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 NoSQL/도커 & 쿠버네티스 78

쿠버네티스 #5 - 디스크 (볼륨/Volume)

쿠버네티스 #4Volume (디스크)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쿠버네티스의 디스크 서비스인 볼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쿠버네티스에서 볼륨이란 Pod에 종속되는 디스크이다. (컨테이너 단위가 아님). Pod 단위이기 때문에, 그 Pod에 속해 있는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공유해서 사용될 수 있다.볼륨 종류쿠버네티스의 볼륨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로컬 디스크 뿐 아니라, NFS, iSCSI, Fiber Channel과 같은 일반적인 외장 디스크 인터페이스는 물론, GlusterFS나, Ceph와 같은 오픈 소스 파일 시스템, AWS EBS, GCP Persistent 디스크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제공되는 디스크, VsphereVolume과 같이 프라이비트 ..

쿠버네티스 #4 - 아키텍쳐

쿠버네티스 #4아키텍쳐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쿠버네티스에 대한 개념 이해가 끝났으면, 이제 쿠버네티스가 실제로 어떤 구조로 구현이 되어 있는지 아키텍쳐를 살펴보도록 하자. 아키텍쳐를 이용하면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쿠버네티스의 사용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출처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architecture/마스터와 노드쿠버네티스는 크게 마스터(Master)와 노드(Node) 두 개의 컴포넌트로 분리된다.마스터는 쿠버네티스의 설정 환경을 저장하고 전체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맏고있고, 노드는 파드나 컨테이너 처럼 쿠버네티스 위에서 동작하는 워크로드를 호스팅하는 역할을 한다.마스터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전체를 컨트럴..

쿠버네티스 #3- 개념이해 (2/2) 컨트롤러

쿠버네티스 #3개념이해 (2/2) : 고급 컨트롤러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고급 컨트롤러RC,RS,Deployment는 웹서버와 같은 일반적인 워크로드에 대해 Pod를 관리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실제 운영환경에서는 웹서버와 같은 일반적인 워크로드 이외에, 데이타베이스,배치 작업, 데몬 서버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워크로드 모델이 존재하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쿠버네티스는 다양한 컨트롤러를 제공함으로써, Pod의 운영을 다양한 시나리오에 맞게 지원하고 있다. DaemonSetDaemonSet (이하 DS) 은 Pod가 각각의 노드에서 하나씩만 돌게 하는 형태로 Pod를 관리하는 컨트롤러이다. 아래 그림을 보자 RC나 RS에 의해서 관리되는 Pod 는 여러 노드의 상황에 따라..

쿠버네티스 #2 - 개념 이해 (1/2)

쿠버네티스 #2 개념 이해 (1/2)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면서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용어와 컨셉이다. 이 컨셉만 잘 이해하면 쿠버네티스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지만, 적어도 내 기준에서는 문서들의 용어나 개념 설명이 다소 어려웠다. 쿠버네티스의 개념은 크게 오브젝트 두개의 개념에서 출발한다. 각각을 살펴보도록 하자마스터와 노드쿠버네티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러스터의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클러스터 전체를 관리하는 컨트롤러로써 마스터가 존재하고, 컨테이너가 배포되는 머신 (가상머신이나 물리적인 서버머신)인 노드가 존재한다. 오브젝트쿠버네티스를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오브젝트이다.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

쿠버네티스 #1 - 소개

Kubernetes #1 - 소개 조대협 (http://bcho.tistory.com)배경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알게 된건 수년전인데, 근래에 들어서 다시 쿠버네티스를 보기 시작하였다.컨테이너 기반의 환경은 배포에 장점이 있고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 구조에 잘 맞아들어가는 듯 싶지만, 컨테이너가 약간 빠르다는 장점은 있지만, 가상 머신으로도 충분히 패키징이 가능하고, 로컬의 개발환경을 동기화 시키는 장점은 vagrant 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도커 컨테이너를 운용하기 위한 컨테이너 관리 환경이 그다지 성숙하지 못했었다. Mesosphere, Swarm, Kubernetes 등 다양한 환경이 나오기는 하였지만 기능적으로 부족한 부분도 많았고, 딱히 어떤 플랫폼이 대세라고 정..

맥에서 도커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도커는 컨테이너로 기동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도커의 IP를 접근하거나 또는 도커에서 호스트의 IP를 접근하기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다. 시간을 많이 소요한 부분이 MAC 환경이 다름을 인지 못했기 때문인데, 도커에는 네트워크 모드중에 host 모드(docker run --net="host" )로 설정하고 기동하면 된다.라는 것이 있다. 이 경우 도커의 네트워킹이 host 머신의 네트워크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host의 ip와 port가 그대로 도커와 연결이 되지만, 이 host 모드는 MAC에서는 작동을 하지 않는다. MAC의 경우에는 이 Host 모드가 동작하지 않는다.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있다고 보자 -->0.0.0.0:8087 (docker) --> 0.0.0.0:8081 (ho..

Docker 소개

Docker란 무엇인가?개념 잡기Docker는 Linux 기반의 Container RunTime 오픈소스이다. 처음 개념을 잡기가 조금 어려운데, Virtual Machine과 상당히 유사한 기능을 가지면서, Virtual Machine보다 훨씬 가벼운 형태로 배포가 가능하다.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VM 과 Docker Container의 차이를 살펴보자.아래는 VM 에 대한 컨셉이다. Host OS가 깔리고, 그 위에 Hypervisor (VMWare,KVM,Xen etc)가 깔린 후에, 그위에, Virtual Machine이 만들어진다. Virtual Machine은 일종의 x86 하드웨어를 가상화 한 것이라고 보면된다. 그래서 VM위에 다양한 종류의 Linux나, Windows등의 OS를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