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쳐 /대용량 아키텍쳐

API 플랫폼에 대한 소개

Terry Cho 2013. 10. 30. 01:02

API Platform

조대협


근래에 들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발전과 SNS의 발전과 더불어서 Open API 에 대한 관심도가 급격하게 높아졌다. Open API, API를 내부 사용자뿐만 아니라 외부 개발자에게까지 공개해서, 외부 개발자가 API를 이용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도록 하는 모델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API만 전문적으로 개발 및 서비스를 해서 이를 통해서 수익을 창줄하는 비지니스 모델까지 생겨나고 있다. 이런 배경으로 API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는데, API에 대한 쉬운 관리, 모니터링 및 유료화 그리고, API에 대한 편리한 사용법, 샘플 코드 및 메뉴얼 제공하는 시나리오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를 하나의 플랫폼 형태로 묶어 놓은 것을 API 플랫폼이라고 한다.

API 플랫폼은 크게, API에 대한 단일 진입 포인트 역할을 하는 게이트 웨이와, API 문서나 샘플 코드들을 제공하는 API 포탈, 그리고 API 서비스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리 모니터링 기능으로 분리된다.

제품군으로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뉘어 지는데, 예전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ESB (Enterprise Service Bus) 를 게이트웨이로 사용하면서 발전해온 SOA 진영쪽 제품과, 처음부터 API 플랫폼으로 디자인되서 서비스되는 이 양쪽으로 나뉘어 진다. 전자의 경우에는 MuleSoft WSO2 API 플랫폼이 대표적인 예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apigee,3scale,Mashery,Layer 7(CA) 등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ESB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API에 대한 워크 플로우 기능이 매우 강력하다. 워크플로우 기능이란, 메세지를 변경하거나 라우팅 또는 다른 기능을 추가하는 부분이 매우 강력하다.반면 포탈이나 모니터링 기능들은 후자에 비해서 약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워크 플로우 기능은 약한 반면, 유료화 모델이나 다양한 사용자 계층 지원 그리고 무엇보다 포탈이 매우 강력하다.

Apigee Mashery 같은 경우는 설치형이 아니라 클라우드 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개발사나 개발자가 API를 개발하고, API 서비스는 클라우드에 설치된 이 API 플랫폼을 통해서 하면, 이 플랫폼이 중간에 Gateway 역할로써 API에 대한 워크플로우 기능 및 모니터링 기능등을 제공하면서 함께, 포탈등의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예전에 미국 캘리포니아 실리콘 밸리에 있는 apigee 를 방문할 일이 있었다.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서비스와 인력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재미있는 점은 인력 구성원의 많은 인원들이 기존의 SOA 회사 출신(BEA)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API 서비스의 근간은 SOA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 역시 SOA ESB와 연관된 기술을 많이 사용함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회사의 분위기는 여타 실리콘 밸리의 회사와 같이 매우 젊고 활기에 차있었다.

API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만큼 운영에 대해서 많이 신경을 쓰고 있었는데, 실제로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하면서 얻는 노하우는 대단하리라고 본다.

 

주요 기능



API 인증

먼저 API를 사용하려면, API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가 인증이 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는 인증 Authentication 기능이 필요하다. 앞에서 REST API 보안에서 설명한것 처럼, API Key를 발급하거나 OAuth 기반의 인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근래의 API Platform OAuth 기반 인증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흐름이다.

사용자 인증

사용자 인증은 API 인증을 받기 위한 Key OAuth 인증을 받거나, 또는 API 포탈에 접속해서 메뉴얼을 보거나 Admin 으로써, API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나리오이다. 사용자를 API를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 내부 관리자 또는 일반 사용자/Silver/Gold 등의 레벨로 나눠서 서비스를 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에 대한 사용자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SLA management

SLA Service Level Agreement의 약자로, 서비스에 대해서 약속한 수준의 비기능 요건을 만족해주는 것을 이야기 한다. 쉽게 이야기 해서, API 제공자별로 하루에 5000건의 call을 제공하기로 했으면, 5000건 까지만 제공한다던지, API 사용자별로 하루에 1000건의 call을 제공한다던지의 계약 레벨별로 서비스 수준을 조정해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Mediation

Mediation은 들어온 API 호출에 대해서 변형을 가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원래 API가 주문 API였다면, 나중에, 주문 API에 포인트 적립 API를 추가해준다거나 API version에 따라서 라우팅을 해주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이렇게 원래 호출 내용에 대해서 변경을 가하는 것을 Mediation이라고 한다. 그러면 몇가지 Mediation 패턴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런 Mediation 패턴은 앞서 설명한 Workflow 기능에서 제공되며, 이 챕터의 뒤에서 소개할 SOA 아키텍쳐의 ESB의 부분을 참고하면 좋다.

아래는apigee 플랫폼에서 workflow를 적용하는 UI 화면의 일부이다. 보통 workflow IDE같은 개발환경에서 순서도 같은 흐름에 노드를 추가하는 환경으로 적용한다.



