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NoSQL/운영 & Devops

배포 자동화 (Continuous Deployment)

Terry Cho 2013. 8. 17. 18:29

Continuous Deployment 
(Auto Deployment)


빌드와 테스트까지 자동화 했으면 그 다음 문제는 배포이다.

수동으로 배포하는 경우 한 두개의 서버라면 별 걱정이 없겠지만, 개발,테스트,운영 환경과 같이 여러 환경에 또한 각 환경에 수십대의 서버에 배포를 해야 한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그래서 요즘에서 CI에 배포의 개념을 더한 CD (Continuous Delivery 또는 Continuous Deployment)라는 개념이 유행하는데, 이는 빌드가 완료된 후, 배포까지 자동화 하는 방법이다.



이런 배포를 지원하는 도구는 여러가지 타입이 있다.

   특정 솔루션에 종속적인 도구

Tomcat이나 WebLogic 같은 WAS의 경우 각 제품에 특화된 배포 도구를 가지고 있다. Tomcat의 경우 Tomcat Client Deployer (http://tomcat.apache.org/tomcat-6.0-doc/deployer-howto.html#Deploying using the Client Deployer Package ) 와 같은 도구가 있는데, Remote에서 war 파일을 배포해줄 수 있는 도구 이다.

이러한 도구들의 특징은 해당 솔루션에 최적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RunTime Deploy나 기타 해당 솔루션에 특화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배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반대로 솔루션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파일만 배포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 war 파일 이외에, 다른 디렉토리에 configuration 파일을 배포하고 싶을 경우, 이런 파일들은 배포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여러개의 인스턴스에 동시 배포를 하고 싶을 때, 인스턴스들이 제품에서 제공하는 클러스터링 기능등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 각 인스턴스들을 일일이 각각 배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쉽게 말해서 매우 제품에 종속적이라는 것이다.

   Configuration Management

다음으로는 Puppet이나 Chef와 같은 Configuration Management 도구 기반의 배포 방식이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원래 태생이 Deployment보다는 초기 솔루션을 설치하거나, 다수의 서버나 솔루션에 대한 Configuration 정보를 중앙 관리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비해서 Deploy 과정은 대부분 파일을 복사하고 서버를 restart 시키는 과정 정도의 단순 작업이기 때문에, 만약에 이러한 Configuration Management 인프라를 갖추고 있거나, 또는 배포 과정이 솔루션의 설정을 포함하여 매우 복잡한 경우 일때는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반대로 이러한 인프라가 없는 상태에서 단순한 배포만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히려 배보다 배꼽이 커질 수 도 있다.

   Remote Shell 기반의 도구

마지막으로, Remote Shell 기반의 배포 도구가 있다. SSH RSH과 같은 명령을 툴로 실행시켜 주는 도구 인데, 파일 복사에서 부터 커맨드 라인에서 입력하는 명령들을 원격으로 실행시켜 준다.

솔루션에 종속적이지 않으며 또한 자유도가 높으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Python 으로 된 도구로는 Python Fabric이라는 도구가 있고, Ruby쪽에서는 Capistrano라는 도구가 있다.

Case Study

필자의 경우 클라우드 프로젝트 이전에만 해도, 환경 자체가 그리 크지 않았기 때문에, 웹로직이나 Tomcat의배포 툴을 사용해서 배포를 진행했었다. 클라우드 환경 기반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또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서 이러한 배포 자동화가 꼭 필요하게 되었는데, 이 배포는 Configuration Deployment 두 가지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전에 먼저 OS Tomcat과 같은 솔루션을 설치 하는 Configuration, 그 다음이 이 환경 위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Deployment이다.

Configuration의 경우에는 Puppet이나 Chef를 도입하고 싶었으나, 팀의 규모와 시간 관계상 도입이 어려웠고, 환경의 복잡도가 낮아서 별도의 Configuration management 도구는 도입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대신 OS Tomcat Pre-install된 표준 VM 이미지를 만들어 놓고, 배포가 필요할때 마다 이 이미지를 Loading한 후에, 애플리케이션을 Deployment 하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이 방식은 표준 이미지를 만들어 놓고 계속 재 사용하기 때문에, 관리가 쉽지만 반대로 Configuration을 변경하고자 할 때, 이미 배포된 이미지들에 대한 Configuration을 일일이 다시 변경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어느 정도 규모가 되면 Configuration Management 도구로 넘어가는 것이 좋은듯 하다.)

Fabric을 이용한 배포

그러면 Fabric을 이용한 Tomcat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단한 배포 시나리오를 살펴보도록 하자.

구성은 아래와 같다. Load Balancer 아래에 N개의 Tomcat 인스턴스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 이고, 배포는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르도록 한다.

