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F 알고리즘을 이용한 유사 문서 검색과 구현(2/2)
NMF 알고리즘을 이용한 유사 문서 검색과 구현(2/2)
sklearn을 이용한 구현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http://bcho.tistory.com/1216 를 통하여 tf-idf를 이용하여 문서를 벡터화 하고, nmf를 이용하여 문서의 특성을 추출한 다음, 코싸인 유사도를 이용하여 유사 문서를 검색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글에서는 이 알고리즘을 직접 sklearn을 이용해서 구현해보도록 하자. sklearn은 이용하면 분산 학습을 이용한 대규모 데이타 처리는 불가능하지만, 작은 수의 문서나 모델에는 사용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sklearn의 경우 대부분의 모델을 라이브러리화 해놓았기 때문에, 복잡한 구현이 없이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전체 소스 코드는 https://github.com/bwcho75/dataanalyticsandML/blob/master/NMF%20based%20document%20recommendation/NMF%20based%20similar%20document%20recommendation.ipynb 에 공유되어 있다.
샘플 데이타
여기서 사용할 데이타 셋은 sklearn 테스트 데이타셋에 있는 20개의 뉴스 그룹의 이메일 데이타를 사용한다. 총 20개의 토픽으로 약 18000개의 포스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메일 텍스트 형식으로, 제목과, 날짜등의 헤더 정보와 이메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코드에서는 이 데이타를 읽어서 제목과 본문만을 추출하여, Pandas data frame에 저장하도록 한다.
from sklearn.datasets import fetch_20newsgroups
import StringIO
import pandas as pd
newsgroups_train = fetch_20newsgroups(subset='train')
def parseDocument(data):
buf = StringIO.StringIO(data)
line=buf.readline()
data=[]
subject=''
while line:
if(line.startswith('Subject:')):
subject = line[8:].strip()
elif (line.startswith('Lines:')):
lines = line[6:]
while line :
line = buf.readline()
data.append(line)
line=buf.readline()
text = ''.join(data)
return subject,text
textlist = []
df = pd.DataFrame(columns=['text'])
for data in newsgroups_train.data[0:1000]:
subject,text = parseDocument(data)
df.loc[subject]=text
df.head()
제목은 ‘Subject:’로 시작하는 줄에 들어 있고, 본문은 ‘Lines:’로 시작하는 줄에 있다. 이 내용들만을 추출하여 pandas data frame에 저장하였다. 본문은 data frame 상에 ‘text’라는 이름으로된 컬럼에 저장하였다.
Tfidf 를 이용한 단어의 벡터화 구현
단어를 벡터로 변환하기 위해서 앞에서 설명한 tfidf 모델을 이용한다. sklearn에 이미 구현이 되어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구현이 가능하다.
from sklearn.feature_extraction.text import TfidfVectorizer
vectorizer = TfidfVectorizer()
vectors = vectorizer.fit_transform(df['text'].tolist())
print(vectors.shape)
간단하게, TfidfVectorizer를 로딩한다음에, fit_transform을 이용하여, 문장의 본문이 있는 데이타 프레임의 ‘text’ 컬럼을 배열 형태로 변환하여 리턴해주면 된다.
NMF를 이용하여 본문에서 특성 추출
문서가 tf-idf를 이용하여 벡터화가 되었으면, NMF를 이용하여, 각 문서별로 특성을 추출한다.
NMF역시 sklearn에 NMF라는 모듈로 미리 정의되어 있다. 단지, 몇개의 특징으로 압축을 해낼것인지만 지정하면 되는데, 여기서는 n_components 인자를 이용하여 총 40개의 특징으로 특성을 압축하여 추출하도록 하였다.
from sklearn.decomposition import NMF
vector_array = vectors.toarray()
nmf = NMF(n_components=40)
nmf.fit(vector_array)
features = nmf.transform(vector_array)
추출된 피쳐는 features 변수에 저장하였다.
피쳐 정규화
추출된 피쳐가 피쳐마다 또는 문서마다 변화의 폭이 클 수 있기 때문에, Normalizer를 이용하여 0~1사이로 스케일링을 한다. 이 정규화 역시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Normalizer 모듈을 이용하면 된다.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Normalizer
normalizer = Normalizer()
norm_features=normalizer.fit_transform(features)
print(norm_features[0:2])
정규화된 피쳐가 배열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 편의상 데이타 프레임에 로딩한다.
df_features = pd.DataFrame(norm_features,index=df.index.tolist())
df_features 변수에 문서별 특징과 문서 제목을 가지고 데이타 프레임을 만들어서 생성하였다.
인덱스는 문서의 이름이 될것이고 0~39 컬럼은 각문서별 특징이 된다. 출력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모양이 된다.
문서 유사도 계산
문서별로 특징을 계산이 끝났으면 특정 문서와 유사한 문서를 찾도록 해보자.
앞의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문서의 유사도는 코싸인 유사도를 사용한다.
공식을 다시 기억해보면
여기서 A는 문서 A의 특성 행렬, B는 B 의 특성 행렬이 된다. |A|와 |B|는 각 문서 특성 행렬의 벡터의 길이인데, 앞에서 정규화 Normalization 을 하면서 각 문서의 행렬의 크기가 1이 되었기 때문에, 여기서 코싸인 유사도는 A*B / |A|*|B| = A*B / 1*1 = A*B 가된다.
즉 두 문서의 특성 행렬을 곱한 값이 코싸인 유사도가 된다.
데이타 프레임을 이용하면, 하나의 문서 특성 행렬을 전체 문서에 대해서 곱할 수 있다. .dot 함수를 이용하면 되는데,
article = df_features.loc['WHAT car is this!?']
“WHAT car is this!?” 라는 문서의 유사한 문서를 찾아보도록 하자. df_features에서 “WHAT car is this!?” 의 특성 행렬을 찾아내서 article 변수에 저장하고
similarities=df_features.dot(article)
전체 문서의 특성행렬에서 각 문서의 특성 행렬과 article 문서의 특성행렬을 곱한다. 그러면 article 문서에 대해서 각문서에 대한 유사도가 계산이된다.
top=similarities.nlargest()
이 값을 큰 순서대로 소팅해서 top 이라는 변수에 저장해놓고, 유사도가 높은 문서데로 문서의 제목과 유사도를 출력해본다.
texts = df.loc[top.index]['text'].tolist()
i = 0
for text in texts:
print('TITLE :'+top.index[i]+" Similarities:"+ str(top[i]))
#print(text+'\n')
i = i+1
다음은 실행 결과이다.
TITLE :WHAT car is this!? Similarities:1.0
TITLE :Re: WHAT car is this!? Similarities:0.999080385281
TITLE :Re: New break pads & exhausts after 96K km (60K mi) on '90 Maxima? Similarities:0.980421814633
TITLE :Insurance Rates on Performance Cars SUMMARY Similarities:0.945184088039
TITLE :Re: What is " Volvo " ? Similarities:0.935911211878
간단하게 tf-idf와 NMF를 이용한 문서 유사도 측정을 구현해봤다. 조금 더 높은 정확도와 대규모 학습을 위해서는 이보다는 Word2Vector를 이용한 문서의 벡터화와, 딥러닝을 이용한 문서의 유사도 분석을 하면 훨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전체 기본 개념은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