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MSA)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에 대한 소고
간만에 낚시성 제목을 달아봤는데, MSA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가 필수라는 이야기는 꼭 틀린말이라고 볼 수 는 없습니다. 특히나 개발팀의 규모가 큰 경우나, 지리적으로 개발팀이 나눠져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단위로 나눠서 각 팀이 서비스를 개발하고, 독립된 기술과 개발 체계를 가지면서 빠르게 개발해 나가는게 효율적이기 때문에, 규모가 어느정도 되는 팀에서는 효율성이 높습니다.
중앙에서 통제할 필요 없이, 각자가 알아서 설계하고, 만들고, 테스트 하고 운영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분산 거버넌스라고 하는데, 관리나 의사결정의 권한을 중앙의 팀이 중앙 통제하지 않고, 각자의 팀에 자율적으로 맏기고, 책임도 맏긴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러면 분산 거버넌스를 하면,중앙 거버넌스가 필요하지 않냐?
MSA글을 보면, 보통 분산 거버넌스와 이에 대한 필요성과 장점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MSA에 과연 중앙 거버넌스가 필요하지 않을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또한 강한 중앙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첫번째로, API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API 표준이 맞아야 한다. 헤더 구조, URI 컨벤션, Granuality (서비스 크기), 에러 추적을 위한 로깅 메세지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두번째로, 서비스의 기능에 대해서, 어떤 기능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기능이 어떤 동작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스펙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팀 보다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팀 입장에서 해야 한다.
세번째로, 이러한 서비스를 엮을려면, 필요에 따라서 aggregation API를 만들거나 또는 서비스 자체에 기능을 추가해야 하는데, 팀 이기주의로 인하여 타팀으로 일을 떠넘기는 현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중앙에서 이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MSA와 유사한 구조로 서비스를 개발해본 경험으로 보면, 이러한 중앙 통제가 필요하고 거기에 드는 추가적인 비용 (코디네이션/조율)이 만만하지 않다.
또한 다른 문제점중의 하나는 각 서비스팀별 개발 수준이나 품질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기능을 추가하고자 할때도 어느 서비스(즉 팀으로 보낼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MSA의 도입은, 각 서비스 개발팀의 수준이 높아야 권한을 분산할 수 있고, 또한 중앙집중형 거버넌스 조직을 통해서 표준화등이 강력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아키텍쳐 스타일이라는 이야기이고, 전사 개발팀 차원에서의 많은 투자가 필요할듯 하다.
SSAG에서 토론글 중, 홍성진님이 재미있는 링크를 올려주셔서 첨부합니다
http://siliconangle.com/furrier/2011/10/12/google-engineer-accidently-shares-his-internal-memo-about-google-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