출처 : https://blog.apigee.com/detail/api_platform_update_api_proxy_editor_traffic_composition_reports_updated_policies

 

Routing

들어온 메세지에 대해서 라우팅 작업을 한다. 예를 들어서 결재 시나리오에서 API request 필드에 국가 필드가 나뉘어져 있으면, 국가 필드에 따라서 API를 그 국가의 서버로 라우팅을 하거나, 헤더에 정의된 API버전에 따라서 구 API서버나 새로운 버전의 API서버로 라우팅 하는 시나리오를 예로 들 수 있ㄷ.

Function adding

이 기능은 기존에 있던 API 기능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존 구매 프로세스에서 포인트 적립 기능을 추가해주는 것등을 할 수 있다. 기존의 클라이언트나 서버의 구현의 변동없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Message Transformation

메세지 변경은 들어온 메세지를 다른 포맷으로 변경해주는 것이다. 단순하게는 JSON XML로 변경해준다거나 필드가 틀린것을 맵핑 해준다거나 두 필드를 한필드로 합친다거나 반대로 한필드를 여러 필드로 나눈다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 한다.

Monitoring

모니터링은 API 서비스 사업자로써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API의 사용량, 어떤 API가 많이 사용되는지, 국가별, APP별 통계량이나 평균 응답 시간등에 대한 리포트는 서비스의 정상적인 상태 체크 뿐만 아니라 향후 API 서비스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래는 apigee에서 제공하는 API Traffic 모니터링 화면이다.



출처 : http://apigee.com/docs/enterprise/content/monitor-performance-your-api

 

Monetization

Monetization은 쉽게 이야기 해서 유료화 모델이다. API의 과금 정책 월단위, 사용자 단위, 호출 단말건,호출 건수별 등 다양한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이벤트 가격 적용, 또는 사용자 수나, API 호출 수를 구간 별로 나눠서 금액을 책정하는 등의 다양한 가격 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를 Charging이라고 하며, Charging을 하기 위해서는 누가? 어떤 디바이스가 언제? 어떤 API를 호출했는지 등의 Charging을 하기 위한 기초 로그 데이타를 수집하고, Charging이 끝난후에, 신용카드등을 통해서 Payment를 하게 되면, 서비스 국가에 따라서 세금을 내는 Taxation 그리고 세금을 땐 수익을 다시 API 제공자에게 분배 하는 정산 (Pay out)등의 인프라를 제공한다.

Portal

포탈은 API 사용자가 로그인을 한 후, API에 대한 사용법이나 샘플 또는 테스트 등을 할 수 있는 기능등을 제공한다. API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편이성을 제공해서 API사용자가 잘 사용할 수 있데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하게 메뉴얼 뿐만 아니라 API사용자 입장에서 얼마나 API를 사용했는지 어떤 API가 많이 호출되었는지등의 자료는 API 사용자 입장에서도 과금에 관련되고 또 향후 서비스 개선을 위한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에, API 포탈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외부 API 사용자를 위한 기능도 있지만, API를 판매하지 않고, 내부에서 다른 부서에 API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쉽게 API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만약에 API 메뉴얼 또는 테스트 사이트를 제공하고 싶은 경우에는 Swagger 라는 오픈소스를 참고해보기를 권장한다. https://github.com/wordnik/swagger-core

Swagger API에 대한 메뉴얼 자동 생성 및 테스트 사이트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아래는 Swagger에 의해서 생성된 API 메뉴얼 사이트 인데, API에 대한 사용법 및 샘플 데이타를 제공하고, 무엇보다 테스트 호출을 날려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출처 : http://swagger.wordnik.com

API Governance

이런 API Platform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부가적인 이득은 API 에 대한 관리이다.

내부적으로 API를 사용하면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API에 대한 관리인데, 여러 부서가 일을하는 경우, API 의 메세지 포맷이나 API URL Naming convention이 다른 일이 발생한다. 특히 SOA 시절의 WSDL 기반의 WebService를 사용하면 최소한의 표준 준수가 가능했으나 (WebService 자체가 표준이다.) REST/JSON의 경우 WSDL과 같은 메세지 포맷에 대한 표준 자체가 없기 때문에 자유도가 증가하여 표준화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A부서는 version URI에 넣어서 http://myapi/adduser/version3 와 같은 식으로 서비스하거나, B부서는 version HTTP header에 넣어서 http://myapi/addorder URI로 제공하고http headerx-myapi-version:3 식으로 넣어서 같은 회사인데도 API 메세지 포맷에 대한 통일 성을 읽어 버릴 수 있다.

API플랫폼을 사용하면, 서비스 되는 API는 모두 API 플랫폼을 통해야 함으로 API 플랫폼 관리 조직이 API가 표준에 맞지 않으면 API 플랫폼을 통해서 서비스 하는 것을 거부할 수 있으므로, API 표준 준수를 강요할 수 있는 강제성을 통한 통제성을 확보함으로써 API를 중앙에서 집중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