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타 & 머신러닝/머신러닝

머신러닝 시스템 프로세스와 아키텍쳐

Terry Cho 2017. 6. 10. 14:11


Machine Learning Pipeline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대부분 모델 개발과 알고리즘에 집중

머신러닝을 공부하고 나서는 주로 통계학이나, 모델 자체에 많은 공부를 하는 노력을 드렸었다. 선형대수나 미적분 그리고 방정식에 까지 기본으로 돌아가려고 노력을 했었고, 그 중간에 많은 한계에도 부딪혔지만, 김성훈 교수님의 모두를 위한 딥러닝 강의를 접하고 나서, 수학적인 지식도 중요하지만 수학적인 깊은 지식이 없어도 모델 자체를 이해하고 근래에 발전된 머신러닝 개발 프레임웍을 이용하면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계속해서 모델을 공부하고, 머신러닝을 공부하는 분들을 관심있게 지켜보고 실제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업무들을 살펴보니 재미있는 점이 모두 모델 자체 개발에만 집중한다는 것이다. 커뮤니티에 올라오는 글의 대부분은 어떻게 모델을 구현하는지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내용들이 많았고, 실 업무에 적용하는 분들을 보면 많은 곳들이 R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분석하고 모델링을 하는데, 데이타를 CSV 파일 형태로 다운 받아서 정재하고 데이타를 분석하고 모델을 개발하는 곳이 많은 것을 보았다. 데이타의 수집 및 전처리 및 개발된 모델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를 접하지 못했는데, 예상하기로 대부분 모델 개발에 집중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엔지니어 백그라운드를 가진 나로써는 CSV로 데이타를 끌어다가 정재하고 분석하는 것이 매우 불편해 보이고 이해가 되지 않았다. 빅데이타 분석 시스템에 바로 연결을 하면, CSV로 덤프 받고 업로드 하는 시간등에 대한 고민이 없을텐데.” 왜 그렇게 할까 ?”라는 의문이 계속 생기기 시작하였다.

미니 프로젝트를 시작하다

이런 의문을 가지던중 CNN 네트워크 모델에 대한 대략적인 학습이 끝나고, 실제로 적용하면서 경험을 쌓아보기로 하였다. 그래서 얼굴 인식 모델 개발을 시작하였다. CNN 모델이라는 마법을 사용하면 쉽게 개발이 될줄 알았던 프로젝트가 벌써 몇달이 되어 간다. 학습용 데이타를 구하고, 이를 학습에 적절하도록 전처리 하는 과정에서 많은 실수가 있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재시도가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http://bcho.tistory.com/1174 , https://www.slideshare.net/Byungwook/ss-76098082 를 참조)

 

특히나 데이타 자체를 다시 처리해야 하는 일이 많았기 때문에, 데이타 전처리 코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였고 개선된 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지속적으로 다시 처리해서 데이타의 품질을 높여나갔는데, 처리 시간이 계속해서 많이 걸렸다.

자동화와 스케일링의 필요성

특히 이미지 전처리 부분은 사진에서 얼굴이 하나만 있는 사진을 골라내고 얼굴의 각도와 선글라스 유무등을 확인한후 사용 가능한 사진에서 얼굴을 크롭핑하고 학습용 크기로 리사이즈 하는 코드였는데 (자세한 내용 http://bcho.tistory.com/1176) 싱글 쓰레드로 만들다 보니 아무래도 시간이 많이 걸렸다. 실제 운영환경에서는 멀티 쓰레드 또는 멀티 서버를 이용하여 스케일링을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또한 이미지 수집에서 부터 필터링, 그리고 학습 및 학습된 모델의 배포와 서비스 까지 이 전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을 하되 반복적인 작업이기 때문에 자동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아이 체중 예측 모델을 통한 파이프라인에 대한 이해

그러던 중에 팀 동료로 부터 좋은 예제 하나를 전달 받게 되었다.

미국 아기들의 환경에 따른 출생 체중을 예측하는 간단한 선형 회귀 모델을 구현한 파이썬 노트북인데 (https://github.com/GoogleCloudPlatform/training-data-analyst/blob/master/blogs/babyweight/babyweight.ipynb) 하나의 노트북에 전체 단계를 모두 구현해놓았다.

