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는 아래 PPT에 잘되어 있고 쉽게 요약하면, Async Queue + Working 서버다 Request를 Queuing 했다가, 뒤의 Work Process로 넘겨줘서 작업을 비동기로 처리해주는 형식이고 예전 Tuxedo와 같은 TP 모니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Hadoop과 같은 Map & Reduce 의 분산 처리 구조와도 비슷하고 야후등의 레퍼런스도 있고 memcached나 mogileFS를 만든 danga.org의 작품이기도 하다. 일단 단순성이 높고, 사용성도 편리해서 대용량 분산 처리에 사용하기는 편할듯. 단 예전 TP 모니터에서 봤듯이, 작업 배분을 위한 Worker Process들의 Registration을 처리하는 BBL과 같은 Registration Table에 별도의 성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