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NoSQL/운영 & Devops

SRE #4-예제로 보는 SLI/SLO 정의 방법

Terry Cho 2019. 5. 14. 00:48

SRE #4-예제로 살펴보는 SLI/SLO 정의 방법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앞에서 SRE의 주요 지표인 SLO/SLI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그러면 실제 서비스에서는 어떻게 SLO/SLI를 정의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SLI는 사용자 스토리당 3~5개 정도가 적당하다. 사용자 스토리는 로그인, 검색, 상품 상세 정보와 같이 하나의 기능을 의미한다고 보면된다.


아래 그림과 같은 간단한 게임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 서비스는 웹사이트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앱을 통해서 접근이 가능한데, 내부적으로 API 서비스를 통해서 서비스가 된다. 내부 서비스에는 사용자 랭킹(Rank ), 사용자 프로파일 (User profiles) 등의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에서 "사용자 프로필" 에 대한 SLI를 정의해보도록 하자.

SLI 지표 레퍼런스

앞에서 설명한 SLI 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지표들을 되집어 보면 다음과 같다.

  • 응답 시간 (Request latency) : 시스템의 응답시간

  • 에러율 (Error rate%)  : 전체 요청에서 실패한 요청의 비율

  • 처리량(Throughput) : 일반적으로 초당 처리량으로 측정하고 TPS (Thoughput per second) 또는 QPS (Query per second)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 가용성(availability)  : 시스템의 업타임 비율로, 앞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 내구성(Durability-스토리지 시스템만 해당) : 스토리지 시스템에만 해당하는데, 장애에도 데이타가 유실되지 않을 확률이다.

이런 지표들이 워크로드 타입에 따라 어떤 지표들이 사용되는지 정의해놓은 정보를 다시 참고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웹,모바일등) : 가용성, 응답시간, 처리량

  • 스토리지 시스템(백업,저장 시스템): 가용성, 응답시간, 내구성

  •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 처리량, 전체 End-to-End 처리 시간

  • 머신러닝 시스템 : 서빙 응답시간, 학습 시간, 처리량, 가용성, 서빙 정확도


이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패턴" 이기 때문에, 이 중에서 가용성과 응답시간을 SLI로 사용하기로 한다.

가용성 SLI

가용성은 프로파일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로드된 것으로 측정한다.

그러면 성공적으로 로드 되었다는 것은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그리고, 성공호출 횟수와 실패 횟수는 어떻게 측정할것인가? 에 대한 질문이 생긴다.

이 서비스는 웹기반 서비스이기 때문에, HTTP GET /profile/{users}와 /profile/{users}/avatar 가 성공적으로 호출된 비율을 측정하면 된다. 성공 호출은 어떻게 정의할것인가? HTTP response code 200번만 성공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5xx는 시스템 에러이지만 3xx, 4xx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에러 처리 루틴이라고 봤을때, 3xx,4xx도 성공 응답에 포함시켜야 한다. 그래서 2xx,3xx,4xx의 횟수를 성공 호출로 카운트 한다.


그러면 이 응답을 어디서 수집해야 할것인가? 앞의 아키텍쳐 다이어그램을 보면 API/웹서비스 앞에 로드밸런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개별 서버 (VM)에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앞단의 로드밸런서에서 측정해도 HTTP 응답 코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로드밸런서의 HTTP 응답 코드를 카운트 하기로 한다.

응답시간 SLI

그러면 같은 방식으로 응답시간에 대한 SLI를 정의해보자

응답 시간은 프로파일 페이지가 얼마나 빨리 로드 되었는지를 측정한다. 그런데 빠르다는 기준은 무엇이고,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로딩 시간으로 측정해야 할것인가?

이 서비스는 HTTP GET /profile/{users} 를 호출하기 때문에, 이 서비스가 100ms 를 임의의 기준값으로 하여, 이 값 대비의 응답시간으로 정의한다.

응답 시간 역시 가용성과 마찬가지로 로드밸런서에서 측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SLI를 정의하였으면, 여기에 측정 기간과 목표값을 정해서 SLO를 정한다.



가용성 SLO는 28일 동안 99.95%의 응답이 성공한것으로 정의한다.

응답시간 SLO는 28일 동안 90%의 응답이 500ms 안에 도착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는 좀더 발전된 방법으로 99% 퍼센타일의 응답의 90%가 500ms 안에 도착하는 것으로 높게 잡을 수 있지만, 처음 정한 SLO이기때문에, 이정도 수준으로 시작하고 점차 높여가는 모델을 사용한다.

복잡한 서비스의 SLI 의 정의

앞의 예제를 통해서 SLI와 SLO를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용자 스토리 단위로 SLI를 정한다하더라도, 현실에서의 서비스는 훨씬 복잡하고 많은 개수를 갖는다.

SLI가 많아지면, 관련된 사람들이 전체 SLI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조금 더 단순화되고 직관적인 지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보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예를 들어봤을때, 구글 플레이스토어는 홈 화면, 검색, 카테고리별 앱 리스트 그리고 앱 상세 정보와 같이 크게 4가지 사용자 스토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 4가지 사용자 스토리를 aggregation (합이나 평균)으로 합쳐서 하나의 지표인 탐색(Browse)라는 지표로 재 정의할 수 있다. 아래는 4개의 SLI를 각각 측정한 값이다.



이 개별 SLI들을 합쳐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전체 SLI의 값을 합친 후에, 백분률로 표현하였다.


이 하나의 지표를 사용하면 4개의 기능에 대한 SLI를 대표할 수 있다. 이렇게 개별 SLI의 합이나 평균을 사용하는 경우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충분하지만 특정 서비스가 비지니스 임팩트가 더 클 경우 이를 동일하게 취급해서 합해버리면 중요한 서비스가 나도 이 대표값에는 제대로 반영이 안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개별 SLI에 적절한 가중치를 곱해서 값을 계산하는 것도 방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