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과 운영의 조화 - Devops #2/2
1편 글 링크 - http://bcho.tistory.com/815
Devops의 정의
이러한 개념들을 적극적으로 적용한 기업들이 Netflix, Flicker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기업이다. 기존 개발 프로세스에 비해서 훨씬 빠르게 고객의 요구 사항을 반영해 내가고 있다. Flicker의 경우에는 하루에 10번 정도 [1]Deploy를 한다고 한다. 일반적인 인터넷 서비스가 한달에 한번 업데이트 빨라야 일주에 한번인데, 하루에 10번이라면, 경쟁 구조 자체가 틀려진다.
PuppetLab (Configuration management 자동화툴)의 블로그[2]에 따르면 Devops를 적용할 경우,경쟁사에 비해서 30배 정도 더 자주 Deployment를 할 수 있으며, Deployment 실패 비율도 50% 이상이나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장점이 많은 Devops는 무엇인가?
일반적인 Devops의 정의는 “개발과 운영이 분리되면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과 운영을 하나의 조직으로 합쳐서 팀을 운영하는 문화이자 방법론이다”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개발과 운영을 합치는 것이다. 조금 더 정확하게 이야기 하면, 개발 운영 뿐만 아니라 테스트까지 하나의 팀에 합치는 것이다.
상당 부분의 테스트는 이미 TDD (Test Driven Development), CI (Continuous Integration)를 통해서 개발 과정의 일부로 들어와 있는 경우가 많다.
즉 Devops란, “엔지니어가, 프로그래밍하고, 빌드하고, 직접 시스템에 배포 및 서비스를 RUN한다. 그리고, 사용자와 끊임 없이 Interaction하면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자 문화이다.”
Puppet lab의 Devops Engineer에 대한 정의를 보면 조금 더 이 개념을 확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사용자와 끊임 없이 Interaction” 하는 부분은 원론적으로 보면 개발자의 역할 보다는 기존에는 마케팅이나 고객 접점에 있는 서비스 기획자의 역할이었다.
“The DevOps engineer encapsulates depth of knowledge and years of hands-on experience,” Kelsey said. “You’re battle tested. This person blends the skills of the business analyst with the technical chops to build the solution - plus they know the business well, and can look at how any issue affects the entire company.” - See more at: http://puppetlabs.com/blog/what-is-a-devops-engineer#sthash.J5yNwCpX.dpuf “
큰 의미에서 보면 단순히 개발,운영이라는 기술적인 접근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의 의사 소통을 통한 서비스의 개선이라는 “비즈니스”적인 역할까지 확장한 개념이 된다.
기본적인 개념은 이해 했으리라 본다. 그렇다면 Devops의 실체는 무엇일까? Scrum이나 XP와 같은 방법론? 아니면 조직 체계? Devops는 팀운용 방법론이기도 하지만 정확하게 이야기 하면 “문화”이다. 개발 문화.
하나의 엔지니어가 멀티롤을 하면서 권한이 많아지게 되고, 예전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처럼 요구사항을 받아서, 개발하고 운영에 넘기는 개발 라인에 서 있는 하나의 리소스보다는 같이 생각하고 같이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는 “협업” 중심의 문화 체계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Devops는 하나의 방향을 제시 한다면,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팀에서 정의하고 만들어나가야 한다. (매뉴얼이 없다!!)
Devops의 특징
그래도 최소한 Devop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팀을 합치고 문화를 바꾸세요.” 이건 너무 추상적이지 않나? 몇가지 제공되는 가이드 들이 있는데, 다음은 영국정부에서 제공하는 “Good Habit for Devops[4]”의 내용을 정리한것이다.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참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내용들이라서 몇번을 다시 생각해봐도 의미가 있는 내용이다.
① Cross functional team – 하나의 팀에 각각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는 팀원들로 셋업해서 전체 End 2 End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개발자가 만능이되야 한다고 이야기 했지만, 그렇다고 만능 개발자로 전체 팀을 채워서 일을 하라는 것이 아니다. 개발자의 커버러지가 넓어지고 협업은 해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모든 개발자가 그렇게 수퍼개발자일리는 없고, 엄연하게 다른 역할이 존재 한다. 예를 들어, 테스트 엔지니어, 빌드엔지니어등.
