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torial 48

MCP (Model Context Protocol) 2. 서버 개발하기

조대협 (http://bcho.tistory.com)지난 글을 통해서 MCP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하게 이해해봤다. 이번글에서는 그러면 어떻게 MCP 서버를 실제로 구현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MCP Local server & remote serverMCP server 는 구동 위치에 따라서, 로컬 서버와 리모트 서버로 분리된다. 아래는 Anthropic 의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로컬 서버의 경우, MCP 애플리케이션 호스트 프로세스가 기동되는 로컬 데스크탑에서 실행되는 서버이고, 리모트 서버는 클라우드나 기타 네트워크로 접속될 수 있는 환경에서 기동되는 서버이다. 로컬 서버의 경우에는 같은 데스크탑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로컬 자원, 즉 데스크탑의 파일 등에 접근할 수 있다.(노트 : 이는..

MCP (Model Context Protocol) 1. 개념 이해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근래에 들어서 LLM 에 관련해서 가장 핫한 토픽중에 하나는 MCP (Model Context Protocol)이다. MCP는 Anthropic에서 발표한 프로토콜로 LLM 모델이 외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펙으로, 예를 들어 클로드 모델이 학습된 결과로 답변만할 수 있는데 비해서 MCP를 이용하여 외부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게 되면, 구글 검색 결과를 통해서 최신 정보를 가지고 답변을 하거나, Spotify를 이용해서 음악을 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MCP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이해해보도록 한다. (아래는 본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비디오 이다. ) Agent 개념의 이해MCP를 이해하려면 먼저 LLM과..

Nest.JS 살펴보기 - 2. Hello World

Nest.JS 살펴보기 - 2. Hello World조대협 (http://bcho.tistory.com)1. 프로젝트 생성: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hello-world라는 이름의 Nest.js 프로젝트를 생성한다.nest new hello-world프로젝트 생성 과정에서 패키지 매니저를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 npm을 선택한다.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면 hello-world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hello-world2. 주요 파일 설명:생성된 프로젝트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파일들이 있다.src/app.controller.ts: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를 정의하는 파일이다. 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라우팅 로직..

Istio #2 - Envoy proxy

Istio #2 - Envoy Proxy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그럼 앞에서 설명한 서비스 매쉬의 구조를 구현한 Istio를 살펴보기전에, Istio에 사용되는 envoy 프록시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이 글은 예전에 포스팅한 내용이지만, Istio 글의 흐름상 다시 포스팅 한다.) Envoy Proxy 먼저 istio에 사용되는 envory proxy를 살펴보자. Envoy 프록시는 Lyft사에서 개발되었으면 오픈소스로 공개되었다. 기존 프록시 L4기능 뿐 아니라 L7 기능도 지원하면서 HTTP 뿐아니라 HTTP 2.0,TCP,gRPC까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성능 지표를 보면 아래 Twillo에서 2017년에 테스트 한 자료를 참고할만 한데, (원본 https..

쿠버네티스 #19 - 보안(4/4) Pod Security Policy

쿠버네티스 #19보안 4/4 - Pod Security Policy조대협 (http://bcho.tistory.com) SecurityContext가 컨테이너나 Pod의 보안 기능을 정의 하는 것이라면, Pod Security Policy (이하 PSP)는 보안 기능에 대한 정책을 정의 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정책으로 Pod를 생성할때는 반드시 root 사용자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강제한다던지, Privileged 모드를 사용못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현재는 (2018년9월1일) 베타 상태이기 때문에 다소의 기능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염두하고 사용하도록 하자. 개념개념이 복잡하기 때문에 먼저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한 후에, 각 상세를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아래 그림을 보자 PSP는 생성후에, 사용자에게..

쿠버네티스 #13 - 모니터링 (1/2)

쿠버네티스 #13 모니터링 1/2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운영 관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는 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이다. 시스템 자원의 사용량이나 에러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서,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문제 발생시 원인 파악과 대응을 할 수 있다.이번 글에서는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개념과, 아키텍쳐 그리고 구축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컨셉쿠버네티스에 대한 모니터링을 보면 많은 툴과 지표들이 있어서 혼돈하기 쉬운데, 먼저 모니터링 컨셉에 대한 이해를 할 필요가 있다.쿠버네티스 기반의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크게 아래와 같이 4가지 계층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1. 호스트 (노드)먼저 ..

쿠버네티스 #9 - HealthCheck

쿠버네티스 #9Health Check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쿠버네티스는 각 컨테이너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해서, 문제가 있는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재시작하거나 또는 문제가 있는 컨테이너(Pod를) 서비스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헬쓰 체크라고 하는데,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컨테이너가 살아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방법이 Liveness probe 그리고 컨테이너가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인지를 체크하는 방법을 Readiness probe 라고 한다. Probe typesLiveness probe와 readiness probe는 컨테이너가 정상적인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3가지 방식을 제공한다.Command probeHTTP probeTCP pr..

쿠버네티스 #5 - 디스크 (볼륨/Volume)

쿠버네티스 #4Volume (디스크)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쿠버네티스의 디스크 서비스인 볼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쿠버네티스에서 볼륨이란 Pod에 종속되는 디스크이다. (컨테이너 단위가 아님). Pod 단위이기 때문에, 그 Pod에 속해 있는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공유해서 사용될 수 있다.볼륨 종류쿠버네티스의 볼륨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로컬 디스크 뿐 아니라, NFS, iSCSI, Fiber Channel과 같은 일반적인 외장 디스크 인터페이스는 물론, GlusterFS나, Ceph와 같은 오픈 소스 파일 시스템, AWS EBS, GCP Persistent 디스크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제공되는 디스크, VsphereVolume과 같이 프라이비트 ..

Apache Beam (Dataflow)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tfrecord로 컨버팅 하기

Apache Beam (Dataflow)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tfrecord로 컨버팅 하기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개요텐서플로우 학습에 있어서 데이타 포맷은 학습의 성능을 결정 짓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이다. 특히 이미지 파일의 경우 이미지 목록과 이미지 파일이 분리되어 있어서 텐서플로우에서 학습시 이미지 목록을 읽으면서, 거기에 있는 이미지 파일을 매번 읽어야 하기 때문에, 코딩이 다소 지저분해지고,IO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텐서플로우에서는 이러한 학습 데이타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tfrecord (http://bcho.tistory.com/1190)라는 파일 포맷을 지원한다. 이 글에서는 이미지 데이타를 읽어서 tfrecord 로 컨버팅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분..

HBase와 구글의 빅테이블 #1 - 아키텍쳐

HBase 와 구글의 빅테이블#1 아키텍쳐 조대협 (http://bcho.tistory.com)HBaseHBase 는 아파치 오픈소스 NoSQL 솔루션으로 구글의 빅테이블 (https://research.google.com/archive/bigtable.html) 논문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Key/Value Store 기반의 NoSQL이며, 대용량 데이타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데이타 모델HBase는 컬럼 패밀리라는 데이타 모델을 사용하는데, 대략적인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각 행은 하나의 로우키(rowkey)를 가지고 있다. 이 키는 RDBMS의 프라이머리 키와 같은 키라고 보면 된다. 각각의 행에는 컬럼이 정의되어 있는데, RDBMS 테이블의 일반 컬럼과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