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Spark(스파크) - RDD Persistence (스토리지 옵션에 대해서)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Spark Persistence에 대해서
앞에 글에서 Spark RDD가 메모리에 상주 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언급했는데, 다시 되 짚어 보면 Spark의 RDD는 filter() 등. 여러 Transformation Operation을 실행하더라도 Transformation 단계가 아니라 Action이 수행되는 단계에 로드된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매번 해당 RDD가 Action으로 수행될 때마다 다시금 소스에서 부터 다시 로드되서 수행된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매번 로드 해서 계산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해놓고 사용 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스파크에서는 RDD 를 저장해놓고 사용하는 기능으로 persist()와 cache() 라는 두 가지 오퍼레이션을 지원한다.
스파크는 RDD를 저장함에 있어서, 메모리와 디스크 두 가지 영역을 사용하며, 옵션에 따라서 RDD의 저장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기본 디폴트는 메모리에 저장하고, 옵션으로 디스크를 지정할 수 있다. 디스크를 지정하면, 메모리에서 모지란 부분을 마치 swapping 하듯이 디스크에 데이타를 저장한다.
아래 옵션 참고
출처 : https://spark.apache.org/docs/latest/programming-guide.html#rdd-persistence
여기에 특이한 점은, 메모리나 디스크에 저장할때, RDD를 RAW (원본 형식)으로 저장할 것인지 자바의 Serialized 된 형태로 저장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 Serealized 된 형태로 저장하기 MEMORY_ONLY_SER, MEMORY_AND_DISK_SER) 이렇게 저장하면, 메모리 사용량은 더 줄일 수 있지만, 반대로 저장시 Serizalied하는 오버로드와, 읽을때 De-Seriazlie 하는 오버로드가 더 붙어서 CPU 사용량은 오히려 증가하게 된다.
아래 데이타는 http://sujee.net/2015/01/22/understanding-spark-caching/#.VWcOh1ntlBc 의 데이타 긴데,
Serialized 로 저장하는 경우, 최대 약 4배 정도의 메모리 용량을 절약할 수 있으나, 반대로, 처리 시간은 400배 이상이 더 들어간다.
다음으로, 특이한 옵션중에 하나가 OFF_HEAP 이라는 옵션인데, 스파크는 JVM 상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스파크가 저장하는 메모리란 JVM 상의 메모리를 뜻한다. JVM 특성상 Garbage collection 에 의한 성능 제약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별도로 서로 복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기본 옵션의 경우에만), 안정적인 서비스를 원할 경우에는 별도의 복제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옵션으로는 JVM 내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JVM 외의 메모리 공간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방식이 OFF_HEAP 이라는 옵션이다. 아직 안정화 되지는 않았지만, http://tachyon-project.org/ 이라는 메모리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서로 복제가 가능한 외부 메모리 클러스터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JVM 상 메모리 보다는 성능이 약간 떨어지지만, 디스크보다는 빠르며, 큰 메모리 공간을 장애 대응에 대한 상관 없이 (자체 적으로 HA 기능을 제공함) 사용이 가능하다.
cf. Redis나 Infinispan등과 같은 메모리 기반의 데이타 그리드 솔루션의 하나인 Hazelcast 역시 JVM 밖의 네이티브 메모리 공간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유사한 방식을 사용한다.
Persist vs Cache
그렇다면, persist()와 cach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cache()는 persist() 에서 저장 옵션을 MEMORY_ONLY로 한 옵션과 동일하다.
저장된 RDD는 메모리나 디스크에서 언제 삭제 되는가?
RDD가 메모리나 디스크에 로드되었다고 항상 로드된 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LRU (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 (가장 근래에 사용되지 않은 데이타가 삭제되는 방식)에 의해서 삭제가 되가나, 또는 RDD.unpersiste() 함수를 호출하면 명시적으로 메모리나 디스크에서 삭제할 수 있다.
언제 어떤 타입의 Peristence옵션을 사용해야 하는가?
가장 좋은 옵션은 디폴트 옵션인 MEMORY_ONLY 옵션이다. 가장 빠르다.
다음으로 메모리가 모자를 경우에는 MEMORY_ONLY_SER 옵션을 이용하면, Seriazlied 된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메모리 공간은 줄일 수 있으나, 대신 CPU 사용률이 올라간다. 그래도 여전히 빠른 방식이다.
데이타 양이 많을 경우에는 DISK에 저장하는 옵션보다는 차라리 Persist 를 하지 않고, 필요할때 마다 재계산 하는 것이 더 빠를 수 있다.
빠른 응답이 필요한 경우에 Persist 된 데이타에 대한 유실을 방지하려면, replicated storage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MEMORY_ONLY2 등). 다른 스토리지 타입 역시, 장애로 인해서 데이타가 유실되더라도 재계산을 통하여 복구가 가능하지만, 재계산 하는 것 보다는 RDD 의 복제본을 저장해 놓고, 장애시 페일오버 하는 것이 빠르기 때문에, 빠른 응답시간을 요구로 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이 스토리지 타입이 유리하다. (단, 메모리 사용량은 복제본을 저장하는데도 사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일반 스토리지 옵션에 비해서 메모리 여유가 적다.)
참고
Learning Spark
Spark document - https://spark.apache.org/docs/latest/programming-guide.html#rdd-persistence
참고 - 이 글은 제가 스파크를 혼자 공부하면서 문서만을 통해서 정리한 글이기 때문에, 실무적인 경험이 많이 녹아 들어 있지 않습니다.
'빅데이타 & 머신러닝 > 스트리밍 데이타 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ache Spark-Python vs Scala 성능 비교 (1) | 2015.06.09 |
---|---|
Apache Spark - Key/Value Paris (Pair RDD) (0) | 2015.06.09 |
Apache Spark - RDD (Resilient Distributed DataSet) 이해하기 - #2 (1) | 2015.05.26 |
Apache Spark - RDD (Resilient Distributed DataSet) 이해하기 - #1 (0) | 2015.05.22 |
Apache Spark 소개 - 스파크 스택 구조 (0) | 201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