단 여기서 Cross functional team이란, 한 팀내에서 서비스의 기획에서부터 운영 그리고 더 나아가서 영업등 해당 서비스에 관련된 모든 것 “ALL!!”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팀을 셋업 하라는 것이다.
② Widely Shared Metris –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중의 하나인데, 팀 전체가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공통적인 지표 (Metric)이 필요하다. 서비스를 개발하고 개선했을 때, 이를 평가하고 현재의 서비스의 진행 상태 (성공 여부, 시스템의 안정성, 사용자의 반응 등)를 인지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 방문자수, 평균 체류 시간, 가입자수와 같은 비즈니스 지표에서부터,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응답 시간등 기술 지표등이 있다.
기존 개발에서는 요건 받아서 개발하고, 운영으로 던져버렸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서비스에 만족하는지 운영에는 문제가 없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전혀 없었다. 이 Metric을 팀 전체에 공유하고 꾸준하게 추적함으로써, 팀 전체가 서비스의 상태를 인지하고, 협업을 통해서 이에 대한 개선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대형 TV나 모니터등으로, 기본 서비스 및 시스템 운영 지표에 대해서는 사무실에 붙여 놓는 것도, 나쁘지 않다.
③ Automating repetitive tasks – 반복적인 작업을 툴을 이용해서 자동화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CI (Continuous Integration)이나 CD (Continuous Delivery)등을 이용해서 다루는 빌드, 배포, 테스트 자동화 들이 이에 속한다. 반복적인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서 똑똑한 개발 자원들이 반복작업에 투여되는 시간을 줄여서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여기에 더해서 배포나 테스트에 관련된 시간을 줄여서 빠른 서비스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며, 마지막으로 이런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통해서 전체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④ Post mortems – 직역하자면 해부? 사후 검증 정도의 의미가 되는데, 장애나 이슈가 있을때, 처리 후에, 그 내용을 전체 팀과 공유해야 한다. 서비스를 운영하는 팀의 문제점은 이슈등에 대한 심각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스템이 정지되었을 때, 비즈니스 적으로 손실이 어떤지,얼마나 심각한 문제를 인지하고 궁극적으로는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다음 부터는 같은 이슈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⑤ Regular release – 마지막으로 정기 릴리즈이다. 시스템 릴리즈는 많은 협업이 필요한 작업이다. 개발도 끝내야 하고, 테스트, 배포 과정을 거쳐야 하고, 릴리즈가 끝나면 다음 릴리즈를 위한 기능 정의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래서 정기적으로 릴리즈 주기를 설정하면, 전체 협업을 하는 입장에서 언제 어떤 협업을 해야 할지도 명확해지고, 개발이 리듬(?)을 타게 된다.
첨언을 하자면, 짧은 주기의 정기 릴리즈를 통해서, 빠르게 서비스의 기능을 개선하고, 고객의 VoC를 반영해나갈 수 있다.
Devops 기반의 개발팀
Devops 기반의 서비스 팀은 End 2 End 서비스를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Devops는 개발과 운영을 포함한 팀 운영 방법론이라고 소개했었다. 그렇다고 기존 팀 모델에 개발과 운영만 합쳐 놓는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 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Devops 기반의 팀 모델링이 있게지만, 몇 가지 레퍼런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영국 정부가 운영 하는 https://www.gov.uk/service-manual/the-team 에 역할이 잘 정리되어 있음. Scrum 방법론 기반이 아니라 익숙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팀 모델링. 100% 따라하기 보다는 레퍼런스. 개발뿐만 아니라 전체 비즈니스, 기획적인 면에서 많이 고려가 되어 있으며, 상세한 내용과, R&R, 그리고, Job Description까지 나와 있다.
