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 시작하기
계정 생성과 VM 생성하기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가상머신 VM을 생성해주는 GCE (Google Compute Engine)을 통해서 간단하게 VM을 생성하고 웹서버를 띄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계정 가입
먼저 GCP 클라우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글 계정에 가입한다. 기존에 gmail 계정이 있으면 gmail 계정을 사용하면 된다. http://www.google.com/cloud 로 가서, 좌측 상당에 Try it Free 버튼을 눌러서 구글 클라우드에 가입한다.
다음 콘솔에서 상단의 Google Cloud Platform 을 누르면 좌측에 메뉴가 나타나는데, 메뉴 중에서 “결제" 메뉴를 선택한후 결제 계정 추가를 통해서 개인 신용 카드 정보를 등록한다.
개인 신용 카드 정보를 등록해야 모든 서비스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단 Trial의 경우 자동으로 한달간 300$의 비용을 사용할 수 있는 크레딧이 자동으로 등록되니, 이 범위를 넘지 않으면 자동으로 결제가 되는 일이 없으니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프로젝트 생성
계정 생성 및 결제 계정 세팅이 끝났으면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프로젝트는 VM이나 네트워크 자원, SQL등 클라우드 내의 자원을 묶어서 관리하는 하나의 집합이다. 여러 사람이 하나의 클라우드를 사용할때 이렇게 프로젝트를 별도로 만들어서 별도로 과금을 하거나 각 시스템이나 팀별로 프로젝트를 나눠서 정의하면 관리하기가 용이하다.
화면 우측 상단에서 프로젝트 생성 메뉴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프로젝트 생성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 명을 입력 받는 창이 나온다. 여기에 프로젝트명을 넣으면 된다.
VM 생성
프로젝트가 생성되었으면, 이제 VM을 만들어 보자
좌측 메뉴에서 Compute Engine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바뀐 메뉴에서 좌측 VM 인스턴스를 선택한 후에, “인스턴스 만들기"를 통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VM 인스턴스는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생성할것이다.
인스턴스 이름은 ubuntu-instance
가장 작은 사이즈의 인스턴스 (초소형 인스턴스 vCPU *1, 0.6G 메모리)
10 GB의 로컬 디스크
Ubuntu 14.04LTS
유동 외부 IP
HTTP 트래픽 허용
VM 생성창에서 위의 조건에 따라 아래 화면과 같이 설정값을 세팅 한후 VM을 생성한다. 나머지 값들은 디폴트로 놔두면 된다.
몇가지 주의할점은 “ID 및 API 액세스" 부분에서 “액세스 범위"를 “모든 Cloud API에 대한 전체 액세스 허용" 으로 세팅해줘야 한다. 이부분은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API나 CloudSQL,BigQuery,Vision API 등 다른 서비스를 이 VM이 호출 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것이다. 이 설정은 VM 생성 초기에 하지 않으면 차후에 변경이 불가능하니 반드시 설정 초기에 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부분”에 “외부 IP” 부분을 “임시”로 설정한다.
외부 IP 는
지정하지 않음
임시
고정 주소
3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지정하지 않을 경우 이 VM은 외부 IP (Public IP)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직접적으로 이 VM에 접근할 수 없다. HTTP 요청의 경우 별도의 프록시나 로드밸러서를 앞에 놓고 접근을 하거나 SSH와 같은 쉘 접근도 같은 내부 네트워크 (Private IP) 대역에 있는 다른 VM을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 이미 잘 알고 있겠지만 ) 외부 IP 주소를 가지지 않는 VM은 외부로 부터 접근을 차단하여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의도이다.
그리고 VM 생성시에 영역 (Zone)을 설정하는데, Zone은 클라우드 VM이 생성되는 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리젼이 가장 큰 개념으로 대륙을 정의 한다. 미국 중부,서부,아시아,유럽 등이 리전에 해당하고, 각 리전안에는 여러개의 데이타 센타가 있는데, 이 데이타 센타를 영역 (Zone)으로 생각하면 된다. 이 예제에서는 asia-east1-a에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생성된 인스턴스가 기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브라우져를 통한 SSH 접속
인스턴스가 생성되었으면 이제 생성된 인스턴스로 SSH로 접속해보자 PC의 Putty와 같은 SSH 터미널을 이용해서 접근하는 방법은 http://bcho.tistory.com/1103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이러한 방법이 복잡할 경우 화면에서 VM 우측에 SSH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별도의 SSH 터미널이 없이도 아래 그림과 같이 웹 브라우져 상에서 SSH 터미널을 오픈해준다.
아파치 웹서버 설치
SSH로 접속을 했으면, 이제 아파치 웹서버를 설치하고 기동해보자 설치는 우분투의 apt-get 유틸리티를 사용할것이다.
먼저 apt-get 저장소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sudo apt-get update
다음으로 apache2 웹 서버를 설치해보자
%sudo apt-get install apache2
설치가 끝나면 자동으로 apache 웹서버가 기동이 된다. 혹시 기동이 되고 있지 않다면 다음 명령어를 이용해서 기동하자
%sudo apachectl start
기동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이 VM의 외부 IP(public ip)로 브라우져를 통해서 접속해보자.
접속이 성공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브라우져에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M 삭제
만약에 서비스를 계속해서 하지 않을 것이면 VM 을 정지하거나 삭제하면된다.
정지와 삭제의 차이는 정지된 VM은 나중에 재 시작이 가능하다. 단 스토리지 비용은 계속 과금 된다. 삭제는 VM을 없애 버리는 것으로 다시 재시작이 불가능하고 당연히 아무 비용도 과금되지 않는다.
VM의 정지나 삭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인스턴스 목록에서 정지 또는 삭제하고자 하는 VM을 선택한 후, 상단 메뉴에서 [정지] 또는 [삭제]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참고 자료
'클라우드 컴퓨팅 & NoSQL > google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는 구글의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 (2) | 2016.06.02 |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제품 소개 (0) | 2016.06.01 |
알아서 깍아 주는 구글의 클라우드 가격 정책 (0) | 2016.05.27 |
구글 클라우드 MySQL서비스의 흥미로운 가격 정책 (0) | 2016.05.26 |
구글 CloudSQL(MySQL) 접속하기 (0) | 2016.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