 


 

데이타에 대한 분석을 통한 데이타 특성 추출, 추출된 특성을 통한 모델 개발, 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타 전처리 그리고 학습 및 학습된 모델을 통한 예측 서비스 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노트북에 구현해놓았다.

(시간이 있으면 꼭 보기를 강력 추천한다.)

 

흥미로운 점이 데이타 전처리를 Apache Beam이라는 데이타 처리 플랫폼을 썼고, 그 전처리 코드를 파이썬 노트북에 하나로 다 정리한것이다. (실제로 수행은 로컬에서도 가능하지만, 클라우드에서도 실행이 가능해서 충분한 스케일링을 지원한다.)

 

Apache Beam의 구글의 빅데이타 분석 프레임웍으로 Apache Spark 과 같은 프레임웍이라고 보면된다. Google Dataflow라는 이름으로 구글 클라우드에서 서비스가 되는데, Apache Beam이라는 오픈소스로 공개가 되었다. ( http://bcho.tistory.com/1123 http://bcho.tistory.com/1122 http://bcho.tistory.com/1124 )

 

아 이렇게 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즘 실무에서 이와 같은 흐름으로 실제로 머신러닝을 수행하는 것을 볼 기회가 있었다.

데이타 전처리를 스케일링하다.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의 전체 머신러닝 서비스 파이프라인을 만들어보고 싶어졌다. 마침 또 Apache Beam의 경우에는 예전에 Java 코드로 실시간 분석을 해본 경험이 있고 이번에 2.0 버전이 릴리즈 되서 이번에는 2.0에서 파이썬을 공부해보기로 하고 개발에 들어갔다.

 

특히 기존의 데이타 전처리 코드는 싱글 쓰레드로 돌기 때문에 스케일링에 문제가 있었지만, Apache Beam을 사용할 경우 멀티 쓰레드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여러대의 머신에서 돌릴 수 있고 이러한 병렬성에 대해서는 크게 고민을 하지 않아도 Apache Beam이 이 기능을 다 제공해준다. 또한 이 데이타 전처리 코드를 돌릴 런타임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이 커멘드 하나로 구글 클라우드에서 돌릴 수 가 있다. (직업 특성상 클라우드 자원을 비교적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Apache Beam으로 전처리 코드를 컨버팅 한결과 기존 싱글 쓰레드 파이썬 코드가 400~500장의 이미지 전처리에 1~2시간이 걸렸던 반면, 전환후에 대략 15~17분이면 끝낼 수 있었다. 전처리 중에는 서버의 대수가 1대에서 시작해서 부하가 많아지자 자동으로 5대까지 늘어났다. 이제는 아무리 많은 데이타가 들어오더라도 서버의 대수만 단순하게 늘리면 수분~수십분내에 수십,수만장의 데이타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림. Apache Beam 기반의 이미지 전처리 시스템 실행 화면 >

 

Apache Beam 기반의 이미지 전처리 코드는 https://github.com/bwcho75/facerecognition/blob/master/Preprocess%2Bface%2Brecognition%2Bdata%2Band%2Bgenerate%2Btraining%2Bdata.ipynb 에 공개해 놨다.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아키텍쳐와 프로세스

이번 과정을 통해서 머신러닝의 학습 및 예측 시스템 개발이 어느 정도 정형화된 프로세스화가 가능하고 시스템 역시 비슷한 패턴의 아키텍쳐를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 그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파이프라인 개발 프로세스

지금까지 경험한 머신러닝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데이타 분석
    먼저 머신러닝에 사용할 전체 데이타셋을 분석한다. 그래프도 그려보고 각 변수간의 연관 관계나 분포도를 분석하여, 학습에 사용할 변수를 정의하고 어떤 모델을 사용할지 판단한다.

  2. 모델 정의
    분석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모델을 정의하고, 일부 데이타를 샘플링하여 모델을 돌려보고 유효한 모델인지를 체크한다. 모델이 유효하지 않다면 변수와 모델을 바꿔 가면서 최적의 모델을 찾는다.

