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NoSQL/도커 & 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 #15 - 모니터링 (3/3) 구글 스택드라이버를 이용한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Terry Cho 2018. 8. 11. 14:31


쿠버네티스 #15

모니터링 3/3 구글 스택드라이버를 이용한 모니터링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구글 클라우드 쿠버네티스 스택드라이버 모니터링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중에서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스택 드라이버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에 대해서 소개하고자한다.

https://cloud.google.com/monitoring/kubernetes-engine/


현재는 베타 상태로, 구글 클라우드 쿠버네티스 서비스 (GKE)에서만 지원이 되며, 쿠버네티스 버전 1.10.2 와 1.11.0 (또는 그 상위버전)에서만 지원이 되고, 모니터링 뿐 아니라, 쿠버네티스 서비스에 대한 로깅을 스택드라이버 로깅 서비스를 이용해서 함께 제공한다.


스택드라이버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을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설정할때, 아래 그림과 같이 Additional features 항목에서 “Try the new Stackdriver beta monitoring and Logging experience” 항목을 체크하면 된다.



클러스터를 생성한 후에,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Monitoring 메뉴를 선택한 후에



스택드라이버 메뉴에서 Resources 메뉴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Kubernetes 메뉴를 선택하면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내용을 볼 수 있다.



모니터링 구조

스택드라이버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는 단순한 단일 뷰를 통해서 대부분의 리소스 모니터링 과 이벤트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아래 그림이 스택드라이버 모니터링 화면인데, “2”라고 표시된 부분이 시간에 따른 이벤트이다. 장애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붉은 색으로 표현되고, 3 부분을 보면, 여러가지 뷰 (계층 구조)로 각 자원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장애가 난 부분이 붉은 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https://cloud.google.com/monitoring/kubernetes-engine/observing >


Timeline에 Incident가 붉은 색으로 표시된 경우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는데, Timeline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이 디테일 이벤트 카드가 나온다. 이 카드를 통해서 메모리,CPU 등 이벤트에 대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https://cloud.google.com/monitoring/kubernetes-engine/observing >


반대로 정상적인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이벤트 부분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고, 모든 자원이 녹색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념 구조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중에 어려운 점중의 하나는 어떤 계층 구조로 자원을 모니터링 하는가 인데, 이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글 스택드라이버 쿠버네티스 모니터링은 3가지 계층 구조에 따른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모니터링 화면을 보면 아래와 같이 Infrastructure, Workloads, Services 와 같이 세가지 탭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어떤 관점에서 클러스터링을 모니터링할것인가인데,

  • Infrastructure : 하드웨어 자원 즉, node를 기준으로 하는 뷰로,  Cluster > Node > Pod > Container 의 계층 구조로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 Workloads : 워크로드, 즉 Deployment를 중심으로 하는 뷰로 Cluster > Namespace > Workload (Deployment) > Pod > Container 순서의 계층 구조로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 Services : 애플리케이션 즉 Service 를 중심으로 하는 뷰로 Cluster > Namespace > Service > Pod > Container 계층 순서로 뷰를 제공한다.

Alert 에 대한 상세 정보

각 계층 뷰에서 리소스가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앞의 동그라미가 붉은색으로 표시가 되는데,  해당 버튼을 누르게 되면, Alert 에 대한 상세 정보 카드가 떠서, 아래 그림과 같이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https://cloud.google.com/monitoring/kubernetes-engine/observing >

결론

지금까지 간단하게 쿠버네티스에 대한 모니터링과 로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프로메테우스나 그라파나와 같은 최신 기술을 써서 멋진 대쉬 보드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모니터링과 로깅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장애전에 그 전조를 파악해서 대응하고, 장애 발생시에는 해결과 향후 예방을 위한 분석 및 개선 활동이 일어나야 한다. 이를 위해서 모니터링과 로깅은 어디까지나 도구일 뿐이고, 어떤 지표를 모니터링 할것인지 (SLI : Service Level Indicator), 지표의 어느값까지를 시스템 운영의 목표로 삼을 것인지 (SLO : Service Level Object)를 정하는 프렉틱스 관점이 더 중요하다.  이를 구글에서는 SRE (Site Reliability Engineering)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landing.google.com/sre/book.html 를 참고하기 바란다.

이런 프렉틱스를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모니터링을 위한 툴링등은 직접 구축하는 것보다는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스택 드라이버와 같은 솔루션이나 데이타독(Datadog)와 같은 전문화된 모니터링 툴로 구축을 해서 시간을 줄이고, 프렉틱스 자체에 시간과 인력을 더 투자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