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k 모듈을 이용한 mongoDB 연결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mongoDB 기반의 개발을 하기 위해서 mongoDB를 설치한다. https://www.mongodb.org/ 에서 OS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다.
설치가 된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설치디렉토리 아래 ‘./data’ 라는 디렉토리를 만든다. 이 디렉토리는 mongoDB의 데이타가 저장될 디렉토리이다.
mongoDB를 구동해보자.
% ./bin/mongod --dbpath ./data
Figure 1 mongoDB 구동화면
구동이 끝났으면 mongoDB에 접속할 클라이언트가 필요하다. DB에 접속해서 데이타를 보고 쿼리를 수행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가 필요한데, 여러 도구가 있지만 많이 사용되는 도구로는 roboMongo라는 클라이언트가 있다.
https://robomongo.org/download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OS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후 실행한다.
설치 후에, Create Connection에서, 로컬호스트에 설치된 mongoDB를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 정보를 기술하고, 연결을 만든다
Figure 2 robomongo에서 localhost에 있는 mongodb 연결 추가
주소는 localhost, 포트는 디폴트 포트로 27017를 넣으면 된다.
환경이 준비가 되었으면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자. 테스트 전에 기본적인 개념을 숙지할 필요가 있는데, mongoDB는 NoSQL 계열중에서도 도큐먼트DB (Document DB)에 속한다. 기존 RDBMS에서 하나의 행이 데이타를 표현했다면, mogoDB는 하나의 JSON 파일이 하나의 데이타를 표현한다. 이 JSON을 도큐먼트라고 하기 때문에, 도큐먼트 DB라고 한다.
제일 상위 개념은 DB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자, DB는 여러개의 테이블(컬렉션)을 저장하는 단위이다.
Robomongo에서 mydb라는 이름으로 DB 를 생성해보자
Figure 3 robomongo에서 새로운 DB를 추가 하는 화면
다음으로 생성된 DB안에, 컬렉션을 생성한다. 컬렉션은 RDBMS의 단일 테이블과 같은 개념이다.
Robomongo에서 다음과 같이 ‘users’라는 이름의 컬렉션을 생성한다
Figure 4 robomongo에서 컬렉션(Collection) 생성
users 컬렉션에는 userid를 키로 해서, sex(성별), city(도시) 명을 입력할 예정인데, userid가 키이기 때문에, userid를 통한 검색이나 소팅등이 발생한다. 그래서 userid를 인덱스로 지정한다.
인덱스 지정 방법은 createIndex 명령을 이용한다. 다음과 같이 robomongo에서 createIndex 명령을 이용하여 인덱스를 생성한다.
Figure 5 users 컬렉션에서 userid를 인덱스로 지정
mongoDB는 디폴트로, 각 컬렉션마다 “_id”라는 필드를 가지고 있다. 이 필드는 컬렉션 안의 데이타에 대한 키 값인데, 12 바이트의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고 ObjectId라는 포맷으로 “시간-머신이름,프로세스ID,증가값”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_id 필드에 userid를 저장하지 않고 별도로 인덱스를 만들어가면서 까지 userid 필드를 별도로 사용하는 것은 mongoDB는 NoSQL의 특성상 여러개의 머신에 데이타를 나눠서 저장한다. 그래서 데이타가 여러 머신에 골고루 분산되는 것이 중요한데, 애플리케이션상의 특정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필드를 사용하게 되면 데이타가 특정 머신에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주민번호를 _id로 사용했다면, 데이타가 골고루 분산될것 같지만, 해당 서비스가 10~20대에만 인기있는 서비스라면, 10~20대 데이타를 저장하는 머신에만 데이타가 몰리게 되고, 10세이하나, 20세 이상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노드에는 데이타가 적게 저장된다.
이런 이유등으로 mongoDB를 지원하는 node.js 드라이버에서는 _id 값을 사용할때, 앞에서 언급한 ObjectId 포맷을 따르지 않으면 에러를 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우리가 앞으로 살펴볼 mongoose나 monk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데이타를 집어넣기 위한 테이블(컬렉션) 생성이 완료되었다.