  3. 데이타 추출 및 전처리
    유효한 모델이 개발이 되면, 일부 데이타가 아니라 전체 데이타를 가지고 학습을 한다. 전체 데이타를 추출해서 모델에 넣어서 학습을 하려면 데이타의 크기가 크면 매번 매뉴얼로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타 추출 및 전처리 부분을 자동화 한다.   

  4. 전체 데이타를 이용한 반복 학습 및 튜닝
    모델 자체가 유효하다고 하더라도 전체 데이타를 가지고 학습 및 검증을 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의외의 데이타가 나오거나 전처리에 의해서 필터링되지 않은 데이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데이타 추출 및 전처리 모듈을 수정해야 하고, 마찬가지로 모델 역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튜닝을 한다. 이 과정에서 전체 데이타를 다루기 때문에 모델 역시 성능을 위해서 분산형 구조로 개선되어야 한다.

  5. 모델 배포
    학습 모델이 완성되었으면 학습된 모델을 가지고 예측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배포한다.

  6. 파이프라인 연결 및 자동화
    머신러닝의 모델은 위의 과정을 통해서 만들었지만, 데이타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들어올 것이고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전과정을 자동화 한다. 이때 중요한것은 데이타 전처리, 학습, 튜닝, 배포등의 각 과정을 물 흐르듯이 연결하고 자동화를 해야 하는데 이렇게 데이타를 흐르는 길을 데이타 플로우라고 한다. (흔히 Luigi, Rundeck, Airflow와 같은 데이타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 툴을 이용한다)

 

전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 좋은 영상이 있어서 공유한다.


아키텍쳐

위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한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아키텍쳐 는 다음과 같다.


 

 

Inputs

머신 러닝 파이프라인의 가장 처음단은 데이타를 수집하고 이 수집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데이타 수집은 시간,일,주,월과 같이 주기적으로 데이타를 수집하는 배치 프로세싱과, 실시간으로 데이타를 수집하는 리얼타임 프로세싱 두가지로 나뉘어 진다. 이 두 파이프라인을 통해서 데이타 소스로 부터 데이타를 수집하고 필터링하고 정재하여, 데이타 레이크에 저장한다. 이 구조는 일반적인 빅데이타 분석 시스템의 구조와 유사하다. (참고 자료 http://bcho.tistory.com/984 http://bcho.tistory.com/671 )

 

개인적으로 머신러닝을 위해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데이타 레이크를 얼마나 잘 구축하느냐이다. 데이타 레이크는 모든 데이타가 모여 있는 곳으로 보통 데이타 레이크를 구축할때는 많은 데이타를 모으는 데만 집중하는데, 데이타를 잘 모으는 것은 기본이고 가장 중요한 점은 이 모여 있는 데이타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 보통 머신러닝 학습을 위해서 학습 데이타를 받거나 또는 데이타에 대한 연관성 분석등을 하기 위해서는 데이타 레이크에서 데이타를 꺼내오는데, 데이타 레이크를 개발 운영 하는 사람과 데이타를 분석하고 머신러닝 모델을 만드는 사람은 보통 다르기 때문에, 모델을 만드는 사람이 데이타 레이크를 운영하는 사람에게 “무슨 무슨 데이타를 뽑아서 CSV로 전달해 주세요.” 라고 이야기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 과정이 번거롭기도 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데이타를 분석하고 모델링 하는 사람이 데이타 레이크 운영팀에 부탁하지 않고서도 손쉽고 빠르게 데이타에 접근해서 데이타를 읽어오고 분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직업 특성상 구글의 빅쿼리를 많이 접하게 되는데, 빅쿼리는 대용량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썬 노트북이나 R 스튜디오 플러그인을 통해서 바로 데이타를 불러와서 분석할 수 있다.  


