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NoSQL/도커 &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 #16 - 보안 (1/4) 계정 인증과 권한 인가

Terry Cho 2018. 8. 19. 20:57


쿠버네티스 #16


보안 1/4 - 사용자 계정 인증 및 권한 인가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이번글 부터는 몇회에 걸쳐 쿠버네티스 계쩡 인증,인가, 네트워크등 보안에 관련된 부분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모든 시스템이 그렇듯이, 쿠버네티스 역시 보안이 매우 중요하다. 쿠버네티스는 보안에 관련된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하는데, 각각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자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

인증과 인가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먼저 인증과 인가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이해 하자



인증(Authentication)은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하는 것이다. 흔히 생각하는 사용자 로그인을 생각하면 된다.  인가는 인증된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기능이다.

인증 (Authentication)

쿠버네티스는 계정 체계를 관리함에 있어서 사람이 사용하는 사용자 어카운트와, 시스템이 사용하는 서비스 어카운트 두가지 개념을 제공한다.

사용자 어카운트

사용자 어카운트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사용자 아이디의 개념이다.

쿠버네티스는 자체적으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고 이를 인증(Authenticate)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다. 반드시 별도의 외부 계정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며, 계정 시스템 연동을 위해서 OAuth나 Webhook가 같은 계정 연동 방식을 지원한다.

서비스 어카운트

서비스 어카운트가 다소 낮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쿠버네티스 API를 호출하거나, 콘솔이나 기타 클라이언트가 쿠버네티스 API를 접근하고자 할때, 이는 실제 사람인 사용자가 아니라 시스템이 된다. 그래서, 쿠버네티스에서는 이를 일반 사용자와 분리해서 관리하는데 이를 서비스 어카운트 (service account)라고 한다.

서비스 어카운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kubectl create sa {서비스 어카운트명}

을 실행하면 된다. 아래는 foo 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어카운트를 생성하는 예이다.



인증 방법

그러면 계정이 있을때, 이 계정을 이용해서 쿠버네티스의 API에 어떻게 접근을 할까? 쿠버네티스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여러가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인증 방식을 제공한다.


  • Basic HTTP Auth

  • Access token via HTTP Header

  • Client cert

  • Custom made


Basic HTTP Auth는 HTTP 요청에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실어 보내서 인증하는 방식인데,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매번 전송되기 때문에 그다지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다.

Access token via HTTP Header는 일반적인 REST API 인증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인데, 사용자 인증 후에, 사용자에 부여된 API TOKEN을 HTTP Header에 실어서 보내는 방식이다.

Client cert는 클라이언트의 식별을 인증서 (Certification)을 이용해서 인증하는 방식이다. 한국으로 보자면 인터넷 뱅킹의 공인 인증서와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면 된다. 보안성은 가장 높으나, 인증서 관리에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면 쉽지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Bearer token 방식의 인증 방식을 살펴보도록 하자

Bearer token을 사용하는 방법

인증 메커니즘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간단한 방법은 API 토큰을 HTTP Header에 넣는 Bearer token 인증 방식이 있다.

서비스 어카운트의 경우에는 인증 토큰 정보를 secret에 저장을 한다. 이 토큰 문자열을 가지고, HTTP 헤더에 “Authorization: Bearer {토큰문자열}로 넣고 호출하면 이 토큰을 이용해서 쿠버네티스는 API 호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서비스 어카운트에서 토큰 문자열을 가지고 오는 방법은

%kubectl describe sa {service account 이름}

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Token 항목에 토큰을 저장하고 있는 secret 이름이 나온다.


위의 그림에서는 foo-token-zvnzz 이다. 이 이름으로 secret을 조회해보면,

%kubectl describe secret {시크릿명}

명령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token이라는 항목에, 토큰이 문자열로 출력이 된다.



이 토큰을 HTTP Header 에 “Authorization: Bearer {토큰문자열}” 식으로 넣고 호출하면 된다.


간단한 스크립트를 통해서 API를 호출하는 것을 테스트 해보자

% APISERVER=$(kubectl config view | grep server | cut -f 2- -d ":" | tr -d " ")
명령을 수행하면 환경 변수 APISERVER에 현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API SERVER IP가 저장된다.