   먼저 배포하고자 하는 Tomcat 인스턴스를 Load Balancer에서 제외한다.

   다음으로 배포하고자 하는 인스턴스를 Stop한다.

   배포하고자 하는 war 파일을 해당 Tomcat 인스턴스에 복사한다.

   그리고 해당 Tomcat 인스턴스를 리스타트한다.

   위의 1)~4) 과정을 다른 인스턴스에도 반복한다.



이 배포 방식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하나의 서비스내에서 배포 과정중에, 배포가 완료된 인스턴스와 배포 예정인 인스턴스에 애플리케이션이 다르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변경이 많은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 대규모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전체 클러스터를 내렸다가 전체 배포 후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는 방식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배포 중에 서비스에 대한 순간적인 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무정지 배포 아키텍쳐

이런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일부 자바 기반의 application server의 경우 runtime redeployment (시스템을 운영중에, 정지없이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행위로, 일부 자바 기반의 application server에서는 WAR와 같은 웹모듈이나, EJB 같은 모듈을 시스템을 무정지 상태로 재 배포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를 제공하는 제품들이 많다. redeployment 의 원리는 새로운 application load하고, classloader reload하는 형식인데, classloader reload이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기도 하고, application을 작성할때, redeploy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runtime redeploy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가장 확실한 redeploy 기법은 application server를 정지시킨후, 재배포한후에 restart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다. 이렇게 restart기반으로 redeploy를 할때, 시스템을 정지 상태를 최소화는 구조를 무정지 배포 아키텍쳐라고 하는데, 구조는 다음과 같다.




application server를 두개의 클러스터 그룹으로 나눈후, 각 클러스터 앞에 reverse proxy를 각각 배치 시킨다. 그리고 reverse proxy 앞에는 L4 스위치를 둬서 각 클러스터로 load balancing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배포를 할 때는 Cluster A 앞에 있는 reverse proxy를 정지 시킨다. 이렇게 하면, 앞단의 L4 로드 밸런서에서 Cluster A request를 보내지는 않으나, Cluster A 자체는 살아 있다. 그 후에 Cluster A의 각 인스턴스에 애플리케이션을 재 배포 한후,Cluster A reverse proxy를 재기동 시킨다. 마찬 가지 방법으로 Cluster B에도 같은 방법으로 redeploy를 수행한다.

이 구조를 택하면 전체 서비스 중지 없이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변화에 대해서 일관성 있게 한꺼번에 재 배포가 가능하다.

Fabric을 이용하여 AWS Tomcat war 파일 배포 하기

그러면 실제로 Fabric을 이용해서 어떻게 배포를 할 수 있을까?

다음은 아주 간단한 Fabric을 이용한 배포 스크립트 이다.

순서는 tomcat stop > copy war > start 와 같다. EC2상에서 pem (SSH)를 이용하여, 두대의 Host deploy하는 스크립트이다.

#fabfile.py

from fabric.api import run,env,execute,task

from fabric.operations import local,put

 

def tomcat_cluster():

        env.user ='root'

        env.hosts=['host1.server.com','host2.server.com'] # list of server setting

        env.key_filename='~/pem/pemfile.pem' # pem file

 

def hostname():

        run('uname -a')

 

def start():

        run('/etc/init.d/tomcat6 start')  # tomcat instance stop

 

def stop():

        run('/etc/init.d/tomcat6 stop') # tomcat instance stop

 

def copy():

        put('./dummy.war','/root/war') # file copy

 

def deploy():

        execute(stop)

        execute(copy)

        execute(start)

 

해당 파일을 fabfile.py에 저장후에

%fab tomcat_cluster deploy

명령어로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배포가 진행된다.

host1.stop()

host1.copy()

host1.start()

host2.stop()

host2.copy()

host2.start()

 

위의 예제는 Fabric의 설명을 하기 위한 아주 간단한 예제로, 필요에 따라서 수정해서 사용하기 바란다.

앞의 예제에서는 간단하게 war 파일만을 복사하는 형태로 배포 스크립트를 작성하였지만, maven 설명할때 언급했던 것 처럼, 기타 Configuration 파일을 함께 배포하고, roll back이나 버전 관리가 용이하게하기 위해서 rpm 형태로 배포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rpm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서 내부적으로 자체 yum repository를 만들어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

배포에서 고민해야 할것 들

배포주기

근 몇 년전만 해도, 배포는 몇 달간의 개발이 끝나면 테스트를 거쳐서 특정한 날짜를 잡아서 대규모 배포를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전체적인 IT 트렌드가 SNS와 같은 B2C 서비스가 중심이 되면서, 경쟁 서비스에 비해서 좋은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서 업데이트 주기가 매우 짧아지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배포도 자동화가 필요하게 되었고 Continuous Delivery와 같은 개념이 근래에 유행하게 된것일 수도 있는데, SNS 서비스의 경우 빠르면 하루 단위로 배포하는 경우 까지 있다.

