 이미지로 관리하기 때문에, 쉽게 다른 하드웨어 환경으로 배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SM관점에서 많은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3. Saas,Pass,Iass
Saas (Software as a service)는 이미들 많이 사용되는 컨셉이고 내년에는 Iaas와 Pass가 화두가 되지 않을까?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는 OS,CPU,메모리,디스크와 같은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형태이다. 이미 아마존이 Message Q,
OS,Disk,DBMS등에 대해서 E3라는 형태의 서비스로 Iaa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 캠페인이나,
CPU가 많이 필요한 3D 렌더링 작업들에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IDC 센터가 세계에 나눠져 있기 때문에, 여러 위치에서 테스트가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아마존 E3 서비스에서는 OS별로 이미지를 만들어서 업로드하면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Pass (Platform as a service)가 있는데,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다. Open API도 일종의
Pass가 될 수 있고, Google의 Android 플랫폼 (OS+Open API환경,애플리케이션 Store)나 Apple의 AppStore도
일종의 Pass가 될 수 있다. 이러한 Paas가 Iaas와 결합하면서, 무제한적인 자원(Iass)을 유연성있게 제공받을 수 있으며, 그위에
Pass를 구현함으로써 개발자들에게 Application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 Pass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일반
사용자에게 서비스되는 형태가 Saas로 될 수 있다.
사실 한국에서는 이 3가지에 대해서 움직임이 매우 늦은게 사실이다. 이 3가지 기술들은 주로 Google,Amazon과 같은 서비스 업체들의
주도로 시장이 움직여가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N이나, D사의 경우 이 부분에 있어서 아주 초보적인 단계에 밖에 이르지 못했다.
국내에서도 Service Platform이라는 형태로 기업 내부의 유용한 자원을 Open API화하여 밖으로 서비스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이런 움직임이 Pass와 같은 서비스 형태로 구현되었으면 한다.
4.
REST
작년의 하나의 화두중에 하나가 REST였다. Roy Fielding의 논문에서 소개된 아키텍쳐 스타일로 웹의 장점과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하였다.
문제는 REST는 사실상의 표준이 없다. Google이나 Amazon이 주도하는 Defactor 표준 (암묵적인 표준)은 있지만
Spec과 같은 표준이 없기 때문에, 기업에서 사용할 경우 관리(Gorverning)이 어렵다. Google이나 Amazon의 경우 자체 개발
조직과 관리 조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 관리된 형태로 REST 서비스를 제공 및 사용하고 있지만, 기업내에서 REST가 얼마나 힘을 발휘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WebService를 사용해보고 REST도 모두 사용해봤지만 개발 관점에서 드는 Burden은 REST라고 결코 낮지는 않다.
WebService의 경우 이미 Infra가 잘되어 있고 개발툴이나 자동화 스크립트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 JAX-WS와 같은 개발 표준을 따를
경우 개발 공수가 사실 매우 낮은 것이 사실이다.
국내 상황을 보면 아쉽게도, Open API를 서비스 하는 포탈에도 REST를 지원하는 업체는 없는 것으로 안다. 또한 REST의 이해도 자체도 상당히
떨어지는데 HTTP + POX (Plain Old XML)은 REST가 아니다. 대부분 XML-RPC형태를 띄는데, REST는 Resource를
정의하고, Resource 지향적인 아키텍쳐로 설계되어야 하며, 사람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쉽고, Link등을 통해서 Resource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Resource의 다음 상태 전이에 대한 정의 능력등이 있어야 한다.
국내 BLOG에 올라오는 글들을 보면 Jersey나 Apache CXF등을 이용하여 REST를 구현하는 샘플이나 예제는 종종 올라오지만,
REST를 아키텍쳐 관점에서 접근하는 글은 매우 드문 것 같다. (아직까지는 못봤다.)
어쨌거나, REST가 JAX-RS로 JSR311 표준으로 등록되었고, WSDL 2.0에도 REST가 반영되었기 때문에, REST의
영향력이 커진 것은 기정사실이고, Amazon도 기존의 Open API를 서서히 REST형식으로 바꾸겠다니 Service World에서는 대세인
것은 분명하나 기업 아키텍쳐에서 얼마나 힘을 발휘할지는 지켜봐야할 사항이다.
5.
SOA Governance
SOA는
어떻게 보면 양극화가 발생하는 듯한 인상인데, 이미 SOA에 적응한 기업은 SOA에 대한 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해가 될테이고 아직도 SOA를 시작하지
못한 기업은 이미 어느정도 성숙된 SOA 플랫폼과 개념을 바탕으로 SOA를 시작할것이다.
공통점은 이미 여러 SOA 프로젝트를 통해서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인식되었기 때문에 무엇보다 거버넌스에 많은 집중을 할 해가 될것이라고 생각되며
REST의 영향을 받아서 Restful webservice 기반의 SOA가 시험될 해라고 생각된다.
6.
Mobile platform
모바일 플랫폼에 대해서는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Google의 Android, Apple의 AppStore, Nokia의 모바일
플랫폼에 이어서 MS나 기타 모바일 업체도 일반 개발자들에게 개발 환경을 오픈함으로써 User created
contents(application)을 생산하게 하고 이 과정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유행이 될것이다. 아마 금년은 이 모바일 플랫폼의
최고 격전의 해가 되지 않을까?
7.
Collaboration
협업에 대해서는 ALM과 Agile 방법론이 금년에도 작년에 이어서 크게 유행할것이고 좀더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개발 및 협업 프로세스의 발전과
이를 구현하는 도구들이 사용될 것이다. 작년에 비해서 크게 변화한 점이 있기 보다는 좀더 성숙된 형태로 발전하는 해가 되지 않을까 싶다.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Camel note (0) | 2013.02.12 |
---|---|
아키텍쳐에 있어서 레퍼런스의 중요성 (2) | 2009.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