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보는 Storm #3-Storm 싱글 클러스터 노드 설치 및 배포
조대협(http://bcho.tistory.com)
지난번에는 간략하게, Storm을 이용한 HelloStorm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용 클러스터인 Local Cluster에서 구동해봤다. 이번에는 운영용 클러스터를 설정하고, 이 운영 클러스터에 지난번에 작성한 HelloStorm 토폴리지를 배포해보도록 한다.
Storm 클러스터의 기본 구조
Storm 클러스터를 기동하기 전에, 클러스터가 어떤 노드들로 구성이 되는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Storm 클러스터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3가지 구성요소로 구성이 되어 있다.
먼저 주요 노드인 Nimbus와 Supervior 노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Nimbus와 Supervisor 노드는 각각 하나의 물리 서버로 생각하면 된다.
Nimbus
Nimbus는 마스터 노드로 주요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Nimbus 노드를 통해서 프로그래밍 된 토폴로지를 Supervisor 노드로 배포한다. 일종의 중앙 컨트롤러로 생각하면 된다. Storm에서는 중앙의 하나의 Nimbus 노드만을 유지한다.
Supervisor
Supervisor 노드는 실제 워커 노드로, Nimbus로 부터 프로그램을 배포 받아서 탑재하고, Nimbus로 부터 배정된 작업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클러스터에는 여러개의 Supervisor 노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여러개의 서버를 통해서 작업을 분산 처리할 수 있다.
Zookeeper
이렇게 여러개의 Supervisor를 관리하기 위해서, Storm은 Zookeeper를 통해서 각 노드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작업의 상태들을 공유한다.
※ Zookeeper는 아파치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하나로, 분산 클러스터의 노드들의 상태를 체크하고 공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분산 코디네이터 솔루션이다.
전체적인 클러스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Storm 클러스터의 구조>
하나의 싱글 머신에 Nimbus가 설치되고, 다른 각각의 머신에 Supervisor가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ZooKeeper 클러스터를 통해서 기동이 된다.
※ 실제 물리 배포 구조에서는 Nimbus와 Supervisor, ZooKeeper등을 하나의 서버에 분산배포할 수 도 있고, 여러가지 다양한 배포구조를 취할 수 있으나, Supervisor의 경우에는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Supervisor만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Supervisor의 역할이 하나의 물리서버에 대한 작업을 관리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한 서버에 여러 Supervisor를 설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설치와 기동
Storm 클러스터를 기동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ZooKeeper가 필요하다. Zookeeper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 ~/conf/zoo_sample.cfg 파일을 ~/conf/zoo.cfg로 복사한다.
다음으로 ZooKeeper를 실행한다.
% $ZooKeeper_HOME/bin/zkServer.cmd
<그림. 주키퍼 기동 로드>
다음으로 Nimbus 노드를 실행해보자. Storm을 다운 받은 후 압축을 푼다.
다음 $APACHE_STORM/bin 디렉토리에서
%storm nimbus
를 실행하면 nimbus 노드가 실행된다. 실행 결과나 에러는 $APACHE_STORM/logs 디렉토리에 nimbus.log라는 파일로 기록이 된다.
정상적으로 nimbus 노드가 기동이 되었으면 이번에는 supervisor 노드를 기동한다.
%storm supervisor
Supervisor에 대한 노드는 $APACHE_STORM/logs/supervisor.log 라는 이름으로 기록된다.
Storm은 자체적으로 클러서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UI 콘솔을 가지고 있다. 이 UI를 기동하기 위해서는
%storm ui
로 실행을 해주면 UI가 기동이 되며 http://localhost:8080 에 접속을 하면 관리 콘솔을 통해서 현재 storm의 작동 상태를 볼 수 있다.
<그림. Storm UI를 이용한 기동 상태 모니터링>
현재 하나의 PC에 nimbus와 supervior,UI를 모두 배포하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물리적인 토폴로지가 된다.
<그림. 싱글 서버에 nimbus와 supervisor를 같이 설치한 예>
싱글 클러스터 노드에 배포 하기
싱글 노드 클러스터를 구축했으니, 앞의 1장에서 만든 HelloStorm 토폴로지를 이 클러스터에 배포해보도록 하자.
전장의 예제에서 만든 토폴로지는 Local Cluster를 생성해서, 자체적으로 개발 테스트용 클러스터에 토폴로지를 배포하도록 하는 코드였다면, 이번에는 앞에서 생성한 Storm 클러스터에 배포할 수 있는 토폴로지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 이 코드의 차이는 기존 코드와는 다르게 LocalCluster를 생성하지 않고, 기동중인 클러스터에 HelloTopoloy를 Submit하도록 한다.
package com.terry.storm.hellostorm;
import backtype.storm.Config;
import backtype.storm.StormSubmitter;
import backtype.storm.generated.AlreadyAliveException;
import backtype.storm.generated.InvalidTopologyException;
import backtype.storm.topology.TopologyBuilder;
public class HelloTopolog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opologyBuilder builder = new TopologyBuilder();
builder.setSpout("HelloSpout", new HelloSpout(),2);
builder.setBolt("HelloBolt", new HelloBolt(),4).shuffleGrouping("HelloSpout");
Config conf = new Config();
// Submit topology to cluster
try{
StormSubmitter.submitTopology(args[0], conf, builder.createTopology());
}catch(AlreadyAliveException ae){
System.out.println(ae);
}catch(InvalidTopologyException ie){
System.out.println(ie);
}
}
}
<그림. HelloTopology.java>
토폴로지 클래스를 만들었으면 이를 빌드해보자
%mvn clean install
을 실행하면 ~/target 디렉토리에 토폴로지 jar가 생성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jar 파일을 배포해보도록 하자.