다음 APISERVER의 주소를 알았으니

% curl $APISERVER/api

명령을 이용해서 HTTP GET의 /api를 호출해보자. 호출을 하면 SSL 인증서에 대한 인증 에러가 발생한다.


이는 API를 호출할때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기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디폴트로 Client cert를 이용한 인증을 시도하게 되고, 인증서를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나게 되는것이다.


그러면 인증 정보를 제대로 지정하기 위해서 서비스 어카운트 default의 토큰을 얻어서 호출해보도록 하자.

다음 스크립트는 서비스 어카운트 default의 secret에서 토큰을 추출해서 저장하는 스크립트이다.

%TOKEN=$(kubectl describe secret $(kubectl get secrets | grep default | cut -f1 -d ' ') | grep -E '^token' | cut -f2 -d':' | tr -d '\t')

스크립트를 실행한후 TOKEN의 내용을 찍어 보면 아래와 같이 API TOKEN이 저장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이 토큰을 이용해서 API를 호출하면 된다.

%curl https://35.189.143.107/api --header "Authorization: Bearer $TOKEN" --insecure




Kubectl proxy를 이용한 API 호출

앞에서는 HTTP Header에 토큰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했지만,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curl을 이용해서 호출할 경우에는 kubectl proxy 명령어를 이용해서 proxy를 설정하고 proxy로 API URL을 호출하면, 자동으로 이 Proxy가 현재 클라이언트의 kubeconfig file에 저장되어 있는 Credential (인증 정보)를 채워서 자동으로 보내준다.


%kubectl proxy --port=8080

을 실행하게 되면, localhost:8080을 프록시로 하여 쿠버네티스 API서버로 요청을 자동으로 포워딩 해준다.


그리고 curl localhost:8080/api 를 호출하면 {쿠버네티스 API Server}/api 를 호출해주게 된다.




SDK를 이용한 호출

일반적으로 간단한 테스트가 아닌 이상, curl 을 이용해서 직접 API를 호출하는 경우는 드물고, SDK를 사용하게 된다.  쿠버네티스에는 Go/Python/Java/Javascript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는 SDK가 있다.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using-api/client-libraries/#officially-supported-kubernetes-client-libraries


이들 SDK 역시, kubectl proxy 처럼, 로컬의 kubeconfig file의 Credential 정보를 이용해서 API를 인증하고 호출 한다.

권한 관리 (Authorization)

계정 체계와 인증에 대한 이해가 끝났으면, 이번에는 계정 권한에 대해서 알아보자. 쿠버네티스의 권한 처리 체계는 기본적으로 역할기반의 권한 인가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RBAC (Role based access control)이라고 한다.


권한 구조를 도식화 해보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사용자의 계정은 개개별 사용자인 user, 그리고 그 사용자들의 그룹은 user group, 마지막으로 시스템의 계정을 정의하는 service account로 정의된다.

  • 권한은 Role이라는 개념으로 정의가 되는데, 이 Role에는 각각의 리소스에 대한 권한이 정의된다. 예를 들어 pod 정보에대한 create/list/delete등을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 이렇게 정의된 Role은 계정과 RoleBinding 이라는 정의를 통해서, 계정과 연결이 된다.


예제를 살펴보자, 아래는 Role을 정의한 yaml 파일이다.

pod-reader라는 Role을 정의하였고, pods에 대한 get/watch/list를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을 정의하였다.



다음 이 Role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서 RoleBinding 설정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자.

아래 Role-Binding은 read-pods라는 이름으로 jane이라는 user에서 Role을 연결하였고, 앞에서 정의한 pod-reader를 연결하도록 정의하였다.




이 예제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ole vs ClusterRole

Role은 적용 범위에 따라 Cluster Role과 일반 Role로 분리 된다.

Role의 경우 특정 네임스페이스내의 리소스에 대한 권한을 정의할 수 있다.

반면 ClusterRole의 경우, Cluster 전체에 걸쳐서 권한을 정의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ClusterRole의 경우에는 여러 네임스페이스에 걸쳐 있는 nodes 와 같은 리소스스나 /heathz와 같이 리소스 타입이 아닌 자원에 대해서도 권한을 정의할 수 있다.

Role과 ClusterRole은 각각 RoleBinding과 ClusterRoleBinding 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적용된다.

