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쳐 145

MSA에서 Service discovery 패턴

MSA에서 Service discovery 패턴의 이해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MSA와 같은 분산 환경은 서비스 간의 원격 호출로 구성이 된다. 원격 서비스 호출은 IP 주소와 포트를 이용하는 방식이 되는다. 클라우드 환경이 되면서 서비스가 오토 스케일링등에 의해서 동적으로 생성되거나 컨테이너 기반의 배포로 인해서, 서비스의 IP가 동적으로 변경되는 일이 잦아졌다. 그래서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호출할때 서비스의 위치 (즉 IP주소와 포트)를 알아낼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한데, 이것을 바로 서비스 디스커버리 (Service discovery)라고 한다. 다음 그림을 보자 Service A의 인스턴스들이 생성이 될때, Service A에 대한 주소를 Service regi..

Circuit breaker 패턴을 이용한 장애에 강한 MSA 서비스 구현하기 #2 - Spring에서 Circuit breaker 구현

Circuit breaker 패턴을 이용한 장애에 강한 MSA 서비스 구현하기 #2Spring을 이용한 Circuit breaker 구현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앞의 글에서는 넷플릭스 Hystrix를 이용하여 Circuit break를 구현해보았다.실제 개발에서 Hystix로 개발도 가능하지만, 보통 자바의 경우에는 Spring framework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Spring framework을 이용한 Circuit breaker를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다행이도 근래에 Spring은 넷플릭스의 MSA 패턴들을 구현화한 오픈 소스들을 Spring 오픈 소스 프레임웍안으로 활발하게 합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어서 어렵지 않게 구현이 가능하다. 구현..

Circuit breaker 패턴을 이용한 장애에 강한 MSA 서비스 구현하기 #1 - Circuit breaker와 넷플릭스 Hystrix

Circuit breaker 패턴을 이용한 장애에 강한 MSA 서비스 구현하기 #1 Circuit breaker와 넷플릭스 Hystrix조대협 (http://bcho.tistory.com)MSA에서 서비스간 장애 전파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 패턴은 시스템을 여러개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나눠서 서비스 컴포넌트간에 호출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이 아키텍쳐는 장점도 많지만 반대로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에 하나는 하나의 컴포넌트가 느려지거나 장애가 나면 그 장애가난 컴포넌트를 호출하는 종속된 컴포넌트까지 장애가 전파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아래 그림을 보자 Service A가 Service B를 호출하는 상황에서 어떤 문제로 인하여 Service B가 응답을 못하거나 또는 응답 ..

분산 로그 & 데이타 수집기 Fluentd

분산 로그 수집기 Fluentd 소개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요즘 들어 빅데이타 분석 관련 기술들을 보다보니, 역시나 여러 데이타 소스에서 데이타를 수집해 오는 부분이 여러 데이타 소스를 커버해야 하고, 분산된 여러 서버에서 데이타를 수집해야 하는 만큼 수집 컴포넌트의 중요성이 점점 더 올라가는 것 같다.그래서 요즘 빅데이타를 위한 데이타(및 로그) 수집 플랫폼을 보고 있는데, 예전 Flume 등 여러 로그 수집 솔루션이 있었는 것에 비해서 조금 정리된 느낌이라고나 할까? Scribed, Fluentd 그리고 ELK (Elastic Search + Logstash + Kibana 조합)에서 사용되는 Logstash등이 있는데, 대부분 Fluentd와 Logstash로 수렴 ..

MSA의 중복 개발에 대한 단상

MSA의 중복 개발에 대한 단상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어제 우연한 기회로, API Academy 세미나에 다녀왔습니다.발표자는 Mike Amundsen 이라는 분으로, CA의 API 아카데미의 일원이며, OReilly 출판사를 통해서 REST API에 대한 저서를 집필한 분이기도 합니다.http://www.oreilly.com/pub/au/1192 API 아카데미였지만, 결국 MSA와 조직 문화 소통으로 수렴되는 내용이었습니다만, MSA 에 관련하여 재미있는 접근이 있어서 남겨놓고자 합니다. 예로 든것중의 하나가 API를 외부용, 내부용, 그리고 특정한 파트너용 3가지로 나누어서 접근을 하였는데, 이 접근 방식보다 특이했던 것이 구현의 주체입니다.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유사..

모바일 앱 개발을 지원하는 - Twitter fabric overview

트위터 모바일 SDK 서비스 패브릭에 대한 소개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트위터에서는 2014년 부터, 모바일 생태계 지원을 위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Fabric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데이타 분석 및 리포팅, 트위터 연동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대략적인 프로덕트들에 대한 기능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Crashlytics - Crash Reporting (https://fabric.io/kits/android/crashlytics) 모바일앱에 대한 크래쉬 내용에 대한 수집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한다. 특이한 사항으로는 크래쉬 분석 뿐만 아니라, 베타 사용자나 테스터들에게 앱을 배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베타 테스트 사항을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

모바일 데이타 분석 및 사용자 분석

쉽게 이해하는 모바일 데이타 분석 조대협(http://bcho.tistory.com) 모바일 서비스 비지니스를 진행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중 하나는 지표에 따른 의사 결정과 서비스 개선이다. 이를 위해서, 어떤 지표들이 필요한지 정의하고 어떻게 측정할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데, 이 글에서는 모바일 서비스 리포팅에 대해 어떤 지표가 있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런 지표를 수집 분석하기 위한 도구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모바일 서비스에서 단계별 사용자 흐름 먼저 지표를 이해하기 전에, 사용자가 모바일 서비스 가입부터 사용에서 부터 이익을 내줄때 까지 어떤 흐름을 거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러 글들이나 서비스들에서 다소 용어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아래와 같이 단계를 정..

MySQL 클러스터링을 위한 Galera Cluster

MySQL Galera Replication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RDBMS 오픈소스 중에서 단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MySQL인데, 근래에 웹 스케일이 커지면서, 단일 인스턴스로만 서비스가 불가능한 용량까지 가게 되서, 이 MySQL에 대한 클러스터링 스케일링에 대한 이슈가 많아졌다. 이에 Tungsten, MySQL Replication, NDB, Galera 등 다양한 클러스터링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서 갈레라 클러스터링 (Galera Clustering)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MySQL Replication 갈레라 클러스터링을 이해하기에 앞서서 먼저 가장 널리(그리고 쉽게) 사용되는 MySQL Replication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MyS..

아키텍쳐 2015.11.18

모바일 개발 트렌드

모바일 개발 트렌드에 대한 예측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시장 환경 2016년 모바일 개발 트렌드에 대해서 언급하기 앞서서 전체적인 모바일 비지니스 변화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모바일 스타트업 중심의 개발 트랜드가 계속 여러 유니콘(실리콘 밸리에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의 실적 약화에도, 내년에도 변함없이 계속해서 스타트업 생태계는 확장이 되어갈 것이고, 그 중심에 모바일 앱이 있을 것 이라고 본다.많은 모바일 앱들은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새로운 기술들로 무장한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개발이 될것이라고 보는데, 모바일 스타트업의 특성상 필요한 몇가지 요구 사항이 있고, 이 요구 사항을 채워주는 기술 위주로 내년은 기술 트랜드가 발전하지 않을까 싶다. 모바일 중심의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