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중 Private 클라우드의 경우 대부분 Hypervisor 기반의 가상화를 이용하여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하는 아키텍쳐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만, Public 클라우드의 경우 Iaas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몇가지 공통적인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Public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공통적인 서비스 형태들은 다음과 같다.
Storage Service
Storage Service는 말 그대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이다.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몇 가지 상세 서비스로 나뉘어 진다.
적은 크기의 많은 수의 데이터 (Table Storage)
데이터의 수가 수천만,테라 단위의 많은 수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의 복잡도나 각각 레코드의 크기는 크지 않을 경우, 큰 저장 용량과 빠른 검색 속도를 요구 한다. 사용자 profile,게시물 레코드등이 해당하는데, 기업내에 이런 데이터를 저장하기에는 디스크등의 저장소에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크고, 폭발적인 용량 증설이 있을 경우에 비즈니스에 대한 대응성이 늦다. 그래서 대부분의 Public Cloud 서비스에는 이러한 데이터 형태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MS Windows Azure의 Table Storage나 Amazon의 SDS가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 구조는 근래에 서비스 업체를 중심으로 하는 NoSQL 아키텍쳐와 관련이 깊은데, 실제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경우 많은 데이터에 대한 저장 요구사항과 빠른 검색 및 접근 성능을 요구로 하고 있기 때문에, Cassandra와 같은 Column데이타 베이스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요건을 구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이 반역된 것이 위에 언급한 형태의 클라우드 데이터 서비스이다.
크기가 큰 데이터 (Blob Storage)
일반 데이터 파일, 사진,이미지,동영상과 같은 크기가 큰 데이터의 경우 복잡한 쿼리와 같은 연산은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저장용량에 대한 비용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여러 국가를 대상으로 서비스 하는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의 다운로드 속도가 문제가 된다.
이런 형태의 데이터를 Blob 데이터라고 하고, Public Cloud에서는 크기가 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Amazon의 S3, MS Windows Azure의 Blob Storage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이며, 여러 국가(지역)간의 다운로드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을 연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델이 많다.
복잡한 데이터 연산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RDBS over Cloud)
다음으로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복잡한 관계형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쿼리와 관계 관리를 위한 RDBMS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가 필요하다. 쉽게 생각하면 RDBMS를 클라우드에 올리고 서비스를 한다고 똑같이 생각하면 되고, 단 이 경우 여러 데이터베이스간의 트렌젝션을 연동하여 보장하는 분산 트렌젝션은 지원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클라우드 노드간의 Latency 문제 때문에 분산 트렌젝션 지원시 심각한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Amazon에서 오픈소스인 MySQL을 기반으로한 RDS 서비스나, MS Windows Azure의 MS SQL을 기반으로한 MS SQL 서비스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가상 디스크 저장소 (Virtual Disk)
마지막으로 애플리케이션 차원에서 양이 많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자체적으로 사용할 데이터 또는 Iaas의 OS에 마운트되는 디스크등을 지원하기 위해서 논리적으로 디스크를 생성하여 가상머신(OS VM)에 마운트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Amazon EBS와 Microsoft Azure의 Azure Drive 서비스 등이 있다.
Queue Service
Queue Service는 기존의 IBM MQ, Microsoft의 MSSQ, Java의 JMS와 같은 비동기 호출을 지원하는 메시지 큐이다.
클라우드는 특성상, 작업을 하는 Working Instance들이 존재하고, 이 여러 Working Instance간의 작업 배분 또는 작업 요청에 대한 Buffering등을 위해서 중간에 메시지큐가 필요한데 이러한 요구사항을 지원하기 위해서 Public Cloud에서는 Queue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Amazon SQS, Microsoft Azure의 Queue Storage 서비스등이 있다.