배포는 storm {jar} {jar파일명} {토폴로지 클래스명} {토폴로지 이름} 명령을 실행하면 된다.
% storm jar hellostorm-0.0.1-SNAPSHOT.jar com.terry.storm.hellostorm.HelloTopology HelloTopology
배포 명령을 내리면 $APACHE_STORM_HOME/logs/nimbus.log에 다음과 같이 HelloTopology가 배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5-01-25T07:35:03.352+0900 b.s.d.nimbus [INFO] Uploading file from client to storm-local\nimbus\inbox/stormjar-8c25c678-23f5-436c-b64e-b354da9a3746.jar
2015-01-25T07:35:03.365+0900 b.s.d.nimbus [INFO] Finished uploading file from client: storm-local\nimbus\inbox/stormjar-8c25c678-23f5-436c-b64e-b354da9a3746.jar
2015-01-25T07:35:03.443+0900 b.s.d.nimbus [INFO] Received topology submission for HelloTopology with conf {"topology.max.task.parallelism" nil, "topology.acker.executors" nil, "topology.kryo.register" nil, "topology.kryo.decorators" (), "topology.name" "HelloTopology", "storm.id" "HelloTopology-1-1422138903"}
2015-01-25T07:35:03.507+0900 b.s.d.nimbus [INFO] Activating HelloTopology: HelloTopology-1-1422138903
2015-01-25T07:35:03.606+0900 b.s.s.EvenScheduler [INFO] Available slots: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2]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1]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0])
2015-01-25T07:35:03.652+0900 b.s.d.nimbus [INFO] Setting new assignment for topology id HelloTopology-1-1422138903: #backtype.storm.daemon.common.Assignment{:master-code-dir "storm-local\\nimbus\\stormdist\\HelloTopology-1-1422138903", :node->host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terry-PC"}, :executor->node+port {[3 3]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6 6]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5 5]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4 4]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7 7]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2 2]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1 1] ["226ceb74-c1a3-4b1a-aab5-2384e68124c5" 6703]}, :executor->start-time-secs {[7 7] 1422138903, [6 6] 1422138903, [5 5] 1422138903, [4 4] 1422138903, [3 3] 1422138903, [2 2] 1422138903, [1 1] 1422138903}}
2015-01-25T07:37:48.901+0900 b.s.d.nimbus [INFO] Updated HelloTopology-1-1422138903 with status {:type :inactive}
해당 토폴로지가 배포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storm list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기동되고 있는 토폴로지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storm list 명령으로 기동중인 토폴로지를 확인>
실행 결과는 $APACHE_STORM_HOME/logs 디렉토리를 보면 worker-xxx.logs 라는 파일이 생긴것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파일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2015-01-25T07:35:08.908+0900 STDIO [INFO] Tuple value ishello world
2015-01-25T07:35:08.908+0900 STDIO [INFO] Tuple value ishello world
우리가 앞서 구현한 Bolt에서 System.out으로 출력한 내용이 출력된다.
동작을 확인하였으면, 이제 기동중인 토폴로지를 정지 시켜 보자. 토폴로지의 정지는 storm deactivate {토폴로지명} 을 사용하면 된다. 아까 배포한 토폴로지 명이 HelloTopology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토폴로지를 정지 시킨다.
%storm deactivate HelloTopology
그 후에 다시 storm list 명령을 이용해서 토폴로지 동작 상태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 그림. Storm 토폴로지 정지와 확인 >
만약에 Topology를 재 배포 하려면 storm kill로 해당 토폴로지를 삭제한 후에, 다시 배포 해야 한다. 이때 주의할점은 storm kill로 삭제해도 바로 삭제가 안되고 시간 텀이 있으니 약간 시간을 두고 재 배포를 해야 한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운영용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운영 클러스터에 토폴로지를 배포 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HelloStorm 코드 구현, 클러스터 노드 구축 및 배포를 통해서 간단하게 스톰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는 파악했을 것으로 안다. 다음 장에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Storm의 개념과 스톰의 아키텍쳐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빅데이타 & 머신러닝 > 스트리밍 데이타 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Storm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타 처리 #6 –Storm 그룹핑 개념 이해하기 (0) | 2015.01.29 |
---|---|
Apache Storm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타 처리 #5 –Storm의 병렬/분산 처리 (0) | 2015.01.25 |
Apache Storm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타 처리 #4 –소개와 기본 개념 (2) | 2015.01.25 |
Apache Storm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타 처리 #2-Storm 설치와 HelloStorm 작성하기 (0) | 2015.01.12 |
Apache Storm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타 처리#1-데이타 스트림 개념 이해하기 (3) | 201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