사실 디테일 자체는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Devops 기반의 팀의 조직 구조는 대부분 유사하다.
전체 서비스를 관장하는 역할을 갖는 사람이 있다. Service Manager, Program Manager 보통 정의 하는데, 개발,운영뿐만 아니라 전체 서비스 기획, Stake holder등과의 Communication등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커버 한다.
Product manager가 중요한 역할인데, 서비스를 기획하고 요구 사항을 정의하며, 우선 순위를 메긴다. 기존의 개발 방식에서도 기획이 있었는데, 기존 기획은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개발에 넘기면 끝이었지만, 이러한 팀의 모델링 구조에서는 개발팀과 계속 협업하면서 모자른 요구 사항을 재정의 및 다듬어 나가고, 우선 순위를 끊임 없이 조정해 나간다.
UX는 Product manager와 아주 밀접한 관계에서, 서비스에 대한 UX 디자인을 프로토타입에서, 개발 단계까지 정의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서, 끊임 없이 UX를 개선해 나간다.
그리고,실제 개발팀을 이끄는 Project Leader나 Scrum Manager가 있다. 일정관리, 개발 리소스 관리등을 담당한다. 또 전체 시스템에 구조와 틀을 잡는 아키텍트 역할이 있고, (아키텍트의 종류 - http://bcho.tistory.com/668 대규모 팀에서는 아키텍트도 역할을 나눌 필요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 테스트 엔지니어를 별도로 두기도 하는데, 일반적인 기능 테스트 등은 개발자가 함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해서 자동화 해서 수행하는 경우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성능 테스트까지 함께 하는 경우가 있다. 성능 엔지니어링이 복잡한 경우에는 별도의 성능 테스트 엔지니어를 두는 경우도 있다.
빼먹기 쉬운 역할 중에 하나가 Contents Writer/Technical Writer인데, 서비스에 들어가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를 작성하고 리뷰등을 수행한다. 다국어 번역이나, 컨텐츠의 내용이 해당 서비스 국가에 문제가 없는지 까지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웹사이트에서는 웹 컨텐츠, 테크니컬 사이트의 경우에는 샘플 코드나, 가이드등의 작업을 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전략/user researcher라는 역할을 들 수 있는데, 이 역할은 Product manager보다 선행해서, 서비스나 제품이 나가야할 방향을 정의한다. 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수익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을 정의하고, 주요 제품 로드맵을 정의한다. Product manager와 역할이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Product manager가 detail 한 서비스에 대한 기획은 서비스 자체 관점에서 한다면, user researcher는 조금 더 넓은 범위에서 제품의 방향과 비즈니스 및 수익 관점에서 서비스를 바라본다.
Devops 기반의 팀의 개발 싸이클
그렇다면 Devops 기반의 개발팀의 서비스 개발 싸이클은 어떻게 될까?
영국 정부가 운영하는 사이트 https://www.gov.uk/service-manual/the-team 의 가이드를 참고해 보면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로 개발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① 사용자의 needs 분석. VoC 수집
② 사용자 스토리 작성 (요구 사항 작성)
③ 사용자 스토리에 대한 scope 정의 및 우선순위 지정
④ Stakeholder에 대한 리포팅 및 관리 (내부 영업, 보고 등)
⑤ 다른 프로젝트와 연관성(dependency) 관리
⑥ 필요의 경우 솔루션 (오픈소스 또는 상용) 평가 및 도입
⑦ 개발!! (디자인, 빌드,테스트, 데모.-iterative way)
⑧ 테스팅. 실 사용자 대상 테스팅 포함
⑨ 서버에 배포
⑩ Security 관리, Compliance 관리 (개인 정보 보호, 국가별 법적 사항 확인등)
⑪ 서비스 운영, 모니터링.
⑫ 대 고객 지원 (Customer Support) – 추가 하였음
이런 프로세스를 한마디로 정리 해보면 결국 Devops 기반의 개발팀의 특징은, 한 팀내에서 모든 개발,테스트,배포 운영이 이루어진다는 것이고, 가장 중요한 것은, 운영을 통해서 사용자의 피드백을 접수하고, 이것이 새로운 요구 사항으로 연결되는데, 이 싸이클이 매우 빠르며 연속적이고 서로 연결 되어 있다 라는 것이다.