다음 컬렉션 에 대한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를 알아보자
SQL 문장과 비교하여, mongoDB에서 CRUD 에 대해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CRUD |
SQL |
MongoDB |
Create |
insert into users ("name","city") values("terry","seoul") |
db.users.insert({userid:"terry",city:"seoul"}) |
Read |
select * from users where id="terry" |
db.users.find({userid:"terry"}) |
Update |
update users set city="busan" where _id="terry" |
db.users.update( {userid:"terry"}, {$set :{ city:"Busan" } } ) |
Delete |
delete from users where _id="terry" |
db.users.remove({userid:"terry"}) |
Figure 6 SQL문장과 mongoDB 쿼리 문장 비교
mongoDB에서 쿼리는 위와 같이 db.{Collection 명}.{명령어} 형태로 정의된다.
roboMongo에서 insert 쿼리를 수행하여 데이타를 삽입해보자
Figure 7 mongoDB에서 users 컬렉션에 데이타 추가
다음으로 삽입한 데이타를 find 명령을 이용해 조회해보자
Figure 8 mongoDB에서 추가된 데이타에 대한 확인
mongoDB에 대한 구조나 자세한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http://www.tutorialspoint.com/mongodb/ 에 mongoDB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과 주요 쿼리들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이 문서를 참고하거나, 자세한 내용은 https://docs.mongodb.org/manual/ 를 참고하기 바란다.
https://university.mongodb.com/ 에 가면 mongodb.com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강의를 들을 수 있다. (무료인 과정도 있으니 필요하면 참고하기 바란다.)
mongoDB를 node.js에서 호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인 두가지를 소개한다.
첫번째 방식은 mongoDB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직접 mongoDB 쿼리를 사용하는 방식이고, 두번째 방식은 ODM (Object Document Mapper)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ODM 방식은 자바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과 유사하게 직접 쿼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맵퍼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상의 객체를 데이타와 맵핑 시키는 방식이다. 뒷부분에서 직접 코드를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Monk를 이용한 연결
첫번째로 mongoDB 네이티브 쿼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monk라는 node.js용 mongoDB 클라이언트를 이용할 것이다.
monk 모듈을 이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package.json에 monk에 대한 의존성을 추가한다.
{ "name": "mongoDBexpress", "version": "0.0.0", "private": true, "scripts": { "start": "node ./bin/www" }, "dependencies": { "body-parser": "~1.13.2", "cookie-parser": "~1.3.5", "debug": "~2.2.0", "express": "~4.13.1", "jade": "~1.11.0", "morgan": "~1.6.1", "serve-favicon": "~2.3.0", "monk":"~1.0.1" } }
|
Figure 9 monk 모듈에 대한 의존성이 추가된 package.json
app.js에서 express가 기동할때, monk를 이용해서 mongoDB에 연결하도록 한다.
var monk = require('monk'); var db = monk('mongodb://localhost:27017/mydb');
var mongo = require('./routes/mongo.js'); app.use(function(req,res,next){ req.db = db; next(); }); app.use('/', mongo); |
Figure 10 monk를 이용하여 app.js에서 mongoDB 연결하기
mongoDB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문자열은 'mongodb://localhost:27017/mydb' 로 mongo://{mongoDB 주소}:{mongoDB 포트}/{연결하고자 하는 DB명} 으로 이 예제에서는 mongoDB 연결을 간단하게 IP,포트,DB명만 사용했지만, 여러개의 인스턴스가 클러스터링 되어 있을 경우, 여러 mongoDB로 연결을 할 수 있는 설정이나, Connection Pool과 같은 설정, SSL과 같은 보안 설정등 부가적인 설정이 많으니, 반드시 운영환경에 맞는 설정으로 변경하기를 바란다. 설정 방법은 http://mongodb.github.io/node-mongodb-native/2.1/reference/connecting/connection-settings/ 문서를 참고하자.
이때 주의깊게 살펴봐야 하는 부분이 app.use를 이용해서 미들웨어를 추가하였는데, req.db에 mongodb 연결을 넘기는 것을 볼 수 있다. 미들웨어로 추가가 되었기 때문에 매번 HTTP 요청이 올때 마다 req 객체에는 db라는 변수로 mongodb 연결을 저장해서 넘기게 되는데, 이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 router에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 router로 db 연결을 넘기기 위함이다. 아래 데이타를 삽입하는 라우터 코드를 보자
router.post('/insert', function(req, res, next) { var userid = req.body.userid; var sex = req.body.sex; var city = req.body.city;
db = req.db; db.get('users').insert({'userid':userid,'sex':sex,'city':city},function(err,doc){ if(err){ console.log(err); res.status(500).send('update error'); return; } res.status(200).send("Inserted");
}); }); |
Figure 11 /routes/mongo.js 에서 데이타를 삽입하는 코드
req 객체에서 폼 필드를 읽어서 userid,sex,city등을 읽어내고, 앞의 app.js 에서 추가한 미들웨어에서 넘겨준 db 객체를 받아서 db.get('users').insert({'userid':userid,'sex':sex,'city':city},function(err,doc) 를 수행하여 데이타를 insert 하였다.