<그림 INPUT 계층의 빅데이타 저장 분석 아키텍쳐>

Pre processing & Asset creation

Pre processing은 수집한 데이타를 학습 시스템에 넣기 위해서 적절한 데이타만 필터링하고 맞는 포맷으로 바꾸는 작업을 한다. 작은 모델이나 개발등에서는 샘플링된 데이타를 로컬에서 내려 받아서 R이나 numpy/pandas등으로 작업이 가능하지만, 데이타가 수테라에서 수백테라이상이 되는 빅데이타라면 로컬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타 전처리 컴포넌트를 만들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빅데이타 분석에서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하면 되는데, 배치성 전처리는 하둡이나 스파크와 같은 기술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실시간 스트리밍 분석은 스파크 스트리밍등이 사용된다.


Train

학습은 전처리된 데이타를 시스템에 넣어서 모델을 학습 시키는 단계이다. 이 부분에서 생각해야 할점은 첫번째는 성능 두번째는 튜닝이다. 성능 부분에서는 GPU등을 이용하여 학습속도를 늘리고 여러대의 머신을 연결하여 학습을 할 수 있는 병렬성이 필요하다. 작은 모델의 경우에는 수시간에서 하루 이틀 정도 소요되겠지만 모델이 크면 한달 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고성능 하드웨어와 병렬 처리를 통해서 학습 시간을 줄이는 접근이 필요하다. 작은 모델의 경우에는 NVIDIA GPU를 데스크탑에 장착해놓고 로컬에서 돌리는 것이 가성비 적으로 유리하고, 큰 모델을 돌리거나 동시에 여러 모델을 학습하고자 할때는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이 절대 적으로 유리하다 특히 구글 클라우드의 경우에는  알파고에서 사용된 GPU의 다음 세대인 TPU (텐서플로우 전용 딥러닝 CPU)를 제공한다. https://cloud.google.com/tpu/ CPU나 GPU대비 최대 15~30배 정도의 성능 차이가 난다.

 

 

학습 단계에서는 세부 변수를 튜닝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학습 속도나 뉴럴 네트워크의 폭이나 깊이, 드롭 아웃의 수, 컨볼루셔널 필터의 크기등등이 있다. 이러한 변수들을 하이퍼 패러미터라고 하는데, 학습 과정에서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 변수들을 자동으로 튜닝할 수 있는 아키텍쳐를 가지는 것이 좋다.

 

텐서플로우등과 같은 머신러닝 전용 프레임웍을 사용하여 직접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도 있지만, 모델의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다면 SparkML등과 같이 미리 구현된 모델의 런타임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Predict

Predict에서는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 기능을 서비스 하는데, 텐서플로우에서는  Tensorflow Serv를 사용하면 되지만, Tensorflow Serv의 경우에는 bazel 빌드를 이용하여 환경을 구축해야 하고, 대규모 서비를 이용한 분산 환경 서비스를 따로 개발해야 한다. 거기다가 인터페이스가 gRPC이다. (귀찮다.)

구글 CloudML의 경우에는 별도의 빌드등도 필요 없고 텐서 플로우 모델만 배포하면 대규모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런타임이 바로 제공되고 무엇보다 gRPC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HTTP/REST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만약에 Production에서 머신러닝 모델을 서비스하고자 한다면 구글 CloudML을 고려해보기를 권장한다.

Dataflow Orchestration

이 전과정을 서로 유기적으로 묶어 주는 것을 Dataflow Orchestration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하루에 한번씩 이 파이프라인을 실행하도록 하고, 파이프라인에서 데이타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이 끝나면 자동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 정확도가 정해진 수준을 넘으면 자동으로 학습된 모델은 서비스 시스템에 배포하는 이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엮어 주는 과정이다.

airbnb에서 개발한 Airflow나 luigi 등의 솔루션을 사용하면 된다.

아직도 갈길은 멀다.

얼굴 인식이라는 간단한 모델을 개발하고 있지만, 전체를 자동화 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서 학습 시간을 단축 시키고 예측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개발해야 하고, 향후에는 하이퍼 패러미터 튜닝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가보려고 한다. 그 후에는 GAN을 통한 얼굴 합성들도 도전하려고 하는데, node.js 공부하는데도 1~2년을 투자한후에나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는데, 머신러닝을 시작한지 이제 대략 8개월 정도. 길게 보고 해야 하겠다.

 



 

 

그리드형