Data Grid Service
일반적인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아키텍쳐중에 근래에 발전된 아키텍쳐중 하나는 데이터 그리드라는 아키텍쳐이다. 일종의 거대한 메모리를 여러대의 물리적 서버에 걸쳐서 배포하여 이론적으로 무제한 사이즈의 메모리를 만들고 애플리케이션들이 이 메모리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2차 캐쉬로 사용하는 시나리오를 많이 사용한다.
실제로 FaceBook의 경우 MySQL 데이터 베이스 윗단에 memcached라는 데이터 그리드를 위치 시켜서 데이터 베이스의 쿼리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키는 아키텍쳐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각각의 서비스 컴포넌트가 분리되어 있고 그로 인해서 컴포넌트간의 네트워크 Latency가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 조회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캐쉬 서비스와, 여러 인스턴스간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가 필요하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발전된 형태의 Public Cloud에서는 데이터 그리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o 캐쉬 서비스
캐쉬 서비스는 데이터를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파일)등에 저장하기 전에 2차 캐쉬로 사용하는 형태로 특히 Private 클라우드에 데이터를 놓고 Public 클라우드를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지역적 문제로 인한 네트워크 Latency가 심하기 때문에 성능 향상을 위해서 캐쉬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요구 된다.
o 메모리 버스
또한 여러 업무 또는 동일 업무라도 여러 서비스 인스턴스 (여러 VM)간의 데이터를 모으고 서로 공유 하기 위한 데이터 버스가 필요한데, Table Storage를 통해서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는 시나리오도 있지만, 이보다는 데이터 그리드를 이용할 경우 보다 나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그리드의 접근방식,데이터 구조는 Table Storage의 접근 방식과 데이터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대표적인 데이터그리드 서비스로는 Google AppEngine의 memcache 서비스, Microsoft Azure의 AppFabric Cache 서비스 등이 있다.
Scalability Support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의 가장 큰 목적 중의 하나가 하드웨어 자원의 탄력적인 사용이다. 자원의 사용량에 따라서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인데,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라이선스 정책상의 헛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라이선스 정책이 CPU X clock에 메모리 얼마인 인스턴스 단위로 계약을 하고, 이 인스턴스당의 사용량에 대해서 과금을 하는 방식이다. 문제는 초기 계약 당시에 하나의 인스턴스만 계약을 하기 때문에, 용량이 하나의 인스턴스 이상으이 필요할 때 대응이 애매하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늘려줘야 하고, 늘려진 인스턴스에 자동으로 부하를 분산해줘야 한다. 이것이 클라우드상의 Scalability 문제인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 되는 서비스가 Auto Scaling 서비스이다. 일정 수준(SLA 이상)의 용량이 넘어가면 이를 감지해서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추가해주는 서비스이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Amazon의 Auto Scaling 기능과 Windows Azure에서는 Monitoring API를 통해서 Instance를 늘려주는 기능을 추가해서 사용한다. (http://code.msdn.com/azurescale)
Virtual Machine Service
Iaas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로, Hypervisor 기반의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 하여 OS 별로 자원을 할당해주는 서비스이다. Amazon의 EC2 서비스와 Windows Azure의 VM Role 서비스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IDM(IDentity Management) Service
클라우드 서비스에 있어서 계정 통합 관리 및 권한 관리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클라우드에 배포되는 여러가지 서비스에 대해서 통합된 계정 관리가 필요하고, 각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사용자의 프로필의 스키마(항목)가 다르고 서비스마다 각각 관리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 가입 및 해지 또는 정보 변경에 따라 각각 서비스가 관리하고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이 동일하게 변경되어야 한다 (ID Provisioning).
여기에 더해서 만약 on premise 시스템과 연동을 할 경우 기업 내에 이미 계정 및 권한 관리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에 구축된 시스템과 on premise 시스템간의 계정 통합 역시 새로운 이슈로 제기된다.
이런 계정 통합과 통합 권한 관리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시스템내에는 통합된 또는 통합 가능한 형태의 계정 권한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Windows Azure AppFabric의 ACS 서비스가 있다.