Predefined Role

쿠버네티스에는 편의를 위해서 미리 정해진 롤이 있다.


Default ClusterRole

Default ClusterRoleBinding

Description

cluster-admin

system:masters group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대해서 수퍼사용자 권한을 부여한다.
ClusterRoleBinding을 이용해서 롤을 연결할 경우에는 모든 네임스페이스와 모든 리소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한다. RoleBinding을 이용하여 롤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해당 네임 스페이스에 있는 리소스에 대한 모든 컨트롤 권한을 부여한다.

admin

None

관리자 권한의 억세스를제공한다. RoleBinding을 이용한 경우에는 해당 네임스페이스에 대한 대부분의 리소스에 대한 억세스를 제공한다.  새로운 롤을 정의하고 RoleBinding을 정의하는 권한을 포함하지만, resource quota에 대한 조정 기능은 가지지 않는다.

edit

None

네임스페이스내의 객체를 읽고 쓰는 기능은 가지지만, role이나 rolebinding을 쓰거나 수정하는 역할은 제외된다.

view

None

해당 네임스페이스내의 객체에 대한 읽기기능을 갔는다. role이나 rolebinding을 조회하는 권한은 가지고 있지 않다.


미리 정해진 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access-authn-authz/rbac/

를 참고하기 바란다.

권한 관리 예제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간단한 예제를 하나 테스트 해보자. 작성하는 예제는 Pod를 하나 생성해서 curl 명령으로 API를 호출하여, 해당 클러스터의 Pod 리스트를 출력하는 예제를 만들어보겠다.

Pod가 생성될때는 default 서비스 어카운트가 할당이 되는데, 이 서비스 어카운트는 클러스터의 정보를 호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쿠버네티스에 미리 정의된 ClusterRole중에 view 라는 롤은 클러스터의 대부분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 롤을 sa-viewer 라는 서비스 어카운트를 생성한 후에, 이 서비스 어카운트에 ClusterRole view를 할당한후, 이 서비스 어카운트를 만들고자 하는 Pod에 적용하도록 하겠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Account

metadata:

 name: sa-viewer

---

kind: ClusterRoleBinding

apiVersion: rbac.authorization.k8s.io/v1

metadata:

 name: default-view

subjects:

- kind: ServiceAccount

 name: sa-viewer

 namespace: default

roleRef:

 kind: ClusterRole

 name: view

 apiGroup: rbac.authorization.k8s.io


먼저 위와 같이 sa-viewer 라는 서비스 어카운트를 생성한후, ClusterRoleBiniding 을 이용하여, default-view라는 ClusterRolebinding 을 생성하고, sa-viewer 서비스 어카운트에, view 롤을 할당하였다.


다음 Pod를 생성하는데, 아래와 같이 앞에서 생성한 서비스 어카운트 sa-viewer를 할당한다.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pod-reader

spec:

 serviceAccountName: sa-viewer

 containers:

 - name: pod-reader

   image: gcr.io/terrycho-sandbox/pod-reader:v1

   ports:

   - containerPort: 8080


Pod 가 생성된 후에, kubectl exec 명령을 이용하여 해당 컨테이너에 로그인해보자

% kubectl exec -it pod-reader -- /bin/bash


로그인 후에 아래 명령어를 실행해보자


$ CA_CERT=/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ca.crt

$ TOKEN=$(cat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 curl --cacert $CA_CERT -H "Authorization: Bearer $TOKEN" "https://35.200.91.132/api/v1/pods/"


CA_CERT는 API를 HTTPS로 호출하기 위해서 인증서를 저장한 파일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다. Pod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ca.crt  디렉토리에 인증서가 자동으로 설치 된다. 다음은 API TOKEN을 얻기 위해서 TOKEN 값을 가지고 온다. TOKEN은 cat /var/run/secrets/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에 디폴트로 저장이 된다.

다음 curl 명령으로 https:{API SERVER}/api/v1/pods 를 호출하면 클러스터의 Pod 리스트를 다음 그림과 같이 리턴한다.


\



사용자 관리에 있어서, 계정에 대한 정의와 권한 정의 그리고 권한의 부여는 중요한 기능이기 때문에, 개념을 잘 잡아놓도록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