배포 주기가 짧은 경우에는 몇 가지 더 고려할 사항이 있는데, 배포는 코드 개발보다는 인프라 관리나 빌드에 관련된 부분이 많다. 그래서 배포의 주체는 이런 운영 주체가 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배포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을 시에는 개발팀의 도움이 필요하고, 배포가 정상적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개발팀으로 부터의 확인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직 구조상 운영팀과 개발팀이 분리된 조직에서는 잦은 배포가 여러가지로 어려운점이 많다. 그래서 근래에는 이런 개발과 운영 조직을 합쳐서 개발팀을 운영하는 DevOps (Deveopment + Operation)형태의 조직구조로 전환하여 개발,배포,운영을 통합하여 관리 하는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경우 단순히 조직을 합치는 것뿐만 아니라 개발자에게는 인프라나 운영에 대한 이해 능력을 그리고 운영팀에는 개발에 대한 어느정도 선까지의 능력을 요구하게 되고 업무 프로세스등의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직을 융합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조금 더 높은 수준의 접근이 필요하다.  

수동 배포

운영 환경 배포는 반드시 수동으로 하는 것을 권고한다.

지금까지 자동으로 배포하는 방법을 설명해놓고, 왠 갑자기 수동 배포를 언급하는가 싶을 수도 있을텐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배포는 앞서 본 것과 같이 쉘 명령등을 수행해서 여러가지 명령 (Shutdown, Copy, Restart)을 동시에 여러 서버에 수행한다. 즉 중간에 에러가 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래서 배포 작업을 수행할때는 반드시 사람이 지켜보면서 배포 스크립트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개발환경이나 QA 환경 같은 경우에는 거의 업무 시간에 빌드를 하면서 배포가 수행이 되기 때문에, 배포 오류가 났을 경우에는 사람이 인지하기가 쉽고, 에러가 났을때 서비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개발이나 QA 환경 같은 경우에는 사람이 지켜보지 않고, CI 프로세스의 일부로 빌드 테스트가 끝나면 자동으로 배포를 하도록 해도 된다.

그렇지만 운영 환경의 경우에는 서비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드시 사람이 지켜보면서 수동으로 배포를 시작 및 모니터링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배포 roll back

서비스에 대한 배포시, 테스트를 아무리 잘했다하더라도,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는 이전의 버전으로 신속하게 roll back할 수 가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이전 버전을 반드시 저장하고 있어야 하고, 배포 스크립트 역시 예전 버전을 다시 배포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릴리즈 노트

마지막으로 배포가 끝나면 반드시 릴리즈 노트를 작성 및 함께 배포하는 것이 좋다.

배포란 개발이나 운영이 주로 주도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비지니스 쪽에서 필요한 기능 변화에 대한 릴리즈 노트의 중요성을 잃어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서비스가 변경이 되었을때, 어떠한 기능이 추가 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버그가 FIX가 되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으며, 특히 서비스를 판매나 영업하는 입장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반드시 챙기도록 한다.

릴리즈 노트는 배포 되는 대상 (독자)에 따라서 다르게 작성되야 하는데,

내부 릴리즈 노트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는 것을 권고한다.

Ÿ   릴리즈 버전, 날짜 및 빌드 넘버

Ÿ   새로운 기능 및 설명

Ÿ   버그 number 및 버그 수정 내용

또는 JIRA와 같은 Tak Management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JIRA에 등록된 기능이나 Bug 수정 내용을 릴리즈 시기에 자동으로 JIRA로 부터 생성해 낼 수 있다. (JIRA에서 릴리즈 노트 생성하기 https://confluence.atlassian.com/display/JIRA/Creating+Release+Notes)

만약 서비스나 제품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위의 릴리즈 노트의 내용을 사용할 수 도 있지만, 조금 더 직관적이고 읽기 쉬운 형태로 릴리즈 노트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몇몇 잘 정의된 릴리즈 노트의 샘플이다.

Ÿ   안드로이드 릴리즈 노트 : http://developer.android.com/sdk/RELEASENOTES.html

Ÿ   Fire Fox 릴리즈 노트 http://www.mozilla.org/en-US/firefox/23.0.1/releasenotes/

Ÿ   Maven 릴리즈 노트 http://maven.apache.org/release-notes-all.html

릴리즈 노트는 청중들에게 이번 릴리즈 기능의 변경 사항을 제대로 알리기 위함이다. JIRA와 같은 시스템의 기능을 이용하건, 아니면 일일이 손으로 새로 쓰건간에 반드시 보는 사람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라야 한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