Platform Service (.NET,LAMP etc)
다음으로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배포 및 운영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느냐인데, 쉽게 생각하면, 자바나 .NET 기반의 애플리케이션만 배포하면 되느냐? 아니면 DB,Web Application Server등의 미들웨어도 배포해야 하는냐로 판단하면 된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만 배포하여 운영할 수 있는 인프라가 다 되어 있는 경우에는 Paas (Platform As a Service)이고,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위해서 별도의 미들웨어 인스톨이 필요할 경우 미들웨어를 인스톨할 수 있는 인프라만 제공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이런 형태는 Iaas(Infra as a service)라고 한다.
Microsoft Azure의 경우 .NET,PHP 등의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제공하는 Paas 형태이고, Amazon의 경우에는 가상화된 OS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그 위에 애플리케이션 운영플랫폼은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Iaas 형태이다.
Google의 경우 Python과 JVM기반의 언어 (JRuby)등을 제공하는 Paas 형태이고, 위에서 설명했듯이 MS Azure는 Paas, Amazon은 Iaas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Integration Service
클라우드의 요구사항 중 하나는 각각 개별로 배포된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간의 통합 또는 클라우드에 배포된 서비스와 on premise에 배포된 서비스간의 연동이다. 위에서도 IDM등의 시나리오를 통해서 특화된 연동 통합 시나리오에 대해서 언급했지만, 여기서는 좀 더 보편화된 통합 서비스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Internet Service Bus
SOA 서비스에서 메인 계층 중의 하나가 Enterprise Service Bus (ESB)이다. ESB는 여러 다른 비즈니스 서비스간의 통합과 데이터 버스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솔루션이다. 클라우드 아키텍쳐에서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데이터 버스와 통합 계층이 필요한데, 기존 ESB의 특징에 더해서 클라우드 아키텍쳐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Service Bus가 필요하다.
클라우드는 첫번째로 지역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비즈니스 서비스들이 배포 되며, 두번째로 방화벽이나 NAT(네트워크 주소를 변경 시키는 장치)등을 경계로 한 on premise 서비스와 클라우드 내의 서비스를 통합해야 하는 요건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간의 라우팅을 담당하고 복잡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주소 변환,방화벽)를 지원할 수 있는 구조의 Service Bus가 필요하고 이런 특성을 가지고 있는 Service Bus를 Internet Service Bus라고 제공한다. 이러한 Internet Service Bus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Reverse Proxy등의 기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 언어의 라이브러리 형태로 일부 모듈이 제공되어야 한다.) Iaas 형태의 클라우드에서는 제공하기 어렵고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제공하는 Paas 형태에서 제공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Iaas 형태인 Amazon 클라우드에서는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Paas 를 지원하는 Microsoft Windows Azure의 AppFabric Service Bus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Legacy Integration Service
다음으로 기업내의 Legacy System을 통합하기 위한 솔루션이 필요한데, 클라우드 이전의 on premise 시스템에서는 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이라는 아키텍쳐를 이용했다. EAI는 Legacy Package Application에 대해서 특정한 Technology를 이용한 통합을 제공하는데, (SAP ERP, Oracle CRM에 대한 Technology 아답터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EAI 특성이 클라우드에도 배포되어 on premise에 배포된 Legacy Application이나 클라우드에 배포된 Package Application에 대해서 통합을 지원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Microsoft Azure AppFabric의 BizTalk 서비스가 있다.
Monitoring Service
마지막으로 Monitoring Service인데, 서비스 현황, 사용량 등을 Dash Board 형태로 표현함은 물론이고, Application의 성능과 건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등의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IaaS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Private Cloud 솔루션 Dynamic Date Center 모듈별 기능 (0) | 2010.11.24 |
---|---|
Microsoft Hyper-V 지원 OS 목록 (0) | 2010.11.22 |
Dynamic DataCenter DEMO (0) | 2010.11.22 |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과 분류 (1) | 2010.11.09 |
[링크] 가상화 방식에 대한 분류 (0) | 2010.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