참고 : 개발팀의 성숙도별 개발 모델 http://bcho.tistory.com/721
조금 더 정리해서 말하자면 기존 개발팀은 기획팀이 요구사항을 개발팀에 던지고, 개발팀은 개발 내용을 운영에 던지는, waterfall 모델 처럼, 각 팀이 개발 단계별로 자기 역할을 한 후에, 다음 단계로 던지고 잊어 버리는 (fire & forget) 형태라면, Devops 형태의 개발팀은, 던지는 것이 아니라 과정 내내 같이 수행한다. 요구 사항을 개발팀에 넘겨도, 개발팀과 계속 협의를 하면서 요구 사항을 구체화 하고, 개선하며, 개발중에 운영인원과 같이 협의 하면서 최적의 구조를 논의 하면서 개발이 진행된다.
Devops 팀의 개발자의 필요 역량
그럼 Devops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면? Puppet의 포스팅을 [5]보면 Devops engineer가 가져야 할 역량에 대해서 잘 설명이 되어 있다.
기본적인 소양으로는
코딩능력은 필수 이며
Devops 엔지니어는 기본적으로 개발자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코딩 능력. 만약에 운영이나 시스템쪽에 치우친 엔지니어라면 자동화를 만들 수 있는 스크립트 작성 능력등은 필수이다.
다른 사람과 잘 협업하고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
Devops는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큰 틀에서 협업 문화이다. 시작 자체가 개발과 운영간의 소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것이기 때문에, 다른 팀원의 의견을 존중하고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갈 수 있는 오픈 마인드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때로는 그 프로세스를 재 정의할 수 있는 능력
마지막으로, Devops는 언뜻 보기에는 정형화된 프로세스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테스트 자동화, 배포, 그리고 요구 사항에 대한 수집 및 정의등은 모두 프로세스이며, 해당 팀의 모델이나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서 만들어나가야 한다. 그래서,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준수하며, 같이 만들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필자의 경험상 위의 3가지는 정말로 중요한 요소인데, 많이 놓치는 부분같다. 특히 프로세스 부분에 대해서는 다들 제각각의 프로세스나 자기 사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생기는 문제가 많아 보인다. 사실 프로세스를 지켜 나가는 건 어떻게 보면 귀찮은 일일 수 도 있지만, 같이 일하는 환경이라면 최소한의 기준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런 기본적인 소양 이외에, 몇가지 역량을 예로 들었다.
오픈소스 제품과 툴에 대한 이해
코딩 능력
인프라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운영 경험
자동화된 툴 (컴파일,테스트,배포)에 대한 이해
비지니스에 대한 이해
오픈 마인드,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능력
그리고, Devops 팀의 엔지니어는 부족한 부분을 메꾸기 위해서 공부는 필수이다.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경험이다.. 운영은 직접 겪어 보기전에는 알 수 없다. 그리고 오픈 마인드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해가면서 문제를 풀고 협업하는 능력은 책이 아니라 직접 겪어야 얻을 수 있는 능력이다.
요즘 같이 비지니스 변화가 심하고 멀티롤 개발자가 필요한 시점에 Devops 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개발자의 가치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Mashable에 따르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IT Job 중의 하나가 Devops Engineer이다. http://mashable.com/2013/11/13/fastest-growing-jobs/
Devops팀을 셋업 할때 주의할점
참고 자료들
l Atlassian Devops 관련 자료 - https://www.atlassian.com/devops/
l What is Devops engineer? - http://puppetlabs.com/blog/what-is-a-devops-engineer
l What is Devops ? http://dev2ops.org/2010/02/what-is-devops/ (개념 정리가 제일 잘되어 있음)
l Jez Humble의 Continuous Delivery를 번역한 사이트 - http://cdkr.egloo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