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NoSQL/google cloud

Docker Kubernetes의 UI

Terry Cho 2016. 11. 26. 23:38

Docker Kubernetes UI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오늘 도커 밋업에서 Kubernetes 발표가 있어서, 발표전에 데모를 준비하다 보니, 구글 클라우드의 Kubernetes 서비스인 GKE (Google Container Engine)에서 Kubernetes UI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했다.


Google Container Service (GKE)


GKE는 구글 클라우드의 도커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도커 컨테이너를 관리해주는 서비스로는 Apache mesos, Docker Swarm 그리고 구글의 Kuberenetes 가 있는데, GKE는 이 Kuberentes 기반의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이다.


대부분의 이런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는 아직 개발중으로 운영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부가적인 기능이 필요한데, 사용자 계정 인증이나, 로깅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영환경에 적용하기는 아직 쉽지 않은데, GKE 서비스는 운영 환경에서 도커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완성도를 제공한다. 이미 Pocketmon go 서비스도 이미 GKE를 사용하고 있다.


Kubernetes UI


예전에 Kubernetes를 테스트할 때 단점은 아직 모든 관리와 모니터링을 대부분 CLI로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떨어지는데, 이번 GKE에서는 웹 UI 콘솔을 제공한다.


구글 GKE 콘솔에서 Kuberentes 클러스터를 선택하며 우측에 Connect 버튼이 나오는데, 


이 버튼을 누르면, Kubernetes 웹 UI를 띄울 수 있는 명령어가 출력된다.

아래와 같이 나온 명령어를 커맨드 창에서 실행시키고 htt://localhost:8001/ui 에 접속하면 Kubernetes 웹 콘솔을 볼 수 있다. 


Kubernetes 의 웹콘솔은 다음과 같은 모양이다.



Kubernetes의 주요 컴포넌트인 Pods, Service, Replication Controller , Nodes 등의 상태 모니터링은 물론이고, 배포 역시 이 웹 콘솔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gcr.io/terrycho-sandbox/hello-node:v1 컨테이너 이미지를 가지고, Pod 를 생성하고, Service를 정의해서 배포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을 이용해야 한다.


1. hello-node 라는 pod를 생성한다. 

% kubectl run hello-node --image=gcr.io/terrycho-sandbox/hello-node:v1 --port=8080


2. 생성된 pod를 service를 정의해서 expose 한다.

kubectl expose deployment hello-node --type="LoadBalancer"


이런 설정들을 CLI로 하면 익숙해지면 쉽지만 익숙해지기전까지는 번거로운데,

아래 그림과 같이, 간단하게 웹 UI에서 Pod와 서비스들을 한번에 정의할 수 있다.





배포가 완료된 후에는 각 Pod의 상황이나, Pod를 호스팅하고 있는 Nodes 들의 상황등 다양한 정보를 매우 쉽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cf. CLI를 이용할 경우 CLI 명령어를 잘 알아야 가능하다.)


GKE에 대한 튜토리얼은 https://cloud.google.com/container-engine/docs/tutorials  에 있는데,

추천하는 튜토리얼은

가장 간단한 튜토리얼 node.js 웹앱을 배포하는  http://kubernetes.io/docs/hellonode/

와 WordPress와 MySQL을 배포하는 https://cloud.google.com/container-engine/docs/tutorials/persistent-disk/

을 추천한다.


도커가 아직까지 운영 환경에 사례가 국내에 많지 않고, GKE도 GUI 가 없어서 그다지 지켜보지 않았는데, 다시 파볼만한 정도의 완성도가 된듯.


참고로 테스트를 해보니 VM을 3개 만들어놓고 컨테이너를 7개인가 배포했는데, VM은 3개로 유지된다. 즉 하나의 VM에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배포되는 형태인데, 작은 서비스들이 많은 경우에는 자원 사용 효율이 좋을듯. 이런 관점에서 봤는때는 VM 기반의 서비스보다 컨테이너 서비스를 쓰는 장점이 확실히 보이는듯 하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