다음은 userid필드가 HTTP 폼에서 넘어오는 userid와 일치하는 레코드를 지우는 코드 예제이다. Insert 부분과 크게 다르지 않고 remove 함수를 이용하여 삭제 하였다.
router.post('/delete', function(req, res, next) { var userid = req.body.userid;
db = req.db; db.get('users').remove({'userid':userid},function(err,doc){ if(err){ console.log(err); res.status(500).send('update error'); return; } res.status(200).send("Removed");
}); }); |
Figure 12 /routes/mongo.js 에서 데이타를 삭제하는 코드
다음은 데이타를 수정하는 부분이다. Update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수정하는데,
db.get('users').update({userid:userid},{'userid':userid,'sex':sex,'city':city},function(err,doc){
와 같이 ‘userid’가 userid 인 필드의 데이타를 },{'userid':userid,'sex':sex,'city':city} 로 대치한다.
router.post('/update', function(req, res, next) { var userid = req.body.userid; var sex = req.body.sex; var city = req.body.city; db = req.db; db.get('users').update({userid:userid},{'userid':userid,'sex':sex,'city':city},function(err,doc){ //db.get('users').update({'userid':userid},{$set:{'sex':'BUSAN'}},function(err,doc){ if(err){ console.log(err); res.status(500).send('update error'); return; } res.status(200).send("Updated");
}); }); |
Figure 13 /routes/mongo.js 에서 데이타를 수정하는 코드
전체 레코드를 대치하는게 아니라 특정 필드만 수정하고자 하면, $set: 쿼리를 이용하여, 수정하고자하는 필드만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다.
db.collection('users').updateOne({_id:userid},{$set:{'sex':'BUSAN'}},function(err,doc){
마지막으로 데이타를 조회하는 부분이다. /list URL은 전체 리스트를 리턴하는 코드이고, /get은 ?userid= 쿼리 스트링으로 정의되는 사용자 ID에 대한 레코드만을 조회해서 리턴한다.
router.get('/list', function(req, res, next) { db = req.db; db.get('users').find({},function(err,doc){ if(err) console.log('err'); res.send(doc); }); }); router.get('/get', function(req, res, next) { db = req.db; var userid = req.query.userid db.get('users').findOne({'userid':userid},function(err,doc){ if(err) console.log('err'); res.send(doc); }); }); |
Figure 14 /routes/mongo.js 에서 데이타를 조회하는 코드
이제 /routes/mongo.js 의 모든 코드 작업이 완료되었다. 이 코드를 호출하기 위한 HTML 폼을 작성하자.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h1> Native MongoDB Test Example</h1> <form method='post' action='/insert' name='mongoform' > user <input type='text' size='10' name='userid'> <input type='submit' value='delete' onclick='this.form.action="/delete"' > <input type='button' value='get' onclick='location.href="/get?userid="+document.mongoform.userid.value' > <p> city <input type='text' size='10' name='city' > sex <input type='radio' name='sex' value='male'>male <input type='radio' name='sex' value='female'>female <p> <input type='submit' value='insert' onclick='this.form.action="/insert"' > <input type='submit' value='update' onclick='this.form.action="/update"' > <input type='button' value='list' onclick='location.href="/list"' >
</form> </body> </html> |
Figure 15 /public/monksample.html
node.js를 실행하고 http://localhost:3000/monksample.html 을 실행해보자
Figure 16 http://localhost:3000/monksample.html 실행 결과
아래 insert 버튼을 누르면, 채워진 필드로 새로운 레코드를 생성하고, update 버튼은 user 필드에 있는 사용자 이름으로된 데이타를 업데이트 한다. list 버튼은 컬렉션에서 전체 데이타를 조회해서 출력하고, delete 버튼은 user 필드에 있는 사용자 이름으로된 레코드를 삭제한다. get 버튼은 user 필드에 있는 사용자 이름으로 데이타를 조회하여 리턴한다.
다음은 list로 전체 데이타를 조회하는 화면이다.
Figure 17 /list를 수행하여 mongoDB에 저장된 전체 데이타를 조회하는 화면
이 코드의 전체 소스코드는 https://github.com/bwcho75/nodejs_tutorial/tree/master/mongoDBexpress 에 있으니 필요하면 참고하기 바란다.
다음 글에서는 node.js의 mongoDB ODM 프레임웍인 mongoose 이용한 접근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Vert.x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르게 훝어 보는 node.js - promise를 이용한 node.js에서 콜백헬의 처리 (2) | 2016.03.18 |
---|---|
빠르게 훝어 보는 node.js - async 프레임웍을 이용한 콜백헬의 해결 (2) | 2016.03.16 |
node.js에서 multipary와 multer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 하기 (3) | 2016.03.10 |
REST JWT(JSON Web Token)소개 - #2 node.js에서 JWT 사용하기 (3) | 2015.02.03 |
빠르게 훝어 보는 node.js - #16 - Passport를 이용한 OAuth 2.0 API 인증 (Facebook 2/